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식물]] [목차] == 개요 == 서양고추나물(학명: Hypericum perforatum, 영어 : St John's-wort)은 흔히 영명을 그대로 읽어서 '세인트 존스 워트', 직역해서 성요한풀[* [[세례자 요한]]의 축일([[6월 24일]])에 꽃이 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등으로 불리며, [[우울증]]에 유효한 성분이 함유되어있는 식물이다. 히페리신(hypericin) 성분이 [[세로토닌]] 수치를 증가시킨다. 진단&처방 없이도 구입, 복용할 수 있으나, 햇빛에 약해지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다른 약과 함께 복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잘 알아보는 것이 좋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히페리신(hypericin) 성분보다 히페포린(hyperforin) 성분의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로토닌 뿐만 아니라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그 기전은 [[항우울제#s-3.3|MAOI]]와 다르다고 한다.[[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01991/|출처]] 일반적인 [[항우울제]]보다 부작용과 진정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SNRI]] 항우울제나 세로토닌 보충제([[트립토판]] 보충제 등)를 함께 복용시 [[조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항암치료제나 [[피임약]]과도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알약으로 복용하여 정확한 섭취용량을 확인하도록 하자. 가급적 유명한 브랜드의 제품을 복용하고, 한 회 300~450mg정도씩 하루 2~3회 복용한다. 국내에서는 [[유유제약]]의 노이로민과 [[동국제약]]의 마인트롤이 약국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해외 직구시에는 Nature's way의 페리카 제품이 WS® 5570 특허를 이용해 생산되고 있다.[* 히페포린은 산화가 잘 되기 때문에 식물 조직 형태의 생약은 다소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WS® 5570 특허 또한 히페포린의 산화를 막는 게 주 목적이다. 다만 특허 적용된 제품은 같은 브랜드의 생약에 비해 가격이 세 배로 올라간다.] 해당 제품들이 아니라도 성분(히페리신과 히페포린)이 표준화된 제품을 사는 것이 좋다. 복용 후 약 2시간이 지나기 전 약간 기분이 들뜨기 시작한다. 2주에서 4주 동안 복용해야 임상적인 효과가 나타나며, 만성 우울증과 중증 우울증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다. 또 복용을 중단할 때에도 다른 항우울제처럼 복용량을 점차 줄여나가야 한다. [[ADHD]]에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으나 우울증, 불안감이 동반되는 경우 효과가 있을 수 있다. ADHD는 우울, 불안 등의 다른 정신질환과 같이 오는 경우가 많다. == 부작용 == *[[https://en.wikipedia.org/wiki/Copaiba|코파이바]]와 함께 복용하면 간손상을 유발한다.[* 출처 doi: 10.1590/s1679-45082014rc2953] == 관련 문서 == *[[https://ko.m.wikihow.com/세인트-존스-워트-사용하는-방법|위키하우의 서양고추나물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