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3> {{{+2 '''서소문역'''}}}[br]{{{#red '''(폐역)'''}}} || ||<-3> {{{#!folding 경성순환노선(폐지) 운행계통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html
외선순환}}}--[[서울역|경 성]][br]← 0.7 km-- || [[경성순환노선|{{{#!html
경성순환노선}}}]] || {{{#!html
내선순환}}}--[[아현리역|아현리]][br]1.1 km →-- ||}}}}}} || ||<-3> [include(틀:지도, 장소=서소문건널목,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가나 ||<-2> 西小門[br](せいしょうもん) || || 로마자 ||<-2> Seishōmon || ||<-3> '''주소''' || ||<-3>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 의주통2정목[br](現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현동 326) || ||<-3> '''역 운영기관''' || || [[경의선|{{{#ffffff 경의선}}}]] ||<-2> [[조선총독부]] 철도국 || ||<-3> '''개업일''' || ||<-3> 1930년 12월 25일 || ||<-3> '''폐업일''' || ||<-3> 1944년 3월 31일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경성 방면}}}]][[서울역|경 성]][br]← 0.7 km || '''[[경의선]]'''[br]서소문 || [[신의주청년역|{{{#!html
신의주 방면}}}]]--[[아현리역|아현리]][br]1.1 km →-- || ||[[파일:가교형서소문건널목.jpg|width=200%]]|| || [[경의선]] 승강장 주변(現 서소문건널목). 2021년 7월에 가교형으로 바뀌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경의선]] 역이다. 당시 주소로 "[[경기도]] [[경성부]] [[서대문구]] 의주통2정목"에 있었다. 서소문건널목 바로 아래 자리. == 역사 == 1930년에 [[경성순환노선]]이 운행하면서 [[경의선]]도 취급하기 시작했다. 이름은 옆에 있었던 [[소의문]]의 이명인 서소문에서 따 왔다. 서울역(당시 경성역)과의 역간거리는 겨우 0.7km으로 바로 코앞에 있었으며, 걸어서 10분 정도만 가면 된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일본 제국|일제]]가 전쟁물자 공출을 위해 [[용산선]]과 [[경성순환노선]]을 다니던 가솔린 열차를 모두 가져가면서, 이 역과 [[아현리역]], [[원정역(용산선)|원정역]], [[미생정역]], [[공덕리역]] '''건물을 뜯어가는''' 짓을 저질렀다. 그리고 결국 폐역당하고 말았다. == 폐역 이후 == 폐역 이후 일제강점기가 끝나면서 [[6.25 전쟁]] 등의 혼란이 이어졌고, [[경성순환노선]] 운행계통이 끝내 운행재개되지 못했듯 이 역 역시 다시 열리지 못했다. 이후 역 터 지하를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지나게 되었는데, [[시청역(서울)|시청역]]과의 역간거리의 문제 등으로 인해 역 터에 역이 생기지는 않았다. 역간거리를 어찌어찌 조정해서 [[충정로역]] 대신 이 위치에 2호선 역이 생겼다면 [[경의선]]상의 서소문역이 부활했을 수도 있겠지만, 이 경우에는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과의 거리로 인해 환승여부가 불투명했을 수도 있다. 설령 환승이 되었더라도 [[노원역]]급 [[막장환승]]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충정로역]]이나 [[서대문역]]과의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s-2.1.8|가까운 거리로 인해]] 일부에서는 이 서소문역 터 근방에 경의선 서울역지선 운행계통용 충정로역[* 경의·중앙선 서울역 지선 충정로역]을 짓고 200m 정도로 환승통로를 지어서 2, 5호선과의 막장환승이라도 시키면 안 되냐는 주장도 종종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이 배차간격이 심히 안 좋은데(NH 15~20분)다 서울역 방면 운행계통은 타 전철노선 환승연계가 전무하여, [[홍대입구]]나 [[공덕역]]으로 가는 승객 입장에선 서울역행(...)이 들어오면 열 뻗쳐서... == 서소문건널목 == 이렇게 역 자체는 사라졌지만 위치 자체는 철도동호인들에게 자주 회자되고 있는데, [[경의선]]과 [[서소문로]]와의 교차로 인해 한국의 대표적인 [[열리지 않는 건널목]]의 사례로 자주 언급되기 때문이다. 해당 위치를 입체교차하는 서소문고가차도가 이미 1960년대에 건설되었고 보통은 이렇게 입체교차시설이 설치되면 기존 평면교차하는 [[건널목]]은 폐쇄되지만, 이 서소문고가차도가 경의선 선로와 해당 구간을 병주하는 [[통일로]]와는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부득이 아직까지도 건널목이 유지되고 있다. 설령 폐쇄되더라도 가까운 거리의 [[충정로]]나 칠패로([[염천교]])를 통해 서소문로와 통일로간 통행이 가능하긴 하지만, 교통량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한다고 판단된건지 별도의 폐쇄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이렇게 건널목이 긴 시간동안 열리지 않을 때가 있다보니,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버스노선은 전무하다. 이 구간을 경유할법한 노선으로는 충정로를 경유해 회차하는 [[서울 버스 370|370번]]이나 [[서울 버스 서대문06|서대문06번]] 버스나 인천 ~ 서울역간 [[광역버스(인천)|인천 광역버스]]들이 있으나, 모두 노선의 굴곡도가 있더라도 서대문건널목 대신 [[염천교]]를 경유하고 있다. 이런 특수성으로 인해 대중매체의 배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박효신]]의 노래 "[[별 시 (別 時)]]" 뮤직비디오의 사례가 있다. 다만 분문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제로 가면 해당 위치에 [[공중전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무한도전 니가 가라 하와이]] 특집에서도 [[열리지 않는 건널목]]인 서소문건널목이 등장하였다. [[길(가수)|길]]이 제한시간 안에 미션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데 서소문건널목에 무궁화호 기차가 계속 지나가서 시간이 지체되는 모습이 찍혔다.[[https://youtu.be/xK4U9KZ2nR4&t=34|#]]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의선의 역 목록)] [[분류:193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44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서대문구의 폐지된 철도역]][[분류:경의선의 폐지된 철도역]][[분류:경의선]][[분류:경성순환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