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서여향병'''은 [[마]]를 통째로 찐 다음 썰어서 꿀에 재어 두었다가 찹쌀가루를 묻혀 번철에 지져낸 다음 잣가루를 입힌 떡이다. 조리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귀한 재료들로만 만들어지므로 귀한 손님이나 오셔야 미리 준비해두었다가 차와 함께 내는 일종의 [[다식]]이다. 푹 무르게 찌지 않아 미세한 사각거림은 입안에 남아 좋고, 찹쌀가루 옷을 입고 기름에 지졌으므로 마치 떡 같은데 꿀의 달콤함에 잣이 더하는 향이 어찌나 훌륭한지 이름을 [[전(한국 요리)|전(前)]]이라 하지 않고 서여향병이라 부른다. [[마]]는 기운을 보하고, 살을 찌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기억력을 좋게 하는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생식해도 소화흡수가 잘되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 역사 == 빙허각 이씨의 저서인 <[[규합총서]](閨閤叢書), 1815>에 처음으로 '서여향병'이란 떡 이름과 그 제법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떡은 조선시대 후기에 만들어 먹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주방문]](酒方文), 1800년대 중엽>, <[[역주방문]](歷酒方文)> 등에는 서여향병이 산약병(山藥餠)으로 기록되어 있다. == 어원 == {{{+1 [[薯]]}}}[* 감자 서]{{{+1 [[蕷]]}}}[* 참마 여]{{{+1 [[香]]}}}[* 향기 향]{{{+1 [[餠]]}}}[* 떡 병] [[마]]로 만든 향기로운 떡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떡 == 조리법 == > 재료 : 생마 1kg, 꿀 1컵 반, 찹쌀가루 1컵 반, 잣가루 2컵, 식용유 적당량 1. [[마]]는 직경 5㎝ 정도의 일정하고 곧은 것을 준비하여 껍질을 벗겨 두께 0.5㎝, 직경 6㎝의 타원형이 되도록 비스듬히 썰어 김 오른 찜통에 5분간 찐다. 2. 한 김 나간 후에 쪄낸 [[마]]를 꿀에 20분간 재어둔다. 3. 쪄서 꿀에 재운 [[마]]는 고운 찹쌀가루로 앞뒤를 묻혀 낸 후, 기름 두른 팬에 노릇노릇하게 지져낸다. 4. 잣은 고깔을 떼고 마른 행주로 닦은 후 종이를 깔고 칼로 곱게 다져 잣가루를 만든다. 지져낸 [[마]]는 기름을 빼고 곱게 다진 잣가루에 묻혀 낸다. == 관련 프로그램 == * '''경복궁 생과방'''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토대로 실제 임금이 먹었던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를 오늘날에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체험프로그램 생과방 내부에 위치한 호궤소에서 궁중병과와 궁중약차 메뉴를 직접 선택한 후 안내에 따라 궁중다과를 시식, 체험 가능 * '''2020 궁온 - ON 생과방''' '궁온'은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와 한국문화재재단의 비대면 궁궐 활용프로그램으로 온라인으로 편안한 시간과 공간에서 궁궐의 아름다움을 경험가능 그동안은경복궁 생과방을 방문해야만 맛 볼 수 있었던 서여향병을 집에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오프라인, 온라인 모두 서여향병을 비롯한 궁중다과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진행 == 관련 문서 == [*출처1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956119&cid=48169&categoryId=48221|참조]].] [[분류:한국의 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