[목차] == 개요 == '''생물가'''(生物價, Biological Value(BV))는 소화된 단백질이 얼마나 쓰였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다. 흡수, 활용된 단백질의 양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단백질 대사부산물로 배설되는 [[질소]]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생물가를 구하는 공식은 '축적된 질소랑 / 흡수된 질소량'인데,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생물가가 높을수록 똑같은 양을 섭취해도 많은 양의 단백질이 활용되며, 단백질의 섭취를 조절하여 [[콩팥]]에 가해지는 부담을 덜 수 있어서 질이 좋은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식물성 식품은 동물성 식품에 비해 생물가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가공 방식에 따라 생물가가 변동할 수 있다. 단백질의 종류는 다양하고, 그 중에는 스스로 합성할 수 없는 [[필수 아미노산]]이 있기 때문에 생물가만 따져서는 단백질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모든 종류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줄 필요가 있다. 동물성 식품은 식물성 식품에 비해 필수아미노산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 편이다. == 예시 == *[[계란]] : 94 *[[밀]] : 67 *[[밀가루]] :52 *[[쇠고기]] : 69 *[[우유]] : 85 *[[유청]] : 100 *[[농축유청단백질]] : 104 *[[분리유청단백질]] : 110~159 *[[콩]] : 58[* 가열, 발효 등의 과정을 거칠 경우 생물가가 동물성 식품과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한다.] == 관련 용어 == * 순단백질이용비(Net protein uitilization, NPU) * 단백질효율비(Protein efficiency ratio, PER) == 출처 == *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생물가biological-value/|[과학백과사전] 생물가(biological value)]] * 서울&: [[http://www.seouland.com/arti/health/health_general/697.html|생물가 높을수록 양질의 단백질 식품]] * 한국콩연구회:[[http://www.soyworld.or.kr/bbs/research/view?idx=304&page=26&search_value=|콩의 성분조정]] * 헬스조선: [[http://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9032503089|고령자, 단백질 30% 더 필요… 많이 먹기보다 '생물가' 높은 식품 드세요]] * MARK'S DAILY APPLE: [[https://www.marksdailyapple.com/whey-egg-white-casein-pea-hemp-rice-protein-powder-supplement/|Protein Powders: How Do They Measure Up?]] [[분류: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