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추상전략게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33px-Shatar_in_Hulun_Buir_National_Museum.jpg]] 샤타르판 [목차] == 개요 == ᠰᠢᠲᠠᠷ᠎ᠠ, шатар([[몽골어]]) / Shatar [[몽골]]의 [[보드 게임]]으로 [[추상전략게임]]의 일종. [[티베트]]에서도 둔다.[* 티베트와 몽골은 같은 [[티베트 불교]]를 믿기 때문에 비슷한 문화권이라고 볼 수 있다.] 8×8 사이즈의 말판 위에서 흑색 진영과 백색 진영이 왕을 잡는 게임이다.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체스판 처럼 무늬 있는 판을 쓰게 되었다. 10×10 사이즈로 두는 히아샤타르(Hiashatar)도 있지만 대중적이진 않다. == 상세 == 기본적으로 [[체스]]를 바탕으로 약간의 오리지널 룰이 추가된 구조로 되어 있다. 흑백으로 나뉘는 체스와 달리, 전통 샤타르 기물은 황녹으로 대조된다. * 너영 (ᠨᠣᠶᠠᠨ/Ноён/Noyon/왕)[* 본래 귀족, 영주라는 뜻이다. 몽골어로 왕은 '칸(Khan)', 황제(대칸)는 '카안(Khaan)이다.] [[칸#s-1.2|전통적인 왕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킹으로 대체한다. 전후좌우와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인다. 체스의 킹이나 쇼기의 왕장/옥장과 같으며, 초기 배치도 체스의 킹과 비슷하다. 캐슬링은 없다. * 하통 (ᠬᠠᠲᠤᠨ/Хатун/Khatun/왕비)[* 다른 이름으로는 베르스 (ᠪᠡᠷᠰᠡ/Бэрс/Bers/부인) 또는 바르 (ᠪᠠᠷᠰ/Бар/Bar/호랑이)가 있다.] [[카툰(몽골)|전통적인 왕비의 모습]] 또는 녹색 갈기가 있는 백사자나 눈표범 등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퀸으로 대체한다. 전후좌우 일직선으로 원하는 만큼, 그리고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쇼기의 용왕(승급한 비차)와 같고, 체스로 치면 킹과 룩을 합친 것이라 볼 수 있다. * 머르 (ᠮᠣᠷᠢ/Морь/Mori/말) 평범한 말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나이트로 대체된다. 직선 한 칸 이후 대각선 한 칸을 움직이며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있다. 체스의 나이트와 같다. * 테렉 (ᠲᠡᠷᠭᠡ/Тэргэ/Tereg/수레) 오르도[* ᠥᠷᠳᠥ/Ордо/Ordo. 왕들이 사용하는 게르가 실린 대형 수레를 말한다.]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룩으로 대체된다. 전후좌우 일직선으로 움직인다. 체스의 룩이나 장기의 차와 같다. * 테메 (ᠲᠡᠮᠡᠭᠡ/Тэмээ/Temee/낙타) 평범한 낙타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비숍으로 대체된다. 대각선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체스의 비숍과 같다. * 후 (ᠬᠦᠦ/Хүү/Khüü/소년) 어린아이 또는 새끼 사자나 새끼 표범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체스 말을 사용할 경우 폰으로 대체된다. 앞으로 한 칸씩만 움직일 수 있고, 대각선의 진행 방향에 있는 적만 잡을 수 있다. 체스의 폰과 같다. 끝행까지 도달하면 카툰으로 승진한다. == 관련 문서 == * [[체스]] * [[변형 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