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산시의 관광)] [youtube(y3bABh8wDrg, width=100%)] 서산 천수만 간월호와 가야산이 만드는 성스러운 서산풍경 || [youtube(RMD91n01DuA, width=100%)] || ||<#ffffff,#000000> '''Feel the Rhythm of Korea - Seosan'''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산은 과거부터 충남 서해안의 최대 공업도시의 타이틀로 인해 관광과는 많이 멀었고 자연관광자원이 많은 [[태안군]]에 비해 완전히 압살당했다.[* 물론 당시 태안은 1989년까지 서산의 일부였으며 태안해안국립공원, 구 명칭 서산해안국립공원이 서산을 대표하는 관광지였다.] 하지만 2010년대를 기점으로 각종 TV 예능 프로그램과 유명인사들이 서산시를 방문하면서 관광산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나 2014년 [[프란치스코(교황)|프란치스코 교황]]이 서산 [[해미읍성]]을 [[프란치스코(교황)/한국 방문|방문]]한 것이 신의 한 수가 되어 서산시의 관광객 방문이 급증하게 되었고 서산의 인지도도 같이 상승했을 뿐더러, '서산'하면 가장 생각나는 것 하면 거의 대부분 해미읍성을 가리킬 정도이다. 석유화학·자동차 공업 + 관광도시라는 타이틀, 그리고 수도권과 호남 서해안권을 이어주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영남권을 이어주는 [[서산영덕고속도로]]의 강력한 이점을 가진 서산은 태안군에 비해 상당히 크게 뒤쳐지지만[* 태안은 여름철 서해안 피서지만으로 지난 2023년에는 무려 약 1,800만 명이 방문했을 정도이다.] 2024년 현재까지는 1/3 까지 쫓아오고 있다. 이전부터 대표적인 읍성 관광지를 넘어, 천주교 성지순례 장소로 자리잡은 [[해미읍성]]과 겨울철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천수만이 상당히 유명하다. 위에 언급한대로 서산은 철도가 없으나 [[서해안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라는 도로교통 접근성이 뛰어난 이점을 가지고 있어 대중교통의 고속·시외버스 및 자차를 통한 여행객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태안을 지나갈려면 대부분 서산을 경유해야 하기에[* 남측으로는 원산안면대교가 연결되어 있어 보령과 연결되나, 호남 서해안권으로 오가는 경로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의 일부 수요도 크게 보장할 수 있다는 것도 꼽힌다. 서산에서는 총 4개의 시티투어를 제공한다. 동절기인 1, 2월을 제외하고 3~12월에 운영을 하며, 평일과 주말에만 운영되는 시티투어가 따로있으며, 운행되는 코스는 다음과 같다: || '''코스명''' || 관광 경로 || 운영일 || 탑승료 || 비고 || || '''역사체험관광''' || [[서산시청]]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보원사지 → 개심사 → 해미읍성(중식) → 해미국제순교성지 → 서산시청 || 매주 토요일 || 만 19세 이상의 성인: 5,000원[br]어린이·청소년(만 4~18세), 경로(만 65세 이상, 등록장애인(경·중증 무관), 군인): 3,000원 ||<|2> || || '''가족체험관광''' || 서산시청 → 해미읍성 → 간월암 → 서산버드랜드 → 류방택전문기상과학관 → 서산동부전통시장 → 서산시청 || 매주 일요일 || 상시 운행 || || '''산해진미 코스관광''' || 서산시청 → 황금산 → 삼길포항 (중식) → 충남서북부관광 환경학습센터 → 안견기념관 → 서산동부전통시장 → 서산시청 ||<|2> 금요일 ||<|2> 단체 사전 예약시 운행 || || '''고즈넉코스''' || 서산시청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달빛미술관 → 여미오미 (중식) → 일락사 → 해미읍성 → 서산시청 || * 예약안내: [[https://www.seosan.go.kr/tour/contents.do?key=972]] == 주요 관광지 목록 == 서산시의 관광지는 주로 외곽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주변 관광지 간의 거리가 상당하다. 서산시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해미읍성과 서산시내의 번화가인 서산중앙호수공원을 보러 간다면 당일치기만이라도 충분하나, 관광지를 추가로 방문할려면 최소 1박 이상 체류하는 것이 좋다. 서산9경에 들어간 관광지는 '''볼드체'''로 처리한다. === 서산시 중부 지역 (동 지역, 음암면, 성연면, 팔봉산, 인지면) === * --남양여관 (동문동)--: 과거 1970~2000년대까지 고위공무원들이 서산에 출장하면서 숙소로 이용되던 곳으로, 서산시 원도심과 서산의 향토사를 모아둔 곳이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되어 자물쇠가 채워져있어 언제 재개될 지는 알 수 없다. * 옥녀봉(부춘산전망대) (동문동): 서산시내 북부에 있으며, 서산시내의 전망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이. 여담으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10 미만인 시정이 매우 좋은 날씨에는 부춘산전망대 조망 방향 기준으로 남측의 모든 곳을 조망할 수 있다. 설치 방향 기준으로 서쪽에는 가야산이 자리잡고 있어 매년 1월 1일 새해 첫 날에 이곳에서 일출행사를 진행한다. * 서산중앙호수공원 (읍내동): 서산예천지구 도시개발구역 및 공원조성사업으로 2008년에 완공한 호수공원으로, 서산의 대표적인 수변공원이다. 서산중앙호수공원은 과거 농업용수로 활용되었던 저수지로 사용되었으나, 1970년~1980년대 서산시 도심의 확대와 인구 증가에 의한 분뇨, 생활 하수의 급격한 유입, 쓰레기의 무분별한 투기로 인해 '똥방죽'으로 부르면서 당시 서산시민들이 기피하던 장소로 여겨왔다.[* [[https://www.grandculture.net/seosan/toc/GC04100113|중앙호수공원]], 디지털서산문화대전] 호수 권역은 읍내동에, 그의 남측인 상업지역에서는 예천동에 걸쳐있어 상권이 매우 활발하며 호수 북서부 구역에는 스타벅스 서산호수점이 자리잡고있다. * 서산동부전통시장 (동문동): [[서산공용버스터미널]] 바로 옆에 있으며, 서산을 대표하는 전통시장이다. 또한 바로 인근에는 그린필백화점이 자리잡고 있었으나 인근 예천사거리에 롯데마트(舊 롯데마그넷) 서산점이 들어서면서 상권이 위축되기는 했으나, 저렴한 가격에 동부시장을 찾기도 한다. 동부시장이 형성되기 이전에는 과거 읍내동에 서부상가랑 공존하면서 서산 전통시장의 양대산맥으로 자리잡았으나 상권의 중심지가 동부시장으로 이동하면서 그대로 몰락하고 말았다. 여담으로 서산터미널과 바로 붙어있는 지리적 특성상 서산터미널 이전에 강하게 반대하던 흑역사가 있었기에 서산 토박이의 교통동호인에게는 이로인한 반감마저 있을 정도이다. * 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인지면): 애정리 위치. 서산 출신 [[여말선초]]의 천문학자 [[류방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천문관이며 2010년 9월 1일에 정식으로 개관했다. 특이하게도 산간 지역이 아닌 저지대 지역에 세워졌다. 역시 이곳도 매년 5월 중에 류방택 별축제를 열고 있어 천문학 인프라 전파에 힘을 쓰고 있다. * '''[[팔봉산]]''' (팔봉면): 서산5경. 서산의 가야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산이며 높이가 362m에 달한다. 1307년 고려의 시문집 《호산록》에 따르면, 산이름은 8개의 암봉이 줄지어 서 있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등산 난이도가 황금산 보다 높기에 초보 등산가마저 여기에서 약간의 고생을 치룰 정도이다. 정상에서는 가로림만의 해변 풍경과 서산시의 대부분의 지역이 가시권에 들어가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수치가 5 이하 정도 되는 매우 깨끗한 날씨가 이어질 경우 인근의 태안읍내, 가야산은 물론 심지어 만리포해수욕장, 대산석유화학단지, 천수만, 당진시내까지 포함, 반경 25km까지 가시권에 들어간다. 이곳에서 서산의 특산물 감자가 생산되고 있으며 매년 6월 말에는 특산물 감자를 이용한 팔봉산 감자축제가 열린다. === 서산시 북부 지역 (지곡면, 대산읍) === * 웅도: 섬의 모양이 웅크리고 있는 곰과 같이 생겼다해서 웅도로 불리고 있다. 과거 이곳은 그리 유명하지 않았으나, 웅도와 서산 본토를 잇는 유두교가 화성시의 제부도처럼 물때시간에 따라 잠겼다가 다시 드러나는 아름다운 경치로 인해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에 입소문을 타면서 '서산의 숨은 관광지'로 자리잡게 되었다. 다만, 전자에 언급한 유두교는 물때 시간을 맞춰야 하는 웅도리 주민들의 불편이 잇따르면서 연륙교를 2025년 완공을 목표로 2023년 3월에 착공에 들어가면서 기존의 유두교가 철거되어 제모습을 완전히 잃긴 했지만, 이 웅도를 포함한 가로림만은 갯벌로 상당히 유명해 아이들의 자연체험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 '''삼길포''': 서산9경. 서산을 대표하는 수산시장이며, 화곡리에 위치해있다. 바로 서편에는 화곡어린이집과 삼길포를 잇는 '서산아라메길 삼길나루길'이라는 트래킹 코스가 있어 트래킹 목적으로 많이 찾기도 한다. 인근에 무역항 대산항이 위치해있어 가끔 인근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점심식사를 이곳에서 해결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매년 8월 말에 '삼길포 우럭 축제'를 열고 있어 삼길포는 언제나 헬게이트로 돌변하며 주말에도 항상 헬게이트가 되버린다.[* 참고로 차로 10분 정도 걸리는 [[당진시]]의 도비도와 마주보고 있는데, 완전히 상권이 이어지고 있는 삼길포와 다르게 도비도의 분위기와는 완전히 대비된다. 과거 도비도는 1998년 한국농어촌공사가 휴양단지를 조성해 어느정도 서산시와 경쟁체제를 이어나갔으나 [[한국농어촌공사]]의 경영난으로 인해 2014년에 도비도 주변 상업시설을 폐업해 상권이 한방에 몰락하면서 삼길포에서는 이게 오히려 반사이익으로 작용해버렸다. 덕분에 삼길포는 서산시의 지속적인 투자 덕분에 관광객이 많이 찾아오며 상권이 잘 돌아가고 있다.] * '''황금산''': 서산7경. 독곶리에 위치. [[29번 국도]], [[28번 국도]]의 종점이 이곳에 위치해있다. 이곳에 [[골드러시|황금이 다량으로 발견되면서]] 황금산으로 명명되었으며, 금을 파내던 흔적이 남아있다. 높이가 129.7m에 달해 등산 난이도가 매우 낮아 초보 등산가들에게는 추천할만한 산이며 이곳을 완주하면 3시간 이내 정도 걸린다. 인근 절벽 트래킹인 코끼리바위에는 2021년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촬영되었을 정도로 등산객 및 관광객들의 방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곳 황금산은 사진촬영 및 방문에 상당히 제약이 걸리는데 동편에 국가중요시설 가급으로 지정된 석유화학단지인 [[한화토탈에너지스]], [[한화임팩트]]가 입지해있어 해당 방향으로의 사진촬영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며, 이 지역 주변의 석유화학단지 조성 전에 과거 냉전 시기 때 적성국가인 중공, 북괴으로부터의 밀입국 및 무장간첩 루트로 활용된 적이 있기에, 황금산 남측에는 중대 규모의 군대가 주둔하고 있고, 황금산 전체 지역이 군사작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기에 입산시간이 상당히 까다로우며 일몰 ~ 일출 시간대에는 출입이 철저히 통제된다. * 안년기념관 (지곡면): 화천리(지곡면내) 위치. 이곳 출신인 조선 전기의 화가 안견(安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91년에 안견기념관을 세웠으며, 매년 5월 말에는 안견문화제의 일종인 '안견 미술대전'을 열리고 있다. * 왕산포구 (지곡면): 중왕리 위치. 이곳에 낙지와 주꾸미가 중왕리의 대표적인 수산물이며 매년 5~6월에 이곳에서 [[가로림만]]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을 주제로 진행하는 '서산갯마을축제'를 진행하기도 하며 웅도와 같이 아이들의 자연체험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알려지지 않는 사실인데, 중왕리 왕산포구로 가는 왕산이로의 벚나무들이 매년 4월이 되면 벚꽃들이 만개해 이곳으로 가는 경치가 상당히 아름답다. === 서산시 동부지역 (음암면, 운산면, 해미면) === * '''[[해미읍성]]''' (해미면): 서산1경. [[전라북도]] [[고창군]]의 고창읍성, [[전라남도]] [[순천시]]의 낙안읍성과 함께 국내에 원형에 가까이 보존된 몇 안되는 읍성이기도 하다. 과거 2014년 프란치스코가 이곳을 방문하면서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큰 폭으로 급증하면서 이제 서산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상징하게 되었다. * 해미국제성지 (해미면): 서산을 대표하는 순교성지이며, 인근 해미읍성과 관련이 매우 깊은 천주교(가톨릭) 성지이다. [[오페르트 도굴사건]]으로 인해 가톨릭 박해의 도화선이 되었던 [[병인양요]]가 시작되면서 가톨릭 신자들을 이곳에 생매장하기도 했다. 참고로 이곳은 '여숫골'이라 부르고 있는데, 가톨릭 신자들이 절체절명의 순간에 울부짖던 '[[예수]] [[성모 마리아|마리아]]'라는 말이 '여수머리'로 변형되었고 또다시 한 번 변형되어 여숫골로 불리우게 되었다. * '''서산마애여래삼존상''' (운산면): 서산2경. 국보 제84호로 지정되었으며 백제시대의 불상 조각 작품으로, 흔히 '백제의 미소'라고 불리고 있다. * 해미천 벚꽃거리: 해미천을 따라 중앙로([[국도 29호선]] - [[국도 45호선]])의 해미2교 - 해미교 구간의 약 1.7km의 길이에 벚나무들이 심어져있는 거리로, 이 벚꽃거리에 상술한 해미국제성지가 있어 해미천 벚꽃거리를 방문하게 된다면 국제성지를 세트로 추가로 방문한다. 매년 4월에 해미천벚꽃축제를 진행하고 있어 방문객이 많이 찾아오고 있긴 하나, 현재 남문1로의 해미천교 교량 재건축 공사로 인해 2023년, 2024년에는 축제를 개최하지 않았다. * '''개심사''' (운산면): 서산4경. 충남의 대표적인 4대[* 나머지는 [[공주시]] [[마곡사]], [[예산군]] [[수덕사]] 그리고 [[부여군]] [[무량사]]] 사찰이며 [[백제]]의 [[654년]]에 혜감국사가 창건하여 고려 충정왕 2년인 1350년에 처능대사에 의하여 중수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대웅전의 기단만이 백제 때의 것이고 건물은 1475년에 산불로 소실된 것을 1484년에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보물 제143호로 지정된 개심사 대웅전은 창건당시의 기단 위에 1484년에 중창한 다포식과 주심포식을 절충한 건축양식으로 그 작법이 미려하여 건축예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이곳을 지나기 전에 신창저수지를 따라가는 개심사로는 매년 4월 초가 되면 벚꽃길이 상당히 아름다워 수많은 상춘객들이 이곳을 방문하기도 하며[* 출처: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f718a0d7-dd1e-43a5-9f70-52a3cdb49840|개심사(서산)]], 대한민국 구석구석] 가야산의 등산로 입구에 위치하고 있기에 등산객들 또한 많이 찾는다. ##서산시는 문화유산, 자연관광지 등의 인프라가 골고루 갖추어져 있다. ## ##서산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는 다름아닌 [[해미읍성]]을 예로 들 수 있다. 해미읍성은 2014년 이뤄진 [[프란치스코(교황)/한국 방문|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때 [[프란치스코(교황)|프란치스코 교황]]이 방문해 유명해진 [[http://www.haemi.or.kr|해미성지]]와 해미읍성이 특히 [[가톨릭]] 신자들에겐 유명해 [[성지순례]] 목적으로 자주 오며, 오죽하면 서산을 관광차로 처음 방문할 때, 해미읍성을 무조건 맨 처음 보러가야 한다는 암묵의 룰이 깔려있을 정도이다. 해미읍성 외에 다양한 문화유적 또한 유명한데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舊 서산 마애삼존불상], [[개심사]], 보원사지[* 이 사지에서 출토된 문화재가 [[보원사지 출토 철제여래좌상]]이다.] 등이 있다. ## ##자연경관도 역시 대체로 무난히 깔려 있다. 특히 대산읍의 삼길포항이 가장 유명하며 차로 10분 정도 걸리는 [[당진시]]의 도비도와의 분위기와는 완전히 대비된다. 삼길포는 서산시의 지속적인 투자 덕분에 관광객이 많이 찾아오며 상권이 잘 돌아가고 있다. 그러나 당진 도비도는 1998년 한국농어촌공사가 휴양단지를 조성해 어느정도 서산시와 경쟁체제를 이어나갔으나 [[한국농어촌공사]]의 경영난으로 인해 2014년에 도비도 주변 상업시설을 폐업해 상권이 한방에 몰락하면서[* 폐건물은 기본이고 관리를 한 흔적은 제대로 찾아볼 수 없어 낮만 아니면 분위기가 굉장히 음산하다. 도비도에 농어촌 휴양단지 개발이 예정이 되어있긴 하나 언제 시작할지는 미지수이다.] 삼길포에서는 이게 오히려 반사이익으로 작용해버렸다. 뿐만 아니라 매년 삼길포 우럭 축제를 열고 있어 삼길포는 언제나 헬게이트로 돌변하며 주말에도 항상 헬게이트가 되버린다. ## ##해수욕장으로는 [[서산 벌천포 해수욕장|벌천포해수욕장]]이 대표적인 해수욕장이며 [[1박 2일]] [[1박 2일/2010년#s-5|촬영지]]가 된 후에 피서객들이 많이 이용하며 북쪽에서 400m만 올라가면 벌천포오토캠핑장까지 있어 캠핑족들이 많이 찾아오기도 한다. ## ##웅도도 벌천포와 함께 꽤 유명하다. [[아빠! 어디가? 시즌2]]와 2018년 [[불타는 청춘]] 팀이 방문해 이른바 '히든 관광지'로 떠올랐다. 대신 웅도의 연륙교가 없고 [[서신면|화성]]의 [[제부도]]처럼 해당 섬을 연결하는 바닷길이 유일하기에 간조시간을 잘 확인해야 한다. 참고로 예전 바닷길은 편도 1차로에 도로포장도 꽤 나빠 오가기에 꽤 위험했지만[* 난간마저 없어 마주오는 차가 있으면 이건 마치 목숨걸고 비좁은 도로를 왔다갔다 해야 했다. 자칫 잘못하다가 실수가 나면 뻘에 빠지는 참사가 이어지며 밀물시간이 다가오면 차를 버리지 않는 이상 침수사고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로재포장과 안전시설을 보강해 위험성이 줄어들었지만 바닷길을 '리모델링'했기에 연륙교 형태로는 짓지 않았으나, 갯벌 생태계를 복원 및 간조시간으로 인한 생활권 단절 등으로 인해 서산시 본토와 웅도를 이어주는 연륙교가 2023년 3월에 착공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2025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연륙교가 착공에 들어가면서 웅도의 상징인 유두교가 철거되어 예전의 모습을 많이 잃긴 했으나, ## ##이외에 용현계곡, 팔봉산, [[가야산#s-2]], 간월도[* 원래는 섬이었으나 서산 A·B지구 간척사업으로 인해 섬의 기능을 상실했다.]·간월암, 황금산의 자연경관이 있으며 일반 명소로는 서산류방택천문과학관, 서산버드랜드, 서산동부시장, 서산중앙호수공원 등이 있다. ## ##서산에서 홍보하는 서산9경은 다음과 같다. ## * 제1경: '''[[해미읍성]]''' ## * 제2경: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 제3경: 천수만 간월암 ## * 제4경: [[개심사]] ## * 제5경: 팔봉산 ## * 제6경: [[가야산#s-3]] ## * 제7경: 황금산[* 해당 지역은 군사보호지역이므로 동절기에는 17시 이후에, 하절기에는 18시 이후에 입산이 통제된다. 우측에는 대산석유화학단지가, 좌측에는 육군 대대가 주둔해있기에 해당 방면으로의 사진 촬영은 금지되어 있어 사진을 찍을 방향을 조심해야 한다. 2021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인 [[오징어 게임]]에서 황준호와 프론트맨이 대치한 장면이 촬영되었다.] ## * 제8경: 서산 한우목장[* [[서해안고속도로]] [[서산IC]]-[[해미IC]]를 달리다보면 도로 밖 양 옆에 잔디만 넓게 깔려있는데 거기가 바로 한우목장이다. 용현목장이라고 불리우며 1998년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 시절 때 북한으로 간 소들이 여기서 자랐다.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때도 여기서 자란 한우를 이용해 한우숯불구이의 만찬재료로 쓰였다.] ## * 제9경: 삼길포 ## ##2021년 9월 3일, [[한국관광공사]]의 브랜드의 Imagine Your Korea 유튜브에서 [[매드 맥스 시리즈|매드맥스]]를 패러디한 위의 머드맥스 영상이 공개되어 인기가 날이 갈수록 올라가고 있다. 운산면의 유기방가옥부터 시작해, 해미읍성, 부석면의 간월암, 마지막으로 경운기 무리가 대산읍 오지리 갯벌을 주행하는 영상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서산시, version=1264)] [[분류:서산시의 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