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1913년|{{{#fff 1913년}}}]] [[노벨생리학·의학상|{{{#fff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2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12년 ||<|2> → || 1913년 ||<|2> → || 1914년 || || [[알렉시 카렐]][* 혈관 봉합술 및 [[장기이식]] 연구.] || '''샤를 리세''' || 로베르트 바라니[* 전정기관 연구] || ||<-2>
'''{{{#white {{{+2 Charles Robert Richet}}}[br]{{{+1 샤를 로베르 리셰}}}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샤를 리셸.png|width=100%]]}}}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생리학·의학상|{{{#white '''1913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 {{{#white '''본명'''}}} ||샤를 로베르 리셰 || || {{{#white '''출생'''}}} ||[[1850년]] [[8월 26일]], [[프랑스 제2공화국]] [[파리(프랑스)|파리]] || || {{{#white '''사망'''}}} ||[[1935년]] [[12월 4일]],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프랑스)|파리]] || || {{{#white '''국적'''}}}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 || {{{#white '''분야'''}}} ||[[생리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의사, 생리학자로 [[신경]], [[근육]] 등의 [[생리]]와 [[간]]의 기능, [[혈청]]요법 등에 관한 연구를 했다. [[과민증]]에 대한 연구로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생애 == 1850년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서 태어났다. [[의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일찍이 [[의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파리 대학교]]에 입학한 후 1869년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의학뿐만이 아닌 생리학에도 관심을 보인 그는 1878년에는 [[물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879년에 파리 대학교 생리학 강사로 부임, 1887년에는 생리학 교수가 된다. 1913년에는 [[과민증]]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 뒤 1927년 대학을 은퇴한 후 [[심리]], [[항공]] 등 여러 분야들을 연구하다가 1935년 사망했다. == 연구 == 1888년 [[세균]]에 감염된 동물의 [[혈액]]에서 추출한 혈청이 같은 세균을 박멸하는 것을 발견한 그는 혈청이 [[결핵]]의 치료법임을 가정하였고 1890년 최초의 혈청요법을 도입했다. 1900년대 경 [[해파리]]의 [[독극물]] 연구를 시작했으며 [[모나코]] 여행에서 모나코 왕자로부터 [[작은부레관해파리]]의 독에 대한 연구를 부탁받아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단 파리에서는 작은부레관해파리를 구하기 힘들어서 대신에 성분이 비슷한 [[말미잘]]의 독을 이용했다.] 어느날 그는 개에게 말미잘의 독을 주입하여 [[치사량]]을 구하는 도중, 첫번째 독을 주입했을 때 회복했던 개가 2번째의 소량의 독을 주입했을 때 [[과민반응]]을 일으키며 사망한 것을 발견했다. 이는 1차, 2차 면역반응과는 완전히 다른 현상을 보였으며 그는 이와 같은 현상이 우연이 아님을 가정, 여러차례 실험을 행했다. 그 결과 투여한 독소가 과민반응을 일으키기 전까지는 3주에서 4주 정도의 [[잠복기]]가 있으며 동물의 종류, 투여한 독소의 종류 상관없이 일어난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그는 이와 같은 현상을 [[과민증]]이라고 명명했으며, 지금까지 설명할 수 없었던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 밝힐 수 있었다. == 여담 == * [[우생학]]을 지지했던 연구원 중 한명으로 [[백인 우월주의]]를 지지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 생명에 대한 연구를 많이 진행했으나, [[심령]] 현상에도 관심이 있었다. 이 때문에 1905년 심령현상연구협회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 [[분류:프랑스의 생물학자]][[분류:프랑스의 의사]][[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파리 출신 인물]][[분류:1850년 출생]][[분류:193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