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沙田站 | Sha Tin Station}}} ||<-6><)>[[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샤틴}}}[br]{{{+1 沙田 | Sha Tin}}}}}}|| ||<-6>|| ||<:><|2><-2>[[애드미럴티역(홍콩)|{{{-1 {{{#585858,#dddddd 애드미럴티 방면}}}}}}]][br][[타이와이역|타이와이]][br]← 1.4 ㎞||<-2><:>[[동철선|{{{#ffffff 동철선}}}]][br]{{{#ffffff {{{-1 (본선)}}}}}}||<:><-2>[[로우역|{{{-1 {{{#585858,#dddddd 로우}}}}}}]]·[[록마차우역|{{{-1 {{{#585858,#dddddd 록마차우[br]방면}}}}}}]][*이용안내 로우역과 록마차우역은 변경금구 내에 위치한 관계로 두 역에 설치된 홍콩-중국 본토 간 검문소를 이용하는 여행객이나 로우역 인근 거주민 또는 청명절/중양절 한정 공동묘지 참배객 외에는 이용이 금지되어 있으니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br][[포탄역|포 탄]][br]1.9 ㎞ →|| ||<-2><:>[[동철선|{{{#ffffff 동철선}}}]][br]{{{#ffffff {{{-1 (경마장 지선)}}}}}}||<:><-2>[[로우역|{{{-1 {{{#585858,#dddddd 로우}}}}}}]]·[[록마차우역|{{{-1 {{{#585858,#dddddd 록마차우[br]방면}}}}}}]][*이용안내][br][[경마장역(홍콩)|경마장]][br]2.6 ㎞ →|| ||<-6>[include(틀:지도,장소=MTR Sha Tin Station,너비=100%,높이=225px)]|| ||<:><-6>{{{#ffffff,#000000 '''주소'''}}}|| ||<:><-6> [[홍콩]] [[신계(홍콩)|신계]] [[샤틴구]][br]Sha Tin Town Centre[br]Sha Tin Station Circuit × Pai Tau Street[*한문 香港新界沙田區 沙田市中心沙田車站圍1號][*영문 Sha Tin Station Circuit × Pai Tau Street, Sha Tin Town Centre, Sha Tin District, Hong Kong] || ||<:><-6>{{{#ffffff,#000000 '''개업일'''}}}|| ||<:><-2>[[동철선|{{{#ffffff 동철선}}}]]||<:><-4>[[1910년]] [[10월 1일]]|| ||[[파일:Sha_Tin_Station_Exit_A_201504.jpg|width=360]]|| ||<:>{{{#ffffff '''샤틴역 A번 출구.'''}}}|| ||[[파일:Sha_Tin_Station_2018_08_part4.jpg|width=360]]|| ||<:>{{{#ffffff '''샤틴역 1번 승강장 모습.[* 승강장 우측의 선로는 화물역 분기선.]'''}}}|| ||[[파일:Sha_Tin_Station_2017_12_part2.jpg|width=360]]|| ||<:>{{{#ffffff '''샤틴역 3번 승강장 모습.'''}}}||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 [[신계(홍콩)|신계]] [[샤틴구]]에 위치한 [[MTR]] [[동철선]]의 [[철도역]]으로, [[1910년]] 동철선 개업과 동시에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2면 4선(+1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과거 역 북부로 위치하던 화물역으로 들어가는 화물열차 및 대륙방면 국제열차를 먼저 보내줄 수 있기 위한 구조이기도 하고, [[포탄역]] 옆에 위치한 호뚱라우 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하는 열차의 시발승강장 겸 입고차량 종착승강장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인다. 역명인 샤틴은 역이 샤틴구의 중심부에 위치한 덕에 이렇게 붙여졌으며, 이 한자를 한국 발음으로 읽으면 "사전", 즉, '모래밭'이라는 뜻이 나온다. 현재는 샤틴 신도시의 중심에 있는 샤틴 뉴타운 플라자(新城市廣場, New Town Plaza)라는 쇼핑몰 겸 아파트단지인 주상복합과 시티링크 플라자(連城廣場, Citylink Plaza)[* 본래에는 KCR의 본사와 샤틴 정부청사의 일부 사무실이 있던 건물이었다.]가 역과 연결이 되어있으며, 역 아래로는 버스 환승센터가 마련이 되어있다. 이 역의 북부로 [[경마장역(홍콩)|경마장역]]으로 가는 경마장 지선이 분기하며, 경마 경기가 있는 날에는 일부 열차에 한해 [[포탄역]]이 아닌 [[경마장역]]을 경유해 [[대학역(홍콩)|대학역]]으로 간다. == 역 내부 시설 == || [[파일:ShaTinLayout.jpg|width=540]]|| ||<:>{{{#ffffff '''샤틴역 시설 안내도.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layouts/sht.pdf|원본(PDF)]]'''}}}|| 쌍섬식 승강장으로, 평소에는 내선 2선만을 사용하여 사실상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러시아워 한정으로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외선 2선에서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 역 주변 안내도 및 주변 정보 == || [[파일:ShaTinStreet.jpg|width=540]]|| ||<:>{{{#ffffff '''샤틴역 주변 안내도. 필요할 경우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maps/sht.pdf|원본 PDF 파일]]을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샤틴 지역은 [[신계(홍콩)|신계]]였지만 [[영국령 홍콩]] 시절부터 개발을 했다. 덕분에 샤틴역과 [[타이와이역]] 일대는 이미 상당히 번화한 상태이다. New Town Plaza, CityLink Plaza, Shatin Centre같은 [[쇼핑몰]]이 몰려 있다. 역과 쇼핑몰이 바로 연결된 형태로, 역 아래와 역 개찰구가 위치한 대합실 층 총 두곳에 버스 환승센터가 위치한다. 역과 연결된 쇼핑몰 외에도 버스 환승센터 방향 출구(A1번)으로 나가서 조금 걸으면 이케아가 위치한 그랜드 센트럴 플라자(新城市中央廣場, Grand Central Plaza)가 위치하고 있다[* 건물의 외벽에 붙은 "홈스퀘어"(HomeSquare)라는 간판 덕에 홈스퀘어 쇼핑몰이라고도 불리긴 하나, 이는 쇼핑몰 내의 가구점들 + 이케아가 위치한 부분만을 부르는 이름이다. --사실상 이거 빼고는 전부 사무실이라 크게 문제는 없다.--]. == [[홍콩 민주화 운동]] == [[파일:help_from_residents_-_scmp.jpg]] 샤틴 일대는 상당히 번화하기 때문에 [[신계(홍콩)|신계]] 지역에서 가장 [[민주화]] 열망이 큰 지역 중 하나이다. [[2014년]] [[홍콩 우산 시위]] 때에도 샤틴 일대에서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2019년]] [[7월 15일]] 샤틴역 일대에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있었다. 이 날 샤틴 일대에는 11만명([[홍콩 경찰]] 추산 2만 8000명)이 모여서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퇴진,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의 [[일국양제]] 준수 촉구 등을 외쳤다. [[https://www.todayonline.com/world/hong-kong-protesters-sha-tin-showered-support-and-supplies-even-10-floors|기사]] 이후로도 [[홍콩]] 시위대들은 지속적으로 샤틴역 일대의 [[쇼핑몰]]에 거점을 잡고 [[영광이 다시 오길]] 제창 시위 등 [[중국 공산당]]을 상대로 끝없는 투쟁을 이어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시위와 경찰들의 최루탄 발포 관련 등으로 뉴스에 상당히 자주 오르내리는 편이다. [[분류:MTR 동철선]][[분류:홍콩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1910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