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란의 세계유산)] [[파일:external/کاخ سوخته شهر سوحته.jpg]]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3> 이름 || 한국어 || 샤흐레 수흐테 || || 영어 || Shahr-i Sokhta || || 페르시아어 || شهر سوخته || |||| 국가·위치 || [[이란]] 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 || ||<-3> [include(틀:지도,장소=Shahr-e Sukhteh,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2014년]] || |||| 등재기준 ||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 지정번호 || [[https://whc.unesco.org/en/list/1456|1456]] || [[페르시아어]]{{{+1 شهر سوخته }}} [[영어]] Shahr-e Sūkhte / Shahr-i Soḵẖta[* 페르시아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은 여럿이 있으나, 유네스코에서도 통일성 있게 사용하고 있지 않다. 예컨대 [[에스파한]]은 'Esfahan'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Isfahan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샤흐레 수흐테는 [[이란]]의 [[고고학]] 유적지로, 표기법에 따라 '샤흐리 소흐타' 등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샤흐르(شهر)'는 '도시', '수흐테(سوخته)는 '불탄'이라는 뜻으로, '샤흐레 수흐테'는 '불탄 도시'를 뜻한다. [[막고굴|둔황 석굴]] 연구 등으로 잘 알려진 저명한 영국의 고고학자 오렐 스타인(Aurel Stein)이 1900년대 초에 처음 조사·발굴한 곳으로, 기원전 3550년 무렵 형성된 고대 도시 유적이다. 이후 천 년 넘게 도시 기능을 하다가 기원전 2300년 무렵 버려졌다고 알려져 있다. [[분류:이란의 유적]][[분류:이란의 세계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