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서동역'''}}} || ||<-3> [[부산 도시철도 4호선|[[파일:Busan4.svg|width=30]]]] || || [[미남역|{{{#!html
미남 방면}}}]][[명장역|명 장]][br]← 1.0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html
4호선
(407)
}}}]] || [[안평역|{{{#!html
안평 방면}}}]][[금사역|금 사]][br]0.8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동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eo-dong || || [[한자]] ||<-2> 書洞 || || [[간체자]] ||<-2> 书洞 || || [[가나(문자)|가나]] ||<-2> [ruby(書洞, ruby=ソド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금정구]] [[반송로(부산)|반송로]] 지하387 ([[서동(부산)|서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관리역]] 소속 / [[경전철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호선}}}]] ||<-2> 2011년 3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심도: 20.69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407번, [[부산광역시]] [[금정구]] [[반송로(부산)|반송로]] 지하387 ([[서동(부산)|서동]]) 소재. 서동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 투어|스탬프]]는 인근에 위치한 서동골목시장이다. 사실 스탬프에는 골목시장으로 제작됐지만 서동[[미로]]시장으로 더 알려져 있다. == 역 정보 == || [[파일:서동역 4호선.jpg|width=100%]] || || 대합실 || 출입구가 4개, 게이트가 1개다. 역 내부 디자인의 분위기는 옥색 혹은 [[청록색]]이다. 이 역에서 [[명장역]] 방향으로는 지그재그로 [[드리프트]]가 나 있는 데다 경사가 있어서 속도를 낮춰서 운행한다. [[2010년]] [[2월 25일]]부터 [[명륜역|명륜동역]], [[연산역(부산)|연산동역]]등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역들의 역명에서 행정구역인 '동' 자가 삭제되었으나, [[2011년]] [[3월 30일]]에 개통한 서동역의 경우 동명이 외자라 역명에서 '동'을 빼서 한글자 이름의 역을 만들 수 없었기에 지금의 역명이 붙게 되었다. 1호선 역명 개정 전보다 먼저 개업한 [[중동역(부산)|중동역]]의 역명이 유지된 것도 같은 이유이다. 국내 경전철 노선중 유일하게 역 구내 구배가 8퍼밀인 역이다. == 역 주변 정보 == 매우 짧은 거리에 동상초등학교가 있다. 주변에는 이외에도 주거시설, 의료시설, 주유소, 마트, 등이 있다. 은행 쪽으로는 [[유흥업소|유흥가]]가 있다. 역 주변은 거의 달동네로, 심하게 낙후된 주거지로 구성되어 있다. 시가지는 1970년대에 형성되었으며, 가장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 4번 출구에 있는 삼한여명아파트로 1997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즉, 20년 넘게 변화없는 모습을 간직한 동네이다. 예로부터 교통이 꽤 불편한 지역에 속했기 때문에 자체적인 상권이 갖추어져 있다. 주로 50대 이상 장노년층이 이용하는 서동미로시장이 역 서쪽으로 약 500m 거리에 놓여 있는데, 시장을 중심으로 외지인들을 비롯해 주변 거주민들도 잘 모르는 서동만의 조그마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서동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하차객의 총합이다.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4호선|[[파일:Busan4.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1년 || 3,616명 || [* 개통일인 3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2년 || 3,900명 || || || 2013년 || 4,101명 || || || 2014년 || 4,310명 || || || 2015년 || 4,541명 || || || 2016년 || 4,778명 || || || 2017년 || {{{#217dcb 4,931명}}} || || || 2018년 || 4,726명 || || || 2019년 || 4,830명 || || || 2020년 || 3,881명 || || || 2021년 || 4,052명 || || || 2022년 || 4,271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4,830명이다. 개통 이후로 매년 200명씩 승객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아직 5,000명 고지도 못 넘었을 만큼 수요가 저조하다. 사실 위치가 매우 애매한 곳이다. 역 이름은 서동이지만 실제 역세권은 [[서동(부산)|서동]] 동남쪽 일부이고 서동 서부 및 북부지역은 제대로 커버되지 않는다. [[반송로(부산)|반송로]]를 따라 지어졌기 때문에 정작 역 인근은 달동네나 조그만 시설들 뿐이고 역 위치서 안쪽에 있는 서동미로시장 [[상권]]이나 인구가 많은 [[서동로(부산)|서동로]] 수요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4호선 동래역이 [[막장환승]]인지라, 동래역에서 환승할 바엔 그냥 버스타고 온천장역에서 환승하는 것을 대부분 선호한다. 그래서 서동 주민 대다수는 4호선을 이용하기보단 대부분 버스를 타고 서동고개를 넘어 [[온천장역]]이나 [[부산대역]]으로 가서 1호선을 바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서동이 재개발되면 수요가 늘 것이다. 그래도 4호선을 이용해 서동역에서 미남으로 가거나 안평방면, 반송이나 기장을 오고가는 고정 수요도 있기에 4천명선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 승강장 == ||[[파일:서동역1.jpg|width=100%]]||[[파일:407.gif|width=100%]]||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승강장 || 역 안내도 || ||<-4> [[명장역|명장]]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금사역|금사]] || || {{{#ffffff 상}}} ||<|2>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충렬사역|충렬사]]·[[낙민역|낙민]]·[[동래역(도시철도)|동래]]·[[미남역|미남]] 방면|| || {{{#ffffff 하}}}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고촌역(부산)|고촌]]·[[안평역|안평]]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서면역|서 면]]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두실역|두 실]]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5> {{{#c0c0c0 없 음}}}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수영역|수 영]] || ◁ || [[미남역|미 남]] || ▷ || [[숙등역|숙 등]]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 [[미남역|미 남]] || ◁ || {{{#c0c0c0 서 동}}} || ▷ || [[안평역|안 평]]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센텀역|센 텀]] || == 연계 교통 == 참고로 [[부곡동(부산)|부곡동]]에 인접한 서동고개 쪽은 가급적이면 [[부산 버스 179|179번]]과 [[부산 버스 189|189번]]을 타고 내려온 후 [[온천장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가는 목적지에 따라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가 유리한 지 [[부산 도시철도|도시철도]]가 유리한지가 상당히 달라지는 곳. * 동상초등학교(서동역)(정류장 번호: 11-136) * [[부산 버스 29]]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5]] - 정관행 * [[부산 버스 129-1]] - 반송행 * [[부산 버스 155]] - 서동행 * [[부산 버스 183]][*심야 심야포함]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73|부산 버스 오전73]] - 정관행 * 서동역(정류장 번호: 11-137) * [[부산 버스 29]] - 안창마을행 * [[부산 버스 105]] - 사직동행 * [[부산 버스 106]] - 서면행 * [[부산 버스 129-1]]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155]]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83]][*심야] - 부산대학교행 * [[부산 버스 73|부산 버스 오전73]] - 롯데백화점동래점행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4호선]][[분류:금정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