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 [[파일:IMG_1820.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7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37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br][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초등학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미아사거리역)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05 || || 막차 || 23:1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7~11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8~12분 / 공휴일 8~13분 || ||<-2> 운수사명 || [[삼화상운]] ||<-2> 인가대수 || 17대[*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 운행] || ||<-2> 노선 ||<-4> {{{#aaa 7단지영업소}}} - 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 - [[상계역]] - 상계5동주민센터 - 보람아파트 - 상계주공9.10단지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1단지.백병원 - [[중계역]] - [[하계역]] - 인덕삼거리 - 신도브래뉴.한전노원변전소 - [[광운대학교]] - 장위래미안아파트 - 국민은행장위동지점 - 장위동고개 - [[창문여고]] → 숭곡초등학교 → [[미아사거리역]] → 송중초등학교 → 송중동주민센터 → 창문여고 → 이후 역순 || == 개요 == [[삼화상운]]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4km다.[[https://map.naver.com/?busId=820&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126|구 35번]] 도시형버스(상계동 - 동대문)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개편 때 상계동 일부와 미아사거리~동대문 구간을 단축, 지선버스 1137번으로 변경되었다. * 월계508교(현 벼루말교) 재설치 및 하천시설물 보축공사로 인해 2009년 11월 23일부터 2010년 4월 15일까지 장월교로 우회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1043|서울특별시 공지사항]] 원래는 2010년 1월 31일까지로 예정됐으나, 중간에 공사계획이 변경되면서 연기되었다. * 2018년 6월 8일을 기해 대당 1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당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8회씩 감회되었다. 일부 시간대의 배차간격도 1분가량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386137|관련 공문]] * 2019년 9월부터 장위동에 아파트가 완공되고 입주를 시작하여 국민은행 장위1동지점 정류소와 장위1동 새마을 금고 정류소 이름이 각각 꿈의숲아이파크아파트와 장곡초교 사거리로 바뀌었다.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본래 1대 존재하던 고정 예비차가 감차되었다. 이 차량이 평일에 단축운행차량과 같은 형태로 운행하던 예비투입차량이므로 평일의 운행댓수는 1대 감축되었으나, 동시에 단축운행차량 중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어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1회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https://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463&off_docu_yn=C|관련 공지사항]]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이 노선은 [[서울 버스 103|103번]], [[서울 버스 172|172번]], [[서울 버스 1017|1017번]] 동일하게 [[장위동#지리|장위동고개]]를 경유하므로 저상버스 의무화에서 예외 노선으로 인정받았다. * [[서울 버스 1140|1140번]]과 같이 상계동에서 광운대역, 미아사거리 방향으로 나간다. * [[월계역]]~[[미아사거리역]] 구간을 제외하면, [[미아사거리역]]까지 [[서울 경전철 동북선]]과 완벽히 일치하는 노선이며, [[월계동(서울)|월계동]]에서 미아사거리를 왕래하는 사실상 유이무이한 노선이다. 덕분에 월계동-미아사거리간 셔틀 노선으로 이용하는 수요도 많은 편. * RH에는 5~7분 배차로 연이어 버스가 오는 모습을 종종 목격할 수 있으며, 상계5동과 9동에서는 7호선을 이용하기 위해 [[서울 버스 1143|1143번]]과 더불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한다. * 동일로에서는 [[서울 버스 105|105번]], [[서울 버스 146|146번]]의 수요를 분담하고, [[서울 버스 노원15|노원15번]]과는 상계주공3/4단지~월계보건지소 구간이 겹친다. * 월계동에서는 등하교시간에 [[서울 버스 261|261번]], [[서울 버스 1017|1017번]]과 같이 광운중/광운공고 학생들의 통학버스로 많이 이용된다. 월계로에 있어서 다른 대체 노선이 많은 인덕대학교와 달리 하계역에서 광운대로 가는 노선은 이거랑 [[서울 버스 1140|1140번]]이다. 그중 1140번의 배차는 답이 없는 수준이고 그마저도 편도 경유다 보니 사실상 이 노선이 유일하다. 이 때문에 이미 좌석을 윗 동네서부터 다 채워와서 대개 콩나물시루로 학교에 도착한다. * 하계동에서 미아사거리로 가려면 [[서울 버스 100|100번]]을 타자. 이 노선은 [[굴곡 노선/버스/서울특별시|월계로를 따라 직진하지 않고 인덕대 앞 인덕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광운대학교, 장위동을 지나는 경로로 우회]]하기 때문이다. * [[광운대학교]] 인근의 월계1동 지역에서 유일하게 하계동 방향으로 간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37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5,440명 || - || || 2014년 || 15,000명 || {{{#blue ▽ 440}}} || || 2015년 || 14,274명 || {{{#blue ▽ 726}}} || || 2016년 || 13,814명 || {{{#blue ▽ 460}}} || || 2017년 || 13,527명 || {{{#blue ▽ 287}}} || || 2018년 || 13,159명 || {{{#blue ▽ 368}}} || || 2019년 || 13,141명 || {{{#blue ▽ 18}}} || || 2020년 || 9,887명 || {{{#blue ▽ 3,254}}} || || 2021년 || 10,117명 || {{{#red △ 230}}} || || 2022년 || 10,673명 || {{{#red △ 55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역]][*A 월계삼거리 정류소 하차 후 도보 200m], [[월계역]][* 월계보건지소 정류소 하차 후 도보 350m]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상계역]][* 미아사거리 방향은 벽산아파트103동 정류소에서 하차], [[노원역]], [[미아사거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마들역]][* 미아사거리 방향은 상계주공12단지1202동 / 상계주공7단지 방향은 상계주공9단지921동 하차],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춘선]]: 광운대역[*A][*연계 평일 오전 8시 44분, 오후 8시 31분 출발만 운행]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0,1권역]][[분류:1985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