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oul542-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oul542-b.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4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42 노선도(2110).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부곡공영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신사역 8번출구.가로수길) || ||<|2> 종점[br]행 || 첫차 || 04:20 ||<|2> 기점[br]행 || 첫차 || 06:10 || || 막차 || 23:00 || 막차 || 00:50 || ||<-2> 평일배차 || 18~23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21~26분 / 공휴일 23~28분 || ||<-2> 운수사명 || [[대원여객]] ||<-2> 인가대수 || 15대(예비 3대)[* 인가상 예비차 3대 중 2대는 상용차처럼 운행하며 1대는 [[서울 버스 5624|5624번]]과 공용 예비차이다.][* 토요일 10대 / 공휴일 9대 운행] || ||<-2> 노선 ||<-4> [[부곡공영차고지]] - 부곡지구입구 - [[군포공영차고지]] - 삼성마을5단지 - 군포도시공사.군포국민체육센터 - [[군포역]] - 당동지하차도 - 금정가구거리 - [[금정역]] - 명학대교 - [[범계역]] - 부림중학교 - 관양중학교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 - [[선바위역]] - 서초힐스아파트 - KT연구소 - 우성아파트.양재초등학교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신사역 8번출구.가로수길 || == 개요 ==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62.6km다. [[http://map.naver.com/?busId=1359&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0번대 이후#s-17|구 3030번]] 직행좌석버스(군포공영차고지 - 논현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대원여객]] 운행분만 광역버스 9503번으로 번호만 바뀌었다. 회차 문제로 [[신사역]]까지 연장되었다. * 2005년 6월 말에 군포복합화물터미널로 연장되었다. * 2013년 7월, 서초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간선버스로 전환하면서 우면동을 경유할 지에 대한 설문조사가 있었다. [[http://gall.dcinside.com/bus/250137|관련 게시물]] 우면동을 경유하는 것은 간선버스로 전환되면 [[서울 버스 441|441번]]과 '[[인덕원역]] - [[신사역]]' 구간이 겹치기 때문이다. 물론 우면지구 주민들의 시내버스 노선 증설에 관한 요구도 한몫했지만. 사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서울 버스 541|541번]] 증차를 시도했지만, 안양시에서 교통혼잡을 이유로 거절하여 계속 무산되었다. * 2013년 12월 11일에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542번으로 바뀌었고, '양재대로 - 양재IC - 양재시민의숲' 구간이 우면지구 경유로 바뀌었다. 개통 당시에는 9503번과 변함없는 8대로 운행했고, 이후 15대로 증차되었다. * 2015년 7월 10일에 [[부곡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3056|관련 공지사항]] * 2021년 8월 9일에 '군포역 - 군포시청 - 군포문화예술회관 - 금정역' 구간이 '군포역 - G샘병원 - 금정역'으로 직선화됨과 동시에 단축되는 [[서울 버스 3412|3412번]]을 대신해 우면동 구간에서 삼성전자R&D와 우면주공아파트를 경유하도록 조정되었다.[* 삼성전자R&D 구간의 경우, 기존 3412번을 타고 강남역으로 가는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2번 경유하는 방식으로 들어간다.] 이번 노선조정으로 운행 거리는 소폭 줄었고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 역시 250분에서 245분으로 줄어들었으나 정상운행차량 및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는 유지되었다. 같은 날부터 우면동 구간에서 3412번의 역할을 이어받게 된 만큼 배차간격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3412번의 우면동~강남역 단축 직전을 기준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 3412번의 1일 총 운행 횟수는 82회/73회/67회였다. 542번에 비해서는 훨씬 짧은 배차간격으로 운행해왔다고 할 수 있다.] 5624번에서 2대를 가져와 증차하면서 운행 댓수도 평일의 경우 2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대씩 늘었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 역시 56회/52회/48회에서 64회/56회/52회로 각각 8회/4회/4회씩 증회되었다. 또한,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으로 배차간격 역시 평일/토요일/공휴일 순서대로 각각 17~20분/20~25분/25~30분에서 15~19분/18~23분/20~25분으로 줄어들었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66192|관련 게시물]], [[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090&off_docu_yn=C&search=&searchkey=|관련 공문]] {{{#!folding [ 노선 변경 이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42 노선도.png]]}}} * 2021년 9월 8일, 삼성전자R&D로 들어가지 않는 안건이 나왔고, 해당 안건이 실행되어 2021년 10월 5일부터 기존 우면동 구간을 2021년 8월 9일 이전의 경로로 원복시켰다. 본래 2021년 9월 27일부터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서울 버스 341|341번]]의 하남단축 홍보 부족으로 연기되었다.[* 철수 구간은 하남구간을 단축한 [[서울 버스 341|341번]]이 들어가게 될 예정이다.] 이번 노선 조정으로 운행 거리가 재차 감소되면서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45분에서 225분으로 줄어들게 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 횟수도 기존보다 소폭 증편되었지만, 같은 날부터 정규차량 1대가 감차됨에 따라[* 감차분은 [[서울 버스 341|341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운행 댓수 역시 1대씩 감축되었고 1일 총 운행 횟수는 64회/56회/52회에서 63회/55회/50회로 각각 1회/1회/2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노선 변경 및 운행계통 변경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 역시 15~19분/18~23분/20~25분에서 16~20분/20~25분/20~30분으로 늘어났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796365|관련 공문]] * 2021년 11월 29일에 1대가 감차되어 [[서울 버스 341|341번]]으로 이동되었다.[* 다만 341번에서 [[서울 버스 2416|2416번]]으로 1대가 감차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2416번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이로 인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1대씩 감축되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공휴일은 각각 4회씩, 토요일은 5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토요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16~20분/20~25분에서 18~23분/21~26분으로 늘어났고, 공휴일 배차간격은 20~30분에서 23~28분으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9503번 시절에는 가장 최남단으로 내려갔던 광역버스였다. * [[평촌신도시]] 안쪽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서울 면허 노선이며, 거의 20년 만에 다시 평촌신도시에 들어오는 셈이다. * 배차간격이 긴 편에 속하기 때문에 BMS를 통해 도착 정보를 꼭 확인하고 타야 한다. 형간전환 초기에는 30~50분 간격으로 배차가 크게 벌어지게 다녀서 환승 기회를 놓칠 수 있는 경우가 빈번했는데, 현재는 증차로 인해 20~30분 정도로 과거보다는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긴 편에 속한다. 다만 주말에는 30분 이상의 간격으로 다니는 경우가 간혹 있으니 운이 나쁘면 다시 첫 승차를 하듯 기본요금이 붙을 수 있다. 편하게 평일에는 약 25분, 주말에는 약 30분 간격으로 다닌다고 보면 된다. * 군포시 구간이 직선화 되는 바람에 잉여노선으로 전락되었다. 금정역에서 기점방향시 그 구간의 [[서울 버스 5531|군포 당동지역 충성도가 높은 노선]]이 장악하는 구간이라 그 노선이 틈새가 생기지 않는 이상 환승객도 보기 힘들게 되었다. 그나마 기대할 만한 수요가 '당동 ~ 범계역' 구간인데, 이것도 [[안양 버스 60|60번]]이 다니고 있어서 어렵다. === 일평균 승차 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4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394명 || - || || 2014년 || 3,518명 || {{{#red △ 2,124}}} || || 2015년 || 5,042명 || {{{#red △ 1,524}}} || || 2016년 || 5,147명 || {{{#red △ 105}}} || || 2017년 || 5,339명 || {{{#red △ 192}}} || || 2018년 || 5,373명 || {{{#red △ 34}}} || || 2019년 || 5,570명 || {{{#red △ 197}}} || || 2020년 || 4,569명 || {{{#blue ▽ 1,001}}} || || 2021년 || 4,649명 || {{{#red △ 80}}}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3년에 광역버스에서 간선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승객이 대폭 늘었다. * 2015년 7월 부곡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승객이 1000명 늘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군포역]], [[금정역]], [[명학역]][* 명학대교 하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신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경기과천교육도서관 하차], [[선바위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신사역 == 둘러보기 == [include(틀:안양-양재역간 시내버스)]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5권역]][[분류:200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군포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안양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과천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