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포구)] [[파일:Mapo01.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마포01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산천동(산천동리버힐삼성아파트) ||<-2> 종점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문동(용문시장.새마을금고) || ||<|2> 종점[br]행 || 첫차 || 06:00 ||<|2> 기점[br]행 || 첫차 || 06:30 || || 막차 || 23:30 || 막차 || - || ||<-2> 평일배차 || 7~10분 ||<-2> 주말배차 || 10~13분 || ||<-2> 운수사명 || [[웅산교통]] ||<-2> 인가대수 || 5대 || ||<-2><|2> 노선 ||<-4> 산천동리버힐아파트 - 청암대 - 우성아파트 - 샛별문방구.[[마포역]] - [[공덕역]] - __도화동현대1차아파트__ - __도원삼성래미안아파트__ → 중앙하이츠빌라 → 용문시장.새마을금고 → 용문동주민센터 → 도원삼성래미안아파트 → 이후 역순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 개요 == [[웅산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4.5km이다.[[http://map.naver.com/?busId=1680&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개편 전 마포구 2번 마을버스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마포0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7월 6일 도원삼성래미안 단지내를 경유하도록 변경된 노선을 따르기 시작했다. * 코로나-19 유행기간 중 막차시간이 00시에서 23시 3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23년 산천동 방면 샛별문방구,마포전철역 정류장이 기존 정류장에서 좌회전 이후 삼개로 상에서 승하차하도록 이전되었다. 도화길이 [[마포대로|마포대로]] 건너편으로 넘어가려는 차량들로 상습정체가 심해 조정된 것으로 보인다. == 특징 == * 마포구 노선이나 [[아웃 ○○ 노선|기종점과 회차지점이 모두 용산구다]]. 마포구 내 구간이 용산구 내 구간보다 조금 더 길다. * 마포역-공덕역 동쪽의 [[도화동(서울)|도화동]]을 옆으로 기울어진 U자처럼 감싸는 선형의 노선으로서, 기종점인 원효로2동 주민센터와 회차점인 용문시장과는 '''같은 효창원로 상의 800여m''' 정도의 거리라서 이 버스를 타고 가는 것보다는 [[서울 버스 0017|0017번]] 버스를 타는 것이 --당연히도--유리하다. 3정거장 거리로 5분 내외밖에 안 걸린다. * 인가상으로 기종점은 원효로2동 주민센터(산천동 리버힐삼성아파트)지만, 100m 떨어진 곳의 놀이터 앞에서도 승객을 받는다. * 아파트 단지 내부를 경유한다. 새창로에서 도화현대아파트(마포구)와 도원삼성래미안아파트(용산구)를 각각 경유했다 나온다. 단지 내 이용객이 많다. 단 주의할 점은 이렇게 주 경로에서 살짝 빠져서 어딘가를 들어갔다 나오는 정류장이 으레 그렇듯 [[혼동하기 쉬운 버스|공덕역, 마포역 방향과 용문시장, 효창공원역 방향의 양방향으로 다 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아파트에 하차할 필요가 없는 사람들은 새창로를 그대로 달리는 [[서울 버스 1711|1711번]]을 이용하면 된다. * 대단지 아파트를 여럿 지나는 탓에, 퇴근시간대에는 지하철역 인근부터 [[가축수송(교통)|버스가 꽉 차 서있기도 어렵게]] 되어버린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마포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3,209명 || - || || 2014년 || 3,409명 || {{{#red △ 200}}} || || 2015년 || 3,506명 || {{{#red △ 97}}} || || 2016년 || 3,381명 || {{{#blue ▽ 125}}} || || 2017년 || 3,400명 || {{{#red △ 19}}} || || 2018년 || 3,533명 || {{{#red △ 133}}} || || 2019년 || 3,606명 || {{{#red △ 73}}} || || 2020년 || 2,702명 || {{{#blue ▽ 904}}} || || 2021년 || 2,582명 || {{{#blue ▽ 120}}} || || 2022년 || 2,757명 || {{{#red △ 175}}}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마포역]], [[공덕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공덕역, [[효창공원앞역]][*A 단, 바로 앞에서 연계되는 것은 아니라서, '중앙하이츠빌라'(03543) 정류장과 역 6번 출구가 정류장의 이름답게 빌라들 사이의 골목길을 거쳐 250m 가량 떨어져 있다.]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공덕역, 효창공원앞역[*A]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서울 용산구의 교통]][[분류:서울 마포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