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강서구)] [[파일:강서07.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서07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강서07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생태공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마곡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40(평일) / 06:00(토요일·공휴일) ||<|2> 기점[br]행 || 첫차 || 06:00(평일) / 06:20(토요일·공휴일) || || 막차 || 23:10 || 막차 || 23:30 || ||<-2> 배차간격 ||<-4> 25~35분 || ||<-2> 운수사명 || [[염동운수]] ||<-2> 인가대수 || 2대 || ||<-2> 노선 ||<-4> 생태공원 - 정곡초교 - 방화4단지 - 방화3동주민센터 - [[방화역]] - 방화동동부센트레빌아파트 - 프라임마트 - 길훈아파트 - 마곡앰밸리1단지 → [[마곡나루역]] → [[마곡역]] → 강서세무서.공항초교 → → 마곡앰밸리7단지 → 마곡앰밸리3단지 → 이후 역순 || == 개요 == [[염동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2.6km다. [[http://map.naver.com/?busId=557&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인가댓수에 비해 노선이 너무 길었던 [[서울 버스 강서06|강서06번]]이 2012년 5월 7일에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노선은 기존 강서06번의 '생태공원 - 양천향교역' 구간을 분리했다. 차량은 강서06번에서 2대를 차출했고, 1대를 순증차해 총 3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수요가 시원치 못했는지 2014년부터 일요일에는 2대로만 운행한다. * 강서구에서 마곡지구 교통대책을 위해 내놓은 조정안을 서울시에서 받아들이면서, 2016년 4월 1일에 '정곡초교 - 가양전화국' 구간이 '정곡초교 - 방화역 - 마곡지구 - 마곡역'으로 변경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6798347|강서07번, 강서08번 등 마을버스 노선조정건에 대한 검토의견 회신(버스정책과-20649, 15.11.28)]] 이로써 강서06번과 07번의 양천향교역 연계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 2016년 하반기쯤, 1대가 감차되어 강서06번으로 투입되었다. == 특징 == * 강서06번 시절에 수요가 적던 구간을 떼어 독립시킨 노선이라 배차간격이 매우 길게 설정되어 있다. 시에서마저 순증차를 1대만 허가해줬다. 가양전화국 시절부터 시내버스 수요를 주워먹거나 서광아파트와 방화2단지에서 방화역으로 가는 수요로 버텼으나, 마곡지구 구간으로 변경된 현재는 시내버스 수요를 주워먹는 게 사라진데다 배차간격이 너무 길어지니 승객수가 많이 적어졌다.[* [[방화역]]에서 [[방화차량사업소]]로 출근하는 [[서울교통공사]] 철도원들이나 차량사업소로 견학가는 [[철도 동호인]]들이 강서07번으로 환승하는 경우가 있지만, 방화기지로 출입하는 경로는 거의 다 방화기지로 입출고하는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5호선 차량들]]에 탑승하거나 서울교통공사 웹사이트에서 제공한 '방화기지 오시는 길' 부분을 참고 및 도보하여 이동한다.] * 6646번 폐선 이후 경남길훈, 한솔솔파크 아파트 등 운행노선이 없었는데 강서07번이 변경된 이후로 해결되었고, 이 노선 변경을 이유로 [[서울 버스 6647|6647번]]이 다니는 6646번 대체구간도 동시에 양천로로 변경되었다. * 가스 충전 또는 차량 주박은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강서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서07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327명 || - || || 2014년 || 1,257명 || {{{#blue ▽ 70}}} || || 2015년 || 1,175명 || {{{#blue ▽ 82}}} || || 2016년 || 560명 || {{{#blue ▽ 615}}} || || 2017년 || 377명 || {{{#blue ▽ 183}}} || || 2018년 || 378명 || {{{#red △ 1}}} || || 2019년 || 370명 || {{{#blue ▽ 8}}} || || 2020년 || 297명 || {{{#blue ▽ 73}}} || || 2021년 || 309명 || {{{#red △ 12}}} || || 2022년 || 311명 || {{{#red △ 2}}}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방화역]], [[마곡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방화역]], [[마곡나루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마곡나루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 강서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