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 [[파일:DSC05179.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21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21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남태령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용마산빌라)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00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5~1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7~10분 / 공휴일 8~10분 || ||<-2> 운수사명 || [[우신운수]] ||<-2> 인가대수 || 30대(예비 1대)[* 토요일 25대 / 공휴일 21대 운행] || ||<-2> 노선 ||<-4> [[남태령역]] - [[사당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사거리.[[논현역]] - [[신사역]] - 신사동고개 - 프리마호텔 - {{{#aaa 영동대교}}} - 영동대교북단 - [[건대입구역]] - [[어린이대공원역]].화양천주교회 - 능동사거리.[[군자역]] - 중곡2동주민센터 → [[중곡역]] → 용마산빌라[*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 중마초등학교.중곡제일골목시장 → 용마사거리 → 중곡2동주민센터 → 이후 역순 || == 개요 == [[우신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5.2km다.[[https://map.naver.com/v5/bus/bus-route/4212/bus-route/1055?c=14137472.5873618,4512300.2356525,12,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s-28|구 567번]] 도시형버스(전원마을 - 신내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4212번으로 바뀌었다. * 장거리 운행으로 인한 높은 근무강도 및 교통체증으로 인한 배차간격 관리의 어려움을 이유로 단축을 요구했으며, 이게 받아들여져 2009년 6월 20일 '용마사거리 - 신내동' 구간이 단축되고, 중곡1동사거리를 경유해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현재 서울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최대 맹점 중 하나인데, 과거 567번 시절에는 신내동까지 운행하면서 막대한 수익을 얻었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단축할 생각을 안 했으나, 현재는 준공영제로 인해 노선길이와 상관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을 서울시로부터 보장받으니 굳이 신내동까지 안 가고 노선을 단축해서 좀 편하게 운용하려는 심산으로 요청한 것. 결국 시민들의 불편은 안중에도 없이 회사는 회사대로 편하게 가려 하고, 서울시는 서울시대로 어떻게든 버스를 줄이는데만 혈안이 되어 있는 상황이 점점 굳어지는 것이다.]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1409&off_docu_yn=C&search=4212&searchkey=1|토피스 공지사항]] 이로 인해 [[서울 버스 240|240번]]이 A/B로 분리운행을 하게 되었다. 또한 우신버스와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이후 우신버스 차량이 4319번으로 이동하면서 철수하고 다시 우신운수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종전 2012년 8월 28일에 단독운행으로 변경되었다고 되어 있었으나 2011년경부터 4319번에 4212번 우신버스 운행분이 다닌 게 확인된 걸로 봐서는 2010~2011년경에 철수한 걸로 추정된다.] * 2011년 8월 25일에 중곡1동에서 중곡3동까지 연장되었다. 다만, 회차구간 중 용마산빌라 정류장은 면목4동에 속하며, 이로써 2년 만에 다시 중랑구에 조금이나마 들어오게 되었다. 참고로 용마산빌라 정류장은 이 노선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버스가 아예 다니지 않았던 곳이라 정류장도 없었다. 덕분에 새 교통수단이 생긴 셈이며 마침 회차구간의 위치론 왕편/복편 손해가 없는 구간이다.[* 단, 이론상이며 실제론 면목4동에서 건대로 가는 방향은 왕복 2차선인 면목로 우선이라 해당구간에서 지체하는 경우가 있어 시간상 차이가 생긴다.][[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1761&off_docu_yn=C&search=4212&searchkey=1|토피스 공지사항]] * 2018년 10월 7일부터 공휴일의 운행횟수가 14회 감회되어, 공휴일 배차간격이 일부 시간대에 1분 정도 증가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235693|관련 공문]] * 2019년 9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558693|관련 공문]] * 2021년 5월 14일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5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 최대 배차간격도 8분에서 10분으로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854309|관련 공문]] * 2021년 9월 1일을 기해 평일에 한해 4대 투입되는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69회에서 165회로 4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평일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을 예정이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581501|관련 공문]] == 특징 == * 직선인 선형과 더불어 높은 수요를 자랑하고 있다. 특히 군자역~사당역까지의 출퇴근/심야수요는 전 버스 중에서도 탑클래스라 할 수 있다. 언제나 가축수송 확정노선.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상당히 겹치는 노선인지라 7호선 개통 후 승객 급감이 예상되었으나, 도산대로 구간 내 수요와 도산대로~건대 수요가 막강해 예전에는 '한번 타면 안 내리는 가축수송'이었다면 지금은 '계속 타고 내리며 가축수송'으로 변했다. 심지어 도산대로~방배동 수요도 굉장히 많다. 다만 낮 시간대에도 많은 버스들을 운행하므로[* 비첨두시간대에도 5~10분정도에 1대씩 꼬박꼬박 올 정도로 버스가 많이 다닌다.] 그다지 가축수송이라는 느낌을 받지 못하지만, 퇴근시간부터 신사역 사거리를 지나는 그 순간 진가가 발휘된다. * 이런 노선이 왜 간선이 아니라 지선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으나 당초 계획에는 사당-건대구간만 운행하기로 되어 있다가 나중에 개편전 노선대로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선형 자체가 굴곡이 거의 없고 환승 수요보다는 자체적인 수요가 훨씬 많기 때문에 간선버스라도 어색할 건 없는 노선이다. 그리고 퇴근시간만 되면 만차로 오는데다가, 도산대로 헬게이트로 인하여 배차가 벌어지거나 차량이 붙는 경우가 있어서, 승하차에 어려움을 겪는다. * 용마산빌라 주변으로 들어오는 유일한 노선이다. 애초에 그쪽으로 버스가 들어온적은 한 번도 없었으며, 4212번이 처음 들어오게 된 것이다. 다만, 회차지 역할을 하기에는 왕복 2차선의 골목이기 때문에 장기간 정차는 불가능하며, 주로 중곡역이나 용마산빌라 전에 미리 장기간 정차를 한 후 용마산빌라 정류소에서 바로 차를 돌려 면곡시장으로 내려가는 형태로 운행중이다.[* 사실상 회차를 위해 대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쉬지 않고 내려가는 게 다반사.] === 기타 === * [[서울 버스 240|240번]]과 쌍으로 묶어 놓으면 '''어느 쪽이 간선이고 어느 쪽이 지선인지''' 알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었다. * 중곡동까지 단축한 이후 한동안 [[우신버스]]에서 4425번 감차분 5대를 이 노선으로 끌어와 공배한 적이 있었으나 우신버스 차량이 4319번으로 모두 이동하면서 우신운수 단독이 되었다. * 구 567번이었을 때는 이 노선의 종점과 차량, 기사가 [[박카스|피로회복제]] 광고에 출연하였다. [[http://www.adic.co.kr/ads/list/showTvAd.do?ukey=72728|광고 영상]] [[파일:0Vpja6A.jpg|width=75%]] * [[쿠바]]에 도색을 벗기지 않은 4212번 버스가 있다. [[http://blog.naver.com/hmm0914/221093436443|관련 게시물]] * [[Hitchhiker]]의 11 뮤비에 출연하기도 했다. 하지만, 행선판은 [[서울 버스 2413|2413번]]으로 나왔다. * DP의 '오늘 너 정말 예뻐' 라는 노래가사에 이 버스가 나온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21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4,499명 || - || || 2014년 || 24,565명 || {{{#red △ 66}}} || || 2015년 || 24,220명 || {{{#blue ▽ 345}}} || || 2016년 || 23,681명 || {{{#blue ▽ 539}}} || || 2017년 || 23,883명 || {{{#red △ 202}}} || || 2018년 || 23,028명 || {{{#blue ▽ 855}}} || || 2019년 || 23,072명 || {{{#red △ 44}}} || || 2020년 || 18,298명 || {{{#blue ▽ 4,774}}} || || 2021년 || 17,261명 || {{{#blue ▽ 1,037}}}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4212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용마산빌라[br]07439''' || ||<|2> 면곡시장앞[br]05129 ||<|2> ||<-2> {{{#ffffff ←}}} ||<|2> ||<|2> 용곡삼거리[br]05132 || || || || || 중곡3동주민센터앞[br]05128 || {{{#ffffff ↓}}} || || || {{{#ffffff ↑}}} || 중곡역[br]05133 || || 중곡역입구[br]05126 || || || || || 국립서울병원앞[br]05115 || || 중마초등학교.중곡제일골목시장앞[br]05124 || {{{#ffffff ↓}}} || || || {{{#ffffff ↑}}} || 중곡동성당앞[br]05114 || || 용마사거리[br]05111 || || || || || -[br] || ||<-6> 이상 회차 구간 || || 중곡2동주민센터앞[br]05112 || {{{#ffffff ↓}}} || || || {{{#ffffff ↑}}} || 중곡2동주민센터앞[br]05113 || || 능동사거리.군자역[br]05253 || || || || || 능동사거리.군자역[br]05141 || || 능동교회앞[br]05252 || {{{#ffffff ↓}}} || || || {{{#ffffff ↑}}} || 어린이대공원앞[br]05140 || || 어린이대공원앞.세종대학교[br]05251 || || || || || -[br] || || 어린이대공원역.화양천주교회[br]05227 || {{{#ffffff ↓}}} || || || {{{#ffffff ↑}}} || 어린이대공원역.화양천주교회[br]05234 || || 서울화양초등학교[br]05228 || || || || || -[br] || || 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br]05229 || {{{#ffffff ↓}}} || || || {{{#ffffff ↑}}} || 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br]05232 || || 건대입구역[br]05230 || || || || || 건대입구역[br]05217 || || 서울효사랑병원[br]04209 || {{{#ffffff ↓}}} || || || {{{#ffffff ↑}}} || -[br] || || 노룬산시장앞[br]04190 || || || || || 노룬산시장[br]05216 || || 영동대교북단[br]04189 || {{{#ffffff ↓}}} || || || {{{#ffffff ↑}}} || 영동대교북단[br]05220 || || 프리마호텔[br]23166 || || || || || 프리마호텔[br]23167 || || 농협앞[br]23180 || {{{#ffffff ↓}}} || || || {{{#ffffff ↑}}} || 차움검진센터.더청담[br]23185 || || 씨네시티.앞[br]23161 || || || || || 영동119.안전센터[br]23126 || || 도산공원사거리[br]23155 || {{{#ffffff ↓}}} || || || {{{#ffffff ↑}}} || 제일은행.호림아트센터앞[br]23125 || || 신사동교회[br]23151 || || || || || 언북중학교입구[br]23124 || || 신사동고개[br]23107 || {{{#ffffff ↓}}} || || || {{{#ffffff ↑}}} || 신사동고개[br]23112 || || 신사사거리.가로수길[br]23108 || || || || || 신사사거리[br]23111 || || 신사역4번출구[br]22185 || {{{#ffffff ↓}}} || || || {{{#ffffff ↑}}} || 신사동사거리.신사역[br]23110 || || 논현사거리.논현역5번출구[br]22183 || || || || || 논현사거리.논현역4번출구[br]22190 || || 반포역[br]22017 || || {{{#ffffff ↓}}} || {{{#ffffff ↑}}} || || 반포역[br]22018 || || 고속터미널[br]22019 || || || || || 고속터미널[br]22020 || || 신반포역.세화여중고[br]22021 || || {{{#ffffff ↓}}} || {{{#ffffff ↑}}} || || 신반포역.세화여중고[br]22022 ||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br]22023 || || || ||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br]22024 || || 갯마을앞[br]20015 || || {{{#ffffff ↓}}} || || {{{#ffffff ↑}}} || 이수교(방배본동)[br]22225 || || 정금마을.방배경찰서[br]20016 || || || || || 정금마을[br]22033 || || 경문고교.배나무골앞[br]20017 || || {{{#ffffff ↓}}} || {{{#ffffff ↑}}} || || 경문고등학교[br]22031 ||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br]20018 || || || ||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br]22029 || || 사당동우체국앞[br]20019 || || {{{#ffffff ↓}}} || {{{#ffffff ↑}}} || || 이수역[br]22027 || || 방배노인종합복지관[br]20020 || || || || || -[br] || || 사당역[br]21028 || || {{{#ffffff ↓}}} || {{{#ffffff ↑}}} || || 사당역[br]22028 || || 사당자동차학원[br]21027 || || || || || -[br] || ||<-6> '''남태령역[br]21163 · 22016'''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 [[사당역]], [[건대입구역]][* 건대입구역 정차]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고속터미널역]], [[신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 [[남태령역]], 사당역, [[이수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 [[군자역]][* 능동사거리.군자역 정차]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이수역, 고속터미널역, [[반포역]], [[논현역]], 건대입구역[* 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 정차], [[어린이대공원역]], 군자역, [[중곡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 [[구반포역]], [[신반포역]], 고속터미널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1978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