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605번개선저상.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605_8143.jpg|width=100%]]}}} || || 2018년식 NSAC 개선형 CNG 저상 차량. || 2019년식 일렉시티 EV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0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개화역광역환승센터) ||<-2> 종점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서울역)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15 || || 막차 || 22:2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8~1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9~11분 / 공휴일 11~12분 || ||<-2> 운수사명 ||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 ||<-2> 인가대수 || 27대(예비 1대)[* 토요일 25대 / 공휴일 21대 운행] || ||<-2><|2> 노선 ||<-4>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방화2동우촌연립 - [[공항시장역]] - __[[김포국제공항]]__ - [[송정역(서울)|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이대서울병원)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 (→ 당산초등학교 → [[선유도역]] →)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경방 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영등포역]]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 [[한강대교|{{{#aaa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 → 후암삼거리 → 용산중고교 → 남영동주민센터 → 숙대입구역 → 이후 역순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이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 개요 ==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7.8km다. [[http://naver.me/Fkcj72Vc|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s-63|구 128번]] 도시형버스(방화동 - 후암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605번으로 바뀌었다. 김포교통 노선과 달리 후암동 방면의 경우 05:00 이전까지 공항시장에서 김포공항을 미경유하고 바로 송정역으로 가며, 23시 이후 차고지 방면으로 송정역에서 공항으로 들어가지 않고 바로 공항시장으로 간다. * 2009년 4월 27일에 차고지 변경으로 공항시장<>방화동 구간 미경유, 지금의 601번처럼 공항에서 바로 개화동으로 나가도록 변경 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279|관련 공지사항]] 방화동 구간은 송정역에서 6631번으로 환승으로 대체하게 되으며, 김포교통 노선 처럼 양방향 모든 시간대에 공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이렇게 하여 방화사거리<>김포공항<>발산/등촌/염창역<>선유도공원간 100% 일치하였던 642번의 과부하가 더 심해졌다. * 결국 2009년 7월 27일에 개화산역, 방화사거리, 공항시장 경유로 변경되었다. 첫차부터 5시까지는 공항 미경유, 5시에 공항 미경유/경유 차량 동시에 출발, 기존처럼 송정역에서 공항 들어갔다 나온 후 공항시장에서 방화사거리 진행시 방화동로 경유에서 6631번과 동일한 금낭화로 경유로 변경된다. * 2019년 7월 1일을 기해, 기점 막차시각이 종전보다 20분 앞당겨진 22:20으로 조정되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3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5회씩 감회되고 이에 따라 토요일/공휴일의 최소 배차간격이 각각 8분/10분으로 조정되었다.(단, 평일의 경우 최소/최대 배차간격 모두 유지됨)[[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079933|관련 공문]] * 2021년 1월 18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7회/8회/10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동과 함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도 7~10분/8~10분/10~11분에서 8~10분/9~11분/11~12분으로 늘어났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943796|관련 공문]] == 특징 == * 현금승차 불가능한 노선이다. * 공항버스의 주력노선이며 6629번과 더불어 방화동의 토종 브랜드노선. 개편 전 영등포역 경유, 당산역에서 선유도역 미경유 선유도공원 운행등 자잘한 변경이 있었으나, 개편 후 기준 2009년 차고지 변경/방화동 구간 환원 제외 단 한번도 노선 변경이 없다. * 차고지 변경후 방화동 구간 환원만 봐도 알수 있듯이. 방화중학교, 송정역까지 바로 걸어갈 수 있는 인근 주민이 아니면 공항 돌아서 가도 영등포를 한번에 가기 위해 가기 위해 이 버스를 탄다. 방화동 안에서만 봐도 영등포까지 갈 때, 화곡역 돌아서 가는 6629번, 가양동으로 돌아가는 6631번보다는 이 버스가 아무리 공항 돌아서 간다 해도 더 빨리 간다. * 주 수요는 방화동 안쪽 구간 <> 영등포까지 김포 노선과 중첩구간, 당산동<>노량진/용산 구간, 후암동 < >용산구간 이다. 후암동쪽만 봐도 한강대교 이남으로 내려가는 유일한 노선, 노량진 기준으로도 유일하게 영등포/당산역 으로 꺾어가는 노선이다. 물론 강서구에서 서울역 제외 한강대교 이북 구간 장거리 수요도 있긴 있다. 이런 이유로 N26번 신설시 송정역에서 방화사거리 경유하여 개화동으로 운행한다. * 이러한 이유로 아무리 송정역<>영등포까지 김포 버스 노선 중복구간 양 끝에서의 수요가 많기 때문에 지금도 적정한 배차로 운행하고 있다. 현재 [[서울 버스 654|654번]]도 등촌역에서 [[목동(서울)|목동]]으로 빠지기에, 이 노선 없으면 당장 방화동에서 한번에 공항대로 직진으로 갈수 있는 노선이 없다. * 노선도를 보면 알겠지만 9호선과 [[개화역]]부터 [[노들역]]까지 겹치는 구간이 많다. 하지만 나쁘지 않은 배차와 더불어 [[김포 버스 60|60번]], [[김포 버스 60-3|60-3번]], [[김포 버스 88|88번]]과 중복되는 [[공항대로]] 구간에서 적지 않은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에서 바로 [[영등포구]], [[동작구]], [[용산구]]를 이어 주기 때문에 해당 구간 사이에서의 구간 수요가 많다. 하지만 [[염창역]] ~ [[당산역]]을 정차하지 않고 밟는 경기도 시내버스에 비해, 그 구간에서 3번 정차하는 것 때문에 영등포까지의 노선 경쟁력은 다소 밀리는 것 같지만 경기도 시내버스보다 요금이 저렴하다. 퇴근 시간대에 강서구/[[김포시]] 방향 당산역 정류장에서는 경기도 시내버스가 꽉꽉 차고 이 노선은 여유가 있는 편. 그래도 퇴근 시간은 예외 없이 입석이다. * [[숙대입구역]] 이후 구간은 회차 구간으로, 바로 앞에 있는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거치지 않고 후암삼거리로 우회전하기 때문에 서울역으로 가려면 '''서울역'''에서 하차 후 4호선 지하서울역 11번 출구로 들어가거나, 숙대입구역 정류장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로 가는 노선으로[* (100번, 150번, 151번, 152번, 162번, 500번, 501번, 502번, 506번, 1711번, 7016번 등의 노선들이 해당된다.] 환승해야 한다.[* 갈월동 정류장은 통과한다.] 그래도 4호선 끄트머리에서 한참 걸어가야 하는 갈월동 정류장보다는 접근성이 좀 낫다. [[서울 버스 202|202번]], [[서울 버스 400|400번]], [[서울 버스 용산02|용산02번]]와 더불어 후암동 일대를 책임지고 있다. 202번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와 갈월동 정류장을 경유하여 용산고교사거리를 거쳐 회차한 후 반시계 방향으로 후암삼거리을 거쳐서 남대문경찰서로 나오는 반면, 이 노선은 반대로 남대문경찰서까지 간 뒤 시계 방향으로 후암동을 돈다. * 롯데몰, 김포국제공항국제선, [[한국공항공사|KAC]], 김포국제공항국내선 정류장에서는 [[혼동하기 쉬운 버스|방향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그리고 개화동 출발 시각 기준 첫차(오전 4시)부터 오전 5시까지는 [[김포국제공항]] [[야간통행금지|폐쇄 시간대]]라 후암동 방향에 한하여 김포국제공항에 진입하지 않는다. 현재 유일하게 커퓨타임에는 공항에 안 들어가는 노선인데, 나머지는 영화관이 생긴 이후 들어간다고 한다. || 개화동 방향 || 후암동 방향 || || '''{{{#white {{{+3 개화동방향}}}}}}''' || '''{{{#yellow {{{+3 서울역방향}}}}}}''' || * 당산역에서 서울역은 [[서울 버스 603|603번]]이 훨씬 빠르고, 염창역에서 서울역은 [[서울 버스 604|604번]][* 604번은 중구청 방면 한정으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며 신촌, 공덕동으로 살짝 돌아서 경유하고 서울역으로 간다.]이 좀더 빠르다. 참고로 이 노선과 다르게 603번과 604번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한다. * 보통 노들로에서 당산역으로 가는 노선은 당산철교남단에서 당산역으로 나가는데, 이 버스는 양화대교남단 직전에 뜬끔없이 골목길로 빠져서 당산초등학교과 선유도역을 경유한 뒤 당산역으로 간다. 이 사항은 [[서울 버스 6514|6514번]] 및 [[서울 버스 6623|6623번]]과 동일하다. 반면 기점 방면의 경우 다른 노선과 같이 평범하게 양화대교남단에서 노들로로 진입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5,322명 || - || || 2014년 || 15,526명 || {{{#red △ 204}}} || || 2015년 || 15,518명 || {{{#blue ▽ 8}}} || || 2016년 || 15,063명 || {{{#blue ▽ 455}}} || || 2017년 || 15,116명 || {{{#red △ 53}}} || || 2018년 || 15,447명 || {{{#red △ 331}}} || || 2019년 || 15,273명 || {{{#blue ▽ 174}}} || || 2020년 || 12,072명 || {{{#blue ▽ 3,201}}}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605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용산중고[br]03202 ||<|2> ||<-2> {{{#ffffff ←}}} ||<|2> ||<|2> 후암시장[br]03200 || || || || || 남영동주민센터[br]03206 || {{{#ffffff ↓}}} || || || {{{#ffffff ↑}}} || 후암3거리[br]03199 || || 남영우체국[br]03209 || || || '''종점''' || || '''서울역[br]03198''' || ||<-6> 이상 회차 구간 || || 숙대입구역[br]03010 || || {{{#ffffff ↓}}} || {{{#ffffff ↑}}} || || 숙대입구역[br]03009 || || 삼각지역[br]03008 || || || || || 삼각지역[br]03007 || || KT용산지사[br]03006 || || {{{#ffffff ↓}}} || {{{#ffffff ↑}}} || || KT용산지사[br]03005 || || 신용산역[br]03004 || || || || || 신용산역[br]03003 || ||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br]03002 || || {{{#ffffff ↓}}} || {{{#ffffff ↑}}} || ||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br]03001 || || 노들섬[br]03340 || || || || || 노들섬[br]03341 || || 노들역[br]20014 || || {{{#ffffff ↓}}} || {{{#ffffff ↑}}} || || 노들역[br]20013 || || 노량진역[br]20012 || || || || || 노량진역[br]20011 || ||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br]20010 || || {{{#ffffff ↓}}} || {{{#ffffff ↑}}} || ||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br]20009 || || 현대아파트.유한양행[br]20008 || || || || || 현대아파트[br]20007 || || 대방역[br]19254 || {{{#ffffff ↓}}} || || || {{{#ffffff ↑}}} || 대방역[br]19296 || || 신길새마을금고[br]19227 || || || || || 신길새마을금고[br]19226 || || 신길역[br]19225 || {{{#ffffff ↓}}} || || || {{{#ffffff ↑}}} || 신길역1호선[br]19300 || ||<|2> - || || || || || 신길역[br]19279 || || {{{#ffffff ↓}}} || || || {{{#ffffff ↑}}} || 영등포역[br]19114 ||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br]19112 || || || ||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br]19117 || || 영등포시장[br]19104 || {{{#ffffff ↓}}} || || || {{{#ffffff ↑}}} || 영등포시장[br]19120 || || 신화병원[br]19122 || || || || || 신화병원[br]19121 || || 당산푸르지오아파트[br]19126 || {{{#ffffff ↓}}} || || || {{{#ffffff ↑}}} || 삼환아파트[br]19125 ||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br]19175 || || || ||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br]19174 || || 당산역[br]19172 || {{{#ffffff ↓}}} || || || {{{#ffffff ↑}}} || 당산역[br]19173 || ||<|2> - || || || || || 선유도역.롯데제과[br]19212 || || {{{#ffffff ↓}}} || || || {{{#ffffff ↑}}} || 당산초등학교앞[br]19220 ||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br]19216 || || || ||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br]19214 || || - || {{{#ffffff ↓}}} || || || {{{#ffffff ↑}}} || 양평동한솔아파트[br]19218 || ||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br]19215 || || || || || 안양천입구[br]19217 || || 염창역.서울도시가스[br]16001 || || {{{#ffffff ↓}}} || {{{#ffffff ↑}}} || || 염창역.서울도시가스[br]16002 || || 등촌역.강서보건소[br]16003 || || || || || 등촌역.강서보건소[br]16004 || || 등촌중학교 백석초등학교[br]16005 || || {{{#ffffff ↓}}} || {{{#ffffff ↑}}} || || 등촌중학교 백석초등학교[br]16006 ||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br]16007 || || || ||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br]16008 || || KBS스포츠월드[br]16009 || || {{{#ffffff ↓}}} || {{{#ffffff ↑}}} || || KBS스포츠월드[br]16010 || || 한국가스기술공사[br]16011 || || || || || 한국가스기술공사[br]16012 || || 발산역[br]16013 || || {{{#ffffff ↓}}} || {{{#ffffff ↑}}} || || 발산역[br]16017 || || 마곡동로사거리[br]16021 || || || || || 마곡동로사거리[br]16022 || || 마곡역[br]16018 || || {{{#ffffff ↓}}} || {{{#ffffff ↑}}} || || 마곡역[br]16019 || || 공항초등학교.공항중학교[br]16020 || || || || || 공항중학교.공항초등학교[br]16016 || || 송정역[br]16015 || || {{{#ffffff ↓}}} || {{{#ffffff ↑}}} || || 송정역[br]16014 || || 롯데몰.김포공항[br]16451 || || || || || - || || 김포공항국제선[br]16391 || {{{#ffffff ↓}}} || || || {{{#ffffff ↑}}} || 김포공항국내선[br]16389 || || 한국공항공사[br]16411 || || || || || 한국공항공사[br]16410 || || 김포공항국내선[br]16390 || {{{#ffffff ↓}}} || || || {{{#ffffff ↑}}} || 김포공항국제선[br]16391 || || - || || || || || 롯데몰.김포공항[br]16451 || || 공항시장[br]16118 || {{{#ffffff ↓}}} || || || {{{#ffffff ↑}}} || 공항시장[br]16119 || || 공항시장역3번출구[br]16120 || || || || || 공항시장역.공항성산교회[br]16121 || || 방화2동청성아파트[br]16436 || {{{#ffffff ↓}}} || || || {{{#ffffff ↑}}} || 방화2동청성아파트앞[br]16123 || || 방화2동우촌연립[br]16433 || || || || || 방화2동우촌연립[br]16125 || || 국민은행방화동지점[br]16126 || {{{#ffffff ↓}}} || || || {{{#ffffff ↑}}} || 국민은행방화동지점[br]16127 || || 방화사거리[br]16286 || || || || || 방화사거리[br]16285 || || 개화산역[br]16288 || {{{#ffffff ↓}}} || || || {{{#ffffff ↑}}} || 개화산역[br]16287 || || 개화2치안센터[br]16167 || || || || ||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br]16170 || ||<-6> '''개화역광역환승센터[br]16434 · 16435'''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 [[신길역]], [[대방역]], [[노량진역]], [[용산역]][*A 신용산역 하차], [[남영역]][*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 5분 거리],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신용산역]], [[삼각지역]], [[숙대입구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개화산역]], [[김포공항역]], [[송정역(서울)|송정역]], [[마곡역]], [[발산역]], [[영등포시장역]], 신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공항시장역]], 김포공항역, [[등촌역]], [[염창역]], [[선유도역]][* 후암동 방면만 경유], 당산역, 노량진역, [[노들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역[*A],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서울역 * [[파일:GoldLine_icon.svg|width=20]] [[김포 도시철도]]: 김포공항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A],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공항철도 직통열차) == 둘러보기 == [include(틀:김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include(틀:개화역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6권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