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321_292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321_3849.jpg|width=100%]]}}} || || [[서울승합]] 차량 || [[송파상운]]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32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32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강동구청)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05 || || 막차 || 23:40 || 막차 || 00:20 || ||<-2> 평일배차 || 11~15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3~17분 / 공휴일 14~17분 || ||<-2> 운수사명 || [[서울승합]] / [[송파상운]] ||<-2> 인가대수 || 10대[* 서울승합 8대 / 송파상운 2대][* 토요일 9대 / 공휴일 8대 운행] || ||<-2> 노선 ||<-4> [[강동공영차고지]] - 해뜨는주유소 - 삼성엔지니어링 - 상일동주민센터 - 고현초등학교 - [[상일동역]] - 강동아트센터.강동경희대병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굽은다리역]] - 천동초교삼거리 - 천일초교 사거리-천일중.구강사 - [[천호역]].현대백화점 → 풍납1동치안센터 → 강동구청 → 한양수자인아파트 → 현대토파즈아파트 → [[강동구청역]].영파여고 → 이후 역순 || == 개요 == [[서울승합]]과 [[송파상운]]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4.3km다.[[http://map.naver.com/?busId=50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3년 3월 19일에 신설되었으며, 당시에는 천호역까지만 운행하였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3592|관련 공지사항]] * 2013년 9월 26일에 [[서울 버스 3320|3320번]]과 통합되어 상일동역 대신 고덕7단지를 경유하게 되었고, '천호역 → 강동구청 → 미주아파트 → 강동대로 → 농협서울지역본부 → 천호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3668|관련 공지사항]] 이 변경을 통해 지금까지 버스 노선이 없던 '천호역 - 강동구청/미주아파트' 구간과 강동대로 구간을 담당하게 되었다. * 삼성엔지니어링 및 리엔파크3단지 입주자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하여 2014년 1월 20일에 삼성엔지니어링을 P턴 형식(기존 노선 - 삼성엔지니어링 - 세종텔레콤 - 상일여고 - 기존 노선)으로 추가 경유하게 되었다. * 2018년 6월 25일에 [[서울 버스 2312|2312번]] 출신차량 2대가 증차 되었다. 본래 6월 11일에 증차될 예정이었으나 준비기간을 늘려달라는 요청때문에 6월 25일로 연기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394830|관련 공문1]],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421475|관련 공문2]] * 2021년 10월 18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0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10분으로 늘어났으며,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그러나 같은 날을 기해 3411번 출신 차량 1대가 증차되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1대씩 증편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81회/72회/72회이던 1일 총 운행횟수는 84회/76회/76회로 평일의 경우 3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4회씩 증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 역시 13~15분/15~18분/17~19분에서 11~15분/13~17분/14~17분으로 줄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877030|관련 공문]] * 2022년 2월 4일을 기해 서울승합 측의 공휴일 운행 댓수가 1대 감축되었으며, 이에 따라 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 역시 76회에서 67회로 9회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3~17분/14~17분에서 13~16분/15~18분으로 조정되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view/?nid=25267901|관련 공문]]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이 노선의 주 목적은 그 동안 버스가 다니지 않았던 '천동초교 - 천호공원'([[천중로]]) 구간과 강동구청 인근 성내동 지역의 교통 편의 증진이다. 우선 천중로 일대를 보자면 그 동안에는 구천면로나 혹은 [[강동역]]까지 상당히 걸어가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으나 3321번이 생기면서 말 그대로 빛이요 희망이 되고 있다. 천중로에서 천호역 등의 주요 거점으로 이동하여 지하철 및 타 노선으로 환승하며 오가는 수요를 책임지는 것. * 사실 과거에도 천중로와 비슷한 처지에 있던 [[천호중학교|천호중]], 천호초가 위치한 상암로 라인[* 학교를 끼고있는 주택가이며 천호동 지역을 종단하는 버스가 없다.] 을 지나갔던 3311, 342, 3317번이 있긴 했지만 하나같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폐선 되었던 전례가 있다.[* 3311번은 강동구 순환 노선의 개념으로 만들어졌으나 회차점인 대순진리교 부근에서 이리갔다 저리갔다 배배꼬아서 망했고, 342번은 잘 다니던 300번을 없애버리고 강일동에서 상암로와 암사동을 거쳐 압구정까지 가는데 한강을 두 번 건너는 비효율적인 경로 탓에 금방 망했으며, 3317번은 342번의 폐선으로 천호중 지역에 버스가 없어지자 대체노선격으로 생기긴 했으나 '''30~40분 간격'''으로 운행되던 노선이라 태생적으로 폐선이 예견된 수준이었다.] 하지만 3321번의 경우 아예 천중로 구간을 직선으로 관통하며 배차간격도 생각보다는 크게 나쁜게 아니라서[* 15분 내외의 간격이 좋은 건 아니나, 천중로에서의 수요에 비하면 그렇게 나쁘지도 않다. 더군다나 요즘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도착예정시간 조회가 어려운 것도 아니고.] 미래가 기대된다.[* [[서울 버스 3212|3212번]]도 배차간격은 좋지 않으나 '천동초등학교 - 길동신동아아파트 - 명일여고 - 강동고 - 상일동' 구간의 고정 수요로 20년 이상 잘 유지되고 있다.] * 강동구청으로 연장된 이후 이용객이 더 많아졌다. 출퇴근시간대에는 입석 승객도 생길 정도. 다만 '상일동역 - 굽은다리역' 구간에서 [[서울 버스 3413|3413번]]과 겹치는데, 워낙 배차간격 차이가 크다보니 3413번과 3321번이 같이 왔을 때 꼭 3413번만 타는 승객이 상당히 많다. * 개통 초기부터 수요가 부족해 보였지만 강동구청 연장이후로 수요가 꾸준히 늘더니 이제 타는 사람은 타는 노선으로 완전히 정착했다. 특히 '상일주공A - 상일동역' 수요가 새로 추가 창출되면서 수요량이 급증했다. 회차지 근처에 올림픽공원이 있어서 그런지 그쪽 일대 수요도 늘어났다. * 서울승합에서 유일하게 기.종점이 강동구인 노선이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32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083명 || - || || 2014년 || 3,987명 || {{{#red △ 1,904}}} || || 2015년 || 4,266명 || {{{#red △ 279}}} || || 2016년 || 4,245명 || {{{#blue ▽ 21}}} || || 2017년 || 4,119명 || {{{#blue ▽ 126}}} || || 2018년 || 4,839명 || {{{#red △ 720}}} || || 2019년 || 5,540명 || {{{#red △ 701}}} || || 2020년 || 4,751명 || {{{#blue ▽ 789}}} || || 2021년 || 4,975명 || {{{#red △ 224}}} || || 2022년 || 5,611명 || {{{#red △ 636}}} || || 2023년 || 5,712명 || {{{#red △ 101}}}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3월 1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4년 3320번과의 통합으로 인해 승객이 1,900명 증가했다. * 2018년 2대 증차와 고덕지구 분양으로 승객이 700명 증가했다. ===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321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2> JYP엔터테인먼트.윤선생영어교실[br]25230 ||<|2> ||<-2> {{{#ffffff ←}}} ||<|2> ||<|2> 한양수자인아파트[br]25286 || || || || || 현대토파즈아파트[br]25369 || {{{#ffffff ↓}}} || || || {{{#ffffff ↑}}} || 강동보건소건너[br]25284 || || 채선당앞[br]25370 || || || || || '''강동구청[br]25282''' || || 강동구청역농협중앙회[br]25313 || {{{#ffffff ↓}}} || || || {{{#ffffff ↑}}} || - || ||<-6> 이상 회차 구간 || || 강동구청역1번출구.영파여고[br]25164 || || || || || 풍납1치안센터입구[br]24102 || || 천호역[br]25163 || {{{#ffffff ↓}}} || || || {{{#ffffff ↑}}} || 천호역.풍납시장[br]24101 || || 천호역3번출구.현대백화점[br]25162 || || || || || 천호역2번출구.현대백화점[br]25161 || || 서울현대요양병원[br]25160 || {{{#ffffff ↓}}} || || || {{{#ffffff ↑}}} || 서울현대요양병원[br]25159 || || 천일중.구강사[br]25364 || || || || || 천일중.구강사[br]25363 || || 천일초교사거리[br]25362 || {{{#ffffff ↓}}} || || || {{{#ffffff ↑}}} || 천일초교사거리[br]25361 || || 동아하이빌[br]25360 || || || || || 동아하이빌[br]25359 || || 천동초교삼거리[br]25358 || {{{#ffffff ↓}}} || || || {{{#ffffff ↑}}} || 천동초교삼거리[br]25357 || || - || || || || || 참잘함한방병원[br]25220 || || 십자성마을[br]25239 || {{{#ffffff ↓}}} || || || {{{#ffffff ↑}}} || 십자성마을[br]25238 || || 굽은다리역구민회관.강동홈플러스[br]25349 || || || || || 굽은다리역구민회관.강동홈플러스[br]25348 || || 굽은다리사거리[br]25237 || {{{#ffffff ↓}}} || || || {{{#ffffff ↑}}} || 굽은다리사거리[br]25236 || || 명일역4번출구.명일전통시장[br]25235 || || || || || 명일역1번출구.명일전통시장[br]25234 || || 명일1동주민센터[br]25267 || {{{#ffffff ↓}}} || || || {{{#ffffff ↑}}} || 명일1동주민센터[br]25266 || || 명일여자고등학교[br]25265 || || || || || 명일여자고등학교[br]25264 || || 고덕삼환.주공9단지아파트[br]25263 || {{{#ffffff ↓}}} || || || {{{#ffffff ↑}}} || 고덕삼환.주공9단지아파트[br]25262 || || 한영중고한영외고[br]25261 || || || || || 명일동현대아파트[br]25260 || || 강동아트센터.강동경희대병원후문[br]25179 || {{{#ffffff ↓}}} || || || {{{#ffffff ↑}}} || 강동아트센터.강동경희대병원[br]25178 || || 강동경희대병원.명일동이마트[br]25177 || || || || || 고덕평생학습관.온조대왕체육관[br]25137 || || 고덕그라시움[br]25136 || {{{#ffffff ↓}}} || || || {{{#ffffff ↑}}} || 고덕그라시움[br]25135 || || 상일동역8번출구[br]25134 || || || || || 상일동역1번출구[br]25133 || || - || {{{#ffffff ↓}}} || || || {{{#ffffff ↑}}} || 상일파출소.고덕아르테온[br]25338 || || 고현초등학교.고덕숲아이파크[br]25368 || || || || || 고현초등학교.고덕센트럴아이파크[br]25367 || || 고덕숲.고덕센트럴아이파크[br]25366 || {{{#ffffff ↓}}} || || || {{{#ffffff ↑}}} || 고덕센트럴.고덕숲아이파크[br]25365 || || 상일1동주민센터.롯데캐슬베네루체[br]25253 || || || || || 상일1동주민센터.고덕사회체육센터[br]25252 || || 고덕자이.상일여고[br]25251 || {{{#ffffff ↓}}} || || || {{{#ffffff ↑}}} || 고덕자이.상일여고[br]25250 || || 고덕리엔파크3단지서문[br]25353 || || || || || 고덕리엔파크3단지서문[br]25352 || || 삼성엔지니어링[br]25351 || {{{#ffffff ↓}}} || || || {{{#ffffff ↑}}} || 삼성엔지니어링[br]25350 || ||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br]25310 || || || || || - || || 고덕리엔파크3단지[br]25112 || {{{#ffffff ↓}}} || || || {{{#ffffff ↑}}} || 고덕자이[br]25111 || || 강명초등학교[br]25110 || || || || || 고덕자이.고덕천물놀이장[br]25109 || || 고덕천교차로[br]25108 || {{{#ffffff ↓}}} || || || {{{#ffffff ↑}}} || 고덕천교차로[br]25107 || || 해뜨는주유소[br]25106 || || || || || 해뜨는주유소[br]25105 || || 고덕리엔파크1단지[br]25104 || {{{#ffffff ↓}}} || || || {{{#ffffff ↑}}} || 고덕리엔파크1단지[br]25103 || ||<-6> '''강동공영차고지[br]25102 · 25101'''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996CAC 수도권 전철 5호선}}}]]''': [[상일동역]], [[명일역]], [[굽은다리역]], [[천호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E6186C 서울 지하철 8호선}}}]]''': 천호역, [[강동구청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201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