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width=20]] [[지선버스(서울)|{{{#5bb025 '''서울특별시 6권역 지선버스'''}}}]] || ||<-5>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8b4513 공항}}}]]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F72f08 광역}}}]]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3d5bab 간선}}}]]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5bb025 지선}}}]]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f99d1c 순환}}}]]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ffc600 심야}}}]]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5bb025 마을}}}]]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f99d1c 투어}}}]] || || [[서울 버스 6211|6211]] || [[서울 버스 6411|6411]] || [[서울 버스 6511|6511]] || [[서울 버스 6512|6512]] || [[서울 버스 6514|6514]] || || [[서울 버스 6515|6515]] || [[서울 버스 6516|6516]] || [[서울 버스 6613|6613]] || [[서울 버스 6614|6614]] || [[서울 버스 6615|6615]] || || [[서울 버스 6616|6616]] || [[서울 버스 6617|6617]] || [[서울 버스 6620|6620]] || [[서울 버스 6623|6623]] || [[서울 버스 6624|6624]] || || [[서울 버스 6625|6625]] || [[서울 버스 6627|6627]] || [[서울 버스 6628|6628]] || [[서울 버스 6629|6629]] || [[서울 버스 6630|6630]] || || [[서울 버스 6631|6631]] || [[서울 버스 6632|6632]] || [[서울 버스 6633|6633]] || [[서울 버스 6637|6637]] || [[서울 버스 6638|6638]] || || [[서울 버스 6640|6640]] || [[서울 버스 6642|6642]] || [[서울 버스 6645|6645]] || [[서울 버스 6647|6647]] || [[서울 버스 6648|6648]] || || [[서울 버스 6657|6657]] || [[서울 버스 6712|6712]] || [[서울 버스 6713|6713]] || [[서울 버스 6714|6714]] || [[서울 버스 6715|6715]] || || [[서울 버스 6716|6716]] || [[서울 버스 8641|8641]] || || || ||<-5>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5bb025 '''0권역'''}}}]]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5bb025 '''1권역'''}}}]]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5bb025 '''2권역'''}}}]]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5bb025 '''3권역'''}}}]]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5bb025 '''4권역'''}}}]]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5bb025 '''5권역'''}}}]]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5bb025 '''7권역'''}}}]] || || [[파일:6411_9940.png|width=100%]] || [[파일:서울6411일렉.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411 노선도(2023).sv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정랑고개.양천벤처타운)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선릉역) || ||<|2> 종점[br]행 || 첫차 || 03:45 ||<|2> 기점[br]행|| 첫차 || 05:20 || || 막차 || 22:15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9~14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2~17분 / 공휴일 14~19분 || ||<-2> 운수사명 || [[한남여객운수]] ||<-2> 인가대수 || 27대(예비 1대)[* 토요일 24대 / 공휴일 20대 운행][* 예비차는 6511번과 공동사용한다.] || ||<-2><|2> 노선 ||<-4> 정랑고개.양천벤처타운 - 은정초등학교 - [[구로역]] - __[[신도림역]]__ - 거리공원 - 구로구청 - 구로시장 - [[남구로역]] - [[대림역]] - 대림동우성아파트 - [[신풍역]] - 우신초등학교 - 대신시장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 - [[동작역]].국립현충원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논현사거리 - [[학동역]] - 논현아이파크 → [[선정릉역]] → [[선릉역]] → 서울상록회관 → 라움아트센터더강남 → 논현아이파크 → 이후 역순 || ||<-4>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바람. || == 개요 == [[한남여객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3.8km다.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6411/bus-route/1188?c=14130798.7635381,4509125.3994564,12,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번대#s-39|구 62-1번]] 도시형버스(신도림역 - 개포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개편 때 번호만 6411번으로 바뀌었다. * 2018년 9월 29일부터 2대가 감차돼 [[서울 버스 6511|6511번]]과 [[서울 버스 5611|6611번]]에 각각 1대씩 증차됐다. 이와 동시에 대당 일 운행횟수도 줄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7회/3회/2회 감회됐고, 그로 인해 평일 최대 배차간격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1분 늘어났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103838?fileIdx=1#pdfview|관련 공문1]],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523984|관련 공문2]] * 2019년 8월 16일을 기해 첫차 차내 혼잡도 완화를 목적으로 첫차시각에는 2대가 동시에 출발하게 됐다. 단,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408191|관련 공문]] * 2019년 9월 2일을 기해 22:40이었던 기점 막차시각이 22:3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523518|관련 공문]] * 2023년 3월 1일에 [[태진운수]]에서 [[한남여객운수]]로 변경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936337|관련 공문]] * 한남여객운수 구로동 영업소의 신정동 이전에 따라 2023년 7월 1일을 기해 신정동~구로동 구간이 연장되고, 선릉역~개포동 구간은 단축됐다. 단축구간 대체노선으로는 같은 날을 기해 강남구청 이후 경로가 변경된 [[서울 버스 3414|3414번]]이 투입됐다. 기점 첫막차시각도 03:45/22:15로 종전 대비 15분씩 앞당겨졌으며, 기존 단축운행차량 2대 중 1대는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고 1대는 감차되어 6511번으로 이동됐다. 한편 노선 조정과 함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50분으로 늘면서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어 결과적으로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4회/100회/84회에서 96회/89회/74회로 감회됐으며, 이에 따라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도 8~13분/10~12분/12~14분에서 9~14분/12~17분/14~19분으로 늘어났다. 한편 노선 변경 전의 본 노선 첫차는 새벽 맞춤버스 [[서울 버스 8641|8641번]]을 신설하여[* 8641번은 평일만 운행] 대체했다. [[https://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684&off_docu_yn=C&search=&searchkey=|관련 공문]] {{{#!folding [ 노선 조정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411 노선도.svg]]}}} == 특징 == * 지선버스지만 노선도 길고 굴곡도 적다. 2004년 개편 때 간선도로를 10km 이상 경유하는 노선이 간선버스로 지정됐는데, 이 노선의 노량진로, 현충로, 신반포로 구간을 더해보면 10km가 넘는다. 게다가 대림동에서 노량진 방향으로 [[서울 버스 654|654번]]보다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덕분에 훨씬 빠르다. 이렇게 기점을 제외한 전 구간의 선형은 간선버스급이다. * 신도림역에서 남구로역까지는 [[굴곡 노선/버스/서울특별시|굴곡]]이 있다. 우신초교~신도림역은 직선거리로 2.5km이지만 이 노선을 타면 7.5km나 타야 한다. 도신로 대림3동에서 대신시장까지 도로가 직선이고 약 2km밖에 되지 않는데도 한번에 가는 버스노선이 없어서 대림동에서 장훈고, 영등포여고까지 가려면 애로사항이 만개한다. 다만 도림사거리에서 환승해서 갈 수 있다. * [[교통 체증|도로 정체]]가 심해지는 시간에는 운행시간이 증가한다. 대표적으로 학동역-논현역-고속터미널과 흑석동효사정-노들역 정체가 심해서 퇴근시간에 하행선 배차 꼬임 문제가 나타난다. 이 때는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이나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을 이용하는 게 훨씬 낫다. * [[노들역]] 4번 출구에 정차한다. 덕분에 노들역이 회차지점이 아닌 노선 중에서는 유일하게 흑석동 방향도 역과 가까운 위치에서 연계한다. 대신 동작실버센터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 * 정랑고개에서 [[신도림역]]까지는 [[서울 버스 6516|6516번]]과 유사하다. 신도림역에서 이 노선은 2번출구쪽에, 6516번은 1번출구 쪽 중앙차로에 정차한다. * 서울미래초등학교, 신도림역에서는 신정동 방향과 선릉역 방향을 잘 보고 타는 것이 필요하다. 선릉역 방면 차량은 서울미래초등학교 정류장 동쪽 방향(17103)과 반대 방향(17104)에 모두 정차한다. 17103 정류소에서 놓쳤던 버스를 건너편 17104 정류소에서 탈 수 있다는 얘기이다. || '''정랑고개.양천벤처타운 방향''' || '''선릉역 방향''' || || '''{{{#black {{{+3 신정동방향}}}}}}''' || '''{{{#yellow {{{+3 선릉역방향}}}}}}[br]{{{#yellow {{{+1 (선릉역)}}}}}}''' || * 한남여객운수 노선 중 이 노선은 2023년 3월 1일부터도 현금 승차가 가능하다. [[태진운수]] 출신 노선은 예외로 두었기 때문이다. === [[노회찬]] 버스 === [youtube(v12lXdi0jUw)] * [[노회찬]] 전 국회의원이 연설 주제로 다루기도 했다.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새벽시간대에 이 노선을 타고 청소 및 경비 노동자들이 강남의 빌딩으로 출근하기 때문이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246659|#]]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이 노선을 '노회찬 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실 이 노선을 비롯한 대다수의 간선 노선과 여러 중장거리 지선 노선들이 다 해당된다. 운전기사 처우 개선을 명분으로 한 노선 운행시간 변경이 일어날 때, 막차시간이 앞당겨지는 일이 첫차시간이 늦춰지는 일보다 훨씬 잦은 것에도 이런 사정이 있다. * 노회찬 의원 사후 [[정의당]]에서는 이 노선 번호에서 따온 '6411 정신'을 캐치프라이즈로 밀고 있다. [[이자스민]] 전 의원도 정의당 입당식에서 '6411번 버스가 지나는 구로, 대림, 영등포 일대는 서울에서 이주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라며 노 의원님의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고 언급했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16528.html|#]] 그 후 [[이정미(정치인)|이정미]] 의원도 [[2019년 국회 필리버스터]]에서 6411초(=1시간 46분 51초)에 가까운 약 1시간 47분 동안 발언하면서 "우리가 선거법을 개정해야 하는 이유는 노회찬 정신 속에 있다"고 언급했다. * [[2021년 재보궐선거]] 투표일 전날인 4월 6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이 버스를 타면서 선거유세를 했다. 한편, 이에 대해 [[국민의힘]]과 [[정의당]]에서 비판하기도 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5bb025>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8,294명 || - || || 2014년 || 18,599명 || {{{#red △ 305}}} || || 2015년 || 18,112명 || {{{#blue ▽ 487}}} || || 2016년 || 17,261명 || {{{#blue ▽ 851}}} || || 2017년 || 16,671명 || {{{#blue ▽ 590}}} || || 2018년 || 15,775명 || {{{#blue ▽ 896}}} || || 2019년 || 15,412명 || {{{#blue ▽ 363}}} || || 2020년 || 11,747명 || {{{#blue ▽ 3,665}}} || || 2021년 || 11,776명 || {{{#red △ 29}}} || || 2022년 || 12,684명 || {{{#red △ 908}}} || || 2023년 || 12,301명 || {{{#blue ▽ 383}}} || ||<-3> {{{-3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역]], [[신도림역]], [[대방역]], [[노량진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대림역]], [[선릉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동작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남구로역]], 대림역, [[신풍역]], 고속터미널역, [[반포역]], [[논현역]], [[학동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노들역]], [[흑석역]], 동작역, [[구반포역]], [[신반포역]], 고속터미널역, [[선정릉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정릉역, 선릉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논현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대방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노회찬)]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198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노회찬]][[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