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파일:DSCF8651.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52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524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난향동(난향공영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중앙대학교)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05 || || 막차 || 22:30 || 막차 || 23:35 || ||<-2> 평일배차 || 7~1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7~12분 / 공휴일 7~12분 || ||<-2> 운수사명 || [[양천운수]] ||<-2> 인가대수 || 29대[* 토요일 25대 / 공휴일 24대 운행] || ||<-2><|2> 노선 ||<-4> 난향공영차고지 - 남강중고등학교 - 난곡우체국사거리 - 난곡사거리 - __[[신대방역]] - (→ 조원동기점 → [[구로디지털단지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조원동기점 ←) - 신대방역__ - 롯데관악점.건강보험관악지사 - 은천교 - 현대시장 - 봉천사거리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동작역]].국립현충원 - 명수대현대아파트 → [[흑석역]].흑석동빗물펌프장 → [[중앙대학교]] → 명수대현대아파트 → 이후 역순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 개요 == [[양천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4.9km다.[[http://naver.me/FTSQDdJS|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번대#s-103|구 85-1번]] 도시형버스(신림8동 - 중앙대학교)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5524번으로 바뀌었다. * 2010년 3월 16일에 오케이버스로 흡수되었다. * 조원동차고지가 매각되면서 2011년 2월 8일에 [[난곡공영차고지]]로 연장했다. 이 과정에서 조원동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선형이 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1420|관련 공지사항]]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626613|관련 기사]] * 2018년 6월 1일부터 대당 일 운행횟수 감회로 인해, 이 노선의 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 기준 27회 감회되어 배차간격이 1분가량 늘었다. 본래는 하절기 에어컨 가동 및 저상버스 대량 출고에 따른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의한 한시적 운행계통 변경 조치였으므로 2018년 10월 1일부터 운행계통이 환원될 예정이었으나 가스 충전으로 인한 근로시간 초과를 이유로 감편된 운행계통을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계획이 바뀌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356287|한시적 운행계통 변경 공문]][[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164373?fileIdx=1#pdfview|운행계통 완전변경 공문]] * 2018년 8월 1일에 양천운수로 이관되었다. == 특징 == * 양천운수의 둘뿐인 아웃양천 노선이다. 다른 하나는 [[서울 버스 N16|N16번]]으로, 양천차고지가 아니라 온수동으로 간다. N16번은 차고지 주박 및 가스충전은 양천차고지이다. 사실상 양천운수 노선들 중에서 이 노선만 양천차고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 사당역 등지에서 중앙대로 통학하는 학생이 있다면 이 노선 버스를 이용해 흑석동빗물펌프장 정류소에서 [[서울 버스 5511|5511번]]으로 환승하면 정문,중문,후문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대기줄이 길어서 앉아간다는 보장은 없다. [[서울 버스 350|350번]]도 있지만 현충로 상의 '흑석역, 명수대현대아파트'에 정차로 9호선 흑석역에 내리는거나 마찬가지다. * 사당역부터 이수교차로까지 동작대로를 타고 쭉 올라오다가 국립현충원 방향으로 꺾어 중앙대병원으로 들어온다. 당연하게도 동작대로 중앙차로를 탄다. 흑석동에서 경문고교를 [[서울 버스 752|752번]]과 함께 경유한다. * [[서울 버스 452|452번]]과는 [[흑석역]] 안쪽의 [[중앙대병원]] 회차구간 - ([[현충로(서울)|현충로]]) - [[동작역]] 구간이 같다. 흑석역이 급행이 없는 완행만의 반쪽짜리라서 배차간격이 길고, 큰길가라서 중앙대 권역 안쪽과는 거리가 다소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동작역으로 바로 가서 강남, 송파 방향의 9호선 급행이나, 4호선(사당 방향)을 바로 탈 수 있게끔 돕는다. 역으로 강남, 송파 방향에서 9호선 급행을 타고 오거나, 사당 방향에서 4호선을 타고 동작역에서 내린 승객에게 9호선 완행을 굳이 기다릴 필요 없이 중앙대 권역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단, 4호선 강북방향과는 이보다 __[[신용산역]]-'''[[서울 버스 151|151번]]'''__의 연계가 훨씬 나아서 제외했다.[* 한강대교보다 동작역을 거치는 것이 훨씬 많이 돌기 때문에, 한강대교에서 버스가 막혀도 사고가 난 게 아니면(...) 151번이 낫다.] 반대쪽(서쪽, 노량진 방향)으로 같은 역할을 하는 버스로는 [[서울 버스 5517|5517번]]이 있다. 노량진역도 동작역과 마찬가지로 9호선 급행역이면서 1호선과의 환승역이기 때문이다. 이쪽은 동작역 쪽과 달리 [[한강철교]]가 [[한강대교]]의 거의 바로 옆에 붙어있으므로 한강대교가 막힌다 싶으면 노량진역-1호선이 낫다 * 중앙대병원 앞에 다니는 서울시내버스 중 [[서울 버스 151|151번]]과 더불어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편이다. * [[서울 버스 641|641번]], [[서울 버스 650|650번]]과 더불어 서울대입구역 사거리 기준 북쪽과 동쪽을 오가는 노선이다. 그래서 서울대입구역 북쪽의 위버폴리스 쪽에는 직진/우회전용 정류장은(21368) 위버폴리스 바로 앞에 있는데, 이 세 버스를 위한 좌회전용 정류장은(21138) 사거리 기준 뒤쪽으로(봉천중앙시장 입구에 가까운) 따로 있다. 좌회전할 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해서 분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641번과는 서울대입구역 북쪽의 은천삼거리('봉원중학교, 행운동우성아파트')와 사당역 사이의(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을 포함한) 구간이 일치한다. * [[서울 버스 6511|6511번]]과 [[신대방역]][* 단 정류장 위치는 다르다] ~ [[보라매공원]] 및 롯데백화점 ~ 현대시장 ~ 은천삼거리 ~ [[서울대입구역]][* 역 북쪽(중앙시장, 위버폴리스)까지 일치]까지의 구간이 일치한다. 특히 현대시장 사거리의 동쪽에서 은천삼거리까지는 두 노선 뿐이라서, 출퇴근시간에는 동부센트레빌과 관악드림타운 중 아랫쪽(남쪽) 동 주민들이 서울대입구역과 오가는 수요가 다 이 두 노선으로 몰려서 상당히 혼잡하다. * 조원동,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는 [[혼동하기 쉬운 버스|양방향 차량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니 주의.]] (LED 행선판기준) || 난곡공영차고지 방향 || 중앙대학교 방향 || || '''{{{#yellow {{{+5 5524}}}}}} {{{#yellow {{{+1 난향차고지}}}}}}[br]{{{#red {{{+1 (방향)}}}}}}''' || '''{{{#yellow {{{+5 5524}}}}}} {{{#yellow {{{+1 중앙대학교}}}}}}[br]{{{#cyan {{{+1 (방향)}}}}}}''' || * [[신대방역]] 건너편 정류장에 양방향 차량이 모두 정차했으나, 똑같은 버스가 동시에 들어와서 동시에 태우고 가다보니 혼란이 발생해 난곡방향은 신대방역 앞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우회전한 후 정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낙성대역]] ~ [[이수역]] 구간을 [[사당역]] 환승 없이 '오갈' 수 있는(즉 왕복 둘 다) 3개의 버스 중 하나다. 다른 둘은 [[서울 버스 643|643번]], [[서울 버스 동작06|동작06번]]이다. 단 643은 이 버스와 똑같이 사당역사거리를 통해 오가는 반면, 동작06은 동작고등학교가 있는 언덕과 남성역을 통해 오간다. * 가스 충전은 각각 대학동/시흥5동까지 가는 [[한남운수]], [[보성운수]]와 달리 무려 '''[[우신운수]] 방배2동 차고지'''까지 가서 충전한다. 중앙대에서 운행 마친 상태로 충전하러 가는 경우에는, 충전이 끝나면 다시 흑석동으로 공차회송으로 다시 운행하는 듯 하다.[* 그와 비슷한 사례는 도원교통 [[서울 버스 1213|1213번]]. 그 노선은 면목8동에서 운행 마친 상태로 신내동에서 가스 넣고 면목8동으로 공차회송으로 다시 운행한다.] 난곡에서 공차회송하여 가는 경우도 있으며, 현재는 부족한 가스 양에 따라 난곡 또는 흑석동에서 운행 마친 상태로 나눠서 가는 듯 하다. 요즘은 난곡에서 운행 마치고 방배동으로 가서 가스를 넣는다.[* 듣기로는 흑석동 및 중앙대학교 학생들의 민원 때문에 낮에는 난곡에서 운행마치고 방배동으로 가서 1회 충전한다.] 참고로 중앙대병원~방배2동 공차거리[* 약 7~8km 정도이다.]가 난곡~방배2동 공차거리[* 10km 넘는다. 서울대학교 앞을 지나서 공차회송한다.]보다 더 짧다. * [[안양 버스 20|안양 20번]]과 구로디지털단지역 ~ 조원아파트 ~ 신대방역 ~ 난향동 구간까지 겹친다. * 2019년 11월 경 LED 일부가 개정되었다. 기존 LED에 5524 띄우고 그 다음에 5524 중앙대학교 방향 및 5524 난향차고지 방향 이 부분이 추가되었다. 구로디지털단지역에 양방향 정차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추가되었다. 여담이지만, [[서울 버스 6620|6620번]]도 방향 부분 LED가 추가되었다. * 서울대입구역과 흑석역 및 중앙대병원 인근을 오갈 경우 5511번이 훨씬 더 빠르다. 이 버스는 동쪽의 동작역-이수역-사당역을 통해 많이 돌아가는 반면, 5511은 상도래미안아파트, 숭실대, 봉천고개를 통하는 직선에 가까운 코스다. 즉 버스의 앞이나 옆 행선판에 '서울대입구역(봉천사거리)', '중앙대학교(병원)'이 적혀있다고 냅다 타면 길에서 수십분을 까먹게 되는 [[굴곡 노선]]이다. 중앙대병원 방향 한정으로 4권역인 서초구 방배동 땅(사당역~이수교)도 밟는다. * 중앙대병원 도착하면 화장실 및 주로 배차를 맞추기 위해 쉬었다 간다. 가스충전이면 CNG충전소행 LED 띄우고 가는 차도 있으니 주의하자. * 이후 구간과는 별개로 난곡 지역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신대방역]] 및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이용할 때 뿐인데, [[사당역]], [[이수역]] 및 [[흑석역]] 방면으로 가기에 이 노선은 너무 돌아가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이 노선으로 난곡에서 [[이수역]]을 가려면 1시간이 넘게 걸리는데, 2호선과 4호선을 이용하면 40분만에 갈 수 있다. [* 난곡에서 [[수도권 전철 7호선]]을 타야 하는데 [[대림역]]까지 가기는 싫다면 이 노선 말고 [[서울 버스 506|506번]]을 타고 [[숭실대입구역]]에서 내리자.] === 사건사고 === * 2012년 7월 14일에 차내에서 한 승객이 난동을 피운 일이 있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75934|관련 게시물]]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52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5,757명 || - || || 2014년 || 25,482명 || {{{#blue ▽ 275}}} || || 2015년 || 25,209명 || {{{#blue ▽ 273}}} || || 2016년 || 25,112명 || {{{#blue ▽ 97}}} || || 2017년 || 25,108명 || {{{#blue ▽ 4}}} || || 2018년 || 23,693명 || {{{#blue ▽ 1,415}}} || || 2019년 || 22,853명 || {{{#blue ▽ 840}}} || || 2020년 || 18,126명 || {{{#blue ▽ 4,727}}}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524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중앙대학교[br]20196''' || ||<|2> -[br] ||<|2> ||<-2> {{{#ffffff ←}}} ||<|2> ||<|2> 흑석역.흑석동빗물펌프장[br]20125 || || || || ||<-6> 이상 회차 구간 ||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br]20126 || {{{#ffffff ↓}}} || || || {{{#ffffff ↑}}} || 흑석동명수대현대아파트[br]20128 || || 비계[br]20129 || || || || || 비계[br]20130 || ||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br]20132 || {{{#ffffff ↓}}} || || || {{{#ffffff ↑}}} ||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br]20131 || || 동작역.국립현충원[br]20133 || || || || || 동작역.국립현충원[br]20134 || || 갯마을앞[br]20015 || || {{{#ffffff ↓}}} || || {{{#ffffff ↑}}} || 이수교[br]22225 || || 정금마을.방배경찰서[br]20016 || || || || || 정금마을[br]22033 || || 경문고교.배나무골앞[br]22017 || || {{{#ffffff ↓}}} || {{{#ffffff ↑}}} || || 경문고등학교[br]22031 ||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br]22018 || || || ||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br]22029 || || 사당동우체국앞[br]22029 || || {{{#ffffff ↓}}} || {{{#ffffff ↑}}} || || 이수역[br]22027 || || 방배노인종합복지관[br]22020 || || || || || -[br] || || 사당역9번출구앞[br]20253 || {{{#ffffff ↓}}} || || || {{{#ffffff ↑}}} || 사당역[br]22241 || || 사당1동관악시장앞[br]20141 || || || || ||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br]21126 || || 예술인마을[br]20142 || {{{#ffffff ↓}}} || || || {{{#ffffff ↑}}} || 예술인마을.사당초등학교[br]21125 || || 서울미술고.인헌중고[br]21101 || || || || || 인헌중고.서울미술고[br]21124 || || 낙성대입구[br]21102 || {{{#ffffff ↓}}} || || || {{{#ffffff ↑}}} || 낙성대입구[br]21123 || || 행운동주민센터[br]21103 || || || || || 낙성대동[br]21122 || || -[br] || {{{#ffffff ↓}}} || || || {{{#ffffff ↑}}} || 봉천사거리[br]21121 || || 봉천사거리.봉천중앙시장[br]21131 || || || || || 봉천사거리.봉천중앙시장[br]21138 || || -[br] || {{{#ffffff ↓}}} || || || {{{#ffffff ↑}}} || 봉원중학교.행운동우성아파트[br]21137 || || 중앙동성당앞[br]21197 || || || || || 중앙동성당앞[br]21196 || || 관악동부센트레빌아파트앞[br]21198 || {{{#ffffff ↓}}} || || || {{{#ffffff ↑}}} || 관악동부센트레빌아파트앞[br]21195 || || 현대시장[br]21251 || || || || || 현대시장앞[br]21194 || || 벽산.두산아파트.서울관광고등학교[br]21200 || {{{#ffffff ↓}}} || || || {{{#ffffff ↑}}} || 두산.벽산아파트.서울관광고등학교[br]21193 || || 은천초등학교[br]21201 || || || || || 은천초등학교[br]21192 || || 봉일시장[br]21202 || {{{#ffffff ↓}}} || || || {{{#ffffff ↑}}} || 봉일시장[br]21191 || || 은천교[br]21203 || || || || || 은천교[br]21190 || || 당곡중학교[br]21233 || {{{#ffffff ↓}}} || || || {{{#ffffff ↑}}} || 당곡중학교[br]21232 || || -[br] || || || || || 봉천교[br]21231 || || 롯데관악점.건강보험관악지사[br]21230 || {{{#ffffff ↓}}} || || || {{{#ffffff ↑}}} || 롯데관악점.건강보험관악지사[br]21229 || || -[br] || || || || || 보라매갑을아파트[br]21228 || || 보라매공원입구[br]21227 || {{{#ffffff ↓}}} || || || {{{#ffffff ↑}}} || 보라매공원입구[br]21226 || || -[br] || || || || || 신사동진양빌딩앞[br]21360 || || 신대방역[br]21225 || {{{#ffffff ↓}}} || || || {{{#ffffff ↑}}} || 신대방역[br]21224 || || 조원아파트[br]21364 || || || || || 신림빗물펌프장[br]21367 || || 조원동기점[br]21264 || {{{#ffffff ↓}}} || || || {{{#ffffff ↑}}} || 구로디지털단지역[br]21248 || || 구로디지털단지역[br]21248 || || || || || 조원동기점[br]21264 || || 신림빗물펌프장[br]21367 || {{{#ffffff ↓}}} || || || {{{#ffffff ↑}}} || 조원아파트[br]21364 || || 신대방역[br]21356 || || || || || 신대방역[br]21225 || || 신사시장.평화교회[br]21357 || {{{#ffffff ↓}}} || || || {{{#ffffff ↑}}} || 신사시장.선한이웃교회[br]21358 || || 난곡사거리[br]21355 || || || || || 난곡사거리[br]21354 || || 신림청소년독서실.신림체육센터[br]21219 || {{{#ffffff ↓}}} || || || {{{#ffffff ↑}}} || 신림청소년독서실.신림체육센터[br]21204 || || 난곡우체국사거리[br]21218 || || || || || 난곡우체국사거리[br]21205 || || 신일교회앞[br]21217 || {{{#ffffff ↓}}} || || || {{{#ffffff ↑}}} || 신일교회앞[br]21206 || || 세이브마트앞[br]21216 || || || || || 세이브마트앞[br]21207 || || 남강중고등학교입구[br]21215 || {{{#ffffff ↓}}} || || || {{{#ffffff ↑}}} || 남강중고등학교입구[br]21208 || ||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br]21214 || || || || ||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br]21209 || || 난우중학교입구[br]21213 || {{{#ffffff ↓}}} || || || {{{#ffffff ↑}}} || 난우중학교입구[br]21210 || || 신림복지관앞[br]21212 || || || || || 신림복지관앞[br]21211 || ||<-6> '''난곡공영차고지 · 난곡종점'''[br]'''21337 · 21809'''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 [[구로디지털단지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사당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 [[이수역]], [[동작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동작역, [[흑석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