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금호강의 교량)] ---- || {{{-2 {{{#555,#aaa 하류 방면}}}}}}[br]← [[조야교]] ||<#006fb9> '''[[금호강|{{{#fff 금호강의 교량}}}]]''' || {{{-2 {{{#555,#aaa 상류 방면}}}}}}[br][[무태교]] → || ||<-4><#004a8b> {{{#fff {{{+2 '''서변대교'''}}}[br]西邊大橋 | Seobyeondaegyo(Br.)}}} || ||<-4><#004a8b> {{{#fff ▲ [[서변남로|{{{#fff '''서변남로'''}}} [[파일:Cityroad_kor_12.svg|height=17]]]]}}} || || {{{-1 {{{#555,#aaa [[남대구IC|{{{#555,#aaa 남대구}}}]] 방면}}}}}}[br][[조야교]][br]← km ||<#368846> [[신천대로(대구)|[[파일:Cityroad_kor_11m.svg|height=17]][br]{{{-1 {{{#fff 신천대로}}}}}}]][br] || {{{-1 {{{#555,#aaa [[가창면|{{{#555,#aaa 가창}}}]] 방면}}}}}}[br][[침산교]][br] km → || ||<-4><#007348> {{{#fff {{{+2 '''북대구 램프'''}}}[br]北大邱 램프 | N. Daegu Ramp}}} || || {{{-1 {{{#555,#aaa [[북대구IC|{{{#555,#aaa 고속도로 입구}}}]] 방면}}}}}}[br][[북대구IC]][br]← km ||<-1><#338846> [[서변남로|[[파일:Cityroad_kor_12.svg|width=17]][br]{{{-1 {{{#fff 서변남로}}}}}}]] || {{{-1 {{{#555,#aaa [[동서변동|{{{#555,#aaa 동서변동}}}]] 방면}}}}}}[br]무태네거리[br]km → || ||<-4><#004a8b> {{{#fff ◀ [[신천대로(대구)|{{{#fff '''신천대로'''}}} [[파일:Cityroad_kor_11m.svg|height=17]]]]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변대교, 너비=100%, 높이=225)]}}} || ||<-4><#c0c0c0,#3f3f3f> '''중국어 · 일본어 표기'''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중국어 || 西邊大橋 || || 일본어 || 西邊大橋 ||}}}}}}}}} || ||<-4><#c0c0c0,#3f3f3f> '''위치''' || ||<-4>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서변동]][br][[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침산동(대구)|침산동]] || ||<-4><#c0c0c0,#3f3f3f> '''개통''' || ||<-4> 1993년 || ||<-4><#c0c0c0,#3f3f3f> '''시공''' || ||<-4> [[대구광역시]] || ||<-4><#c0c0c0,#3f3f3f> '''관리''' || ||<#368846> [[신천대로(대구)|[[파일:Cityroad_kor_11m.svg|height=17]] {{{#fff 신천대로}}}]] ||<|2><-3>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368846> [[서변남로|[[파일:Cityroad_kor_12.svg|height=17]] {{{#fff 서변남로}}}]] || ||<-4><#c0c0c0,#3f3f3f> '''길이 / 폭''' || ||<-4> 길이 878.0m, 너비 24.0m(6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금호강]]의 [[교량]] 중 하나로 [[서변남로]] 상의 교량이다. 남단에서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와 이어진다.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동서변동]], [[북대구IC]]와 [[국우터널]]을 대구 도심과 연결하는 [[교량]]이다. 이 다리는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당시 도시경관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대구 최초로 교량에 조명을 설치해 야간에 조명이 켜져 대구에서 야경으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칠곡지구]]로 들어가는 다리가 [[팔달교]] 하나일 때의 팔달교는 지금보다 더 극심한 정체 지역로 고생했는데, [[매천대교]] 등과 함께 이 다리가 건설되고 국우터널이 개통하면서 교통량이 분산되는 줄 알았으나, 팔달교는 여전히 교통량이 많고 이 곳은 [[북대구IC]] 진출입 차량들 외에는 주로 무태 쪽 주민들이 이용하는 편이다. 교량 북단 램프를 통하여 [[북대구IC]], [[경부고속도로]] 진출입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 다리 밑에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나 대구지역 초등학교에서 교과서로 쓰이는 대구의 생활에서 단골 출연하는 [[태양열 발전|대구솔라타워]]가 있었다. [[경부고속도로]]나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를 타고 가다보면 보이는 "푸른대구 밝은미래 세계속의 패션대구" 글자도 이 다리 북단 끝에 있는 도로변 산에 있다. 고속도로 및 신천대로와 연결되는 도로이므로 사실상 신천대로의 지선 취급이며, 이에 따라 오토바이 및 자전거 통행이 금지되어있다. 물론 보행자 횡단 시설도 없다. 대체 도로로는 호국로 상의 [[산격대교]]가 있으며, 목적지가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상에 있는 곳이라면 [[신천동로]]를 이용하면 된다. == 부실공사 의혹 == 건설 당시 878m로 대구에서 가장 긴 다리였다. 하지만 개통한지 2개월 만에 노면이 불량해지고 시멘트 난간 부식, 배수가 되지 않는 등 부실공사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 [[분류:금호강의 교량]][[분류:북구(대구)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