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 [[파일:태진6411번_뉴슈퍼개선형.png|width=100%]] || [[파일:서울6411번개선저상.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41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거리공원)[br][도착]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삼각공원)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개포중학교) || ||<|2> 구로동 방향 || 첫차 || 04:00[*A 첫차는 2대가 동시출발한다.] ||<|2> 개포동 방향 || 첫차 || 05:30[*A] || || 막차 || 22:30 || 막차 || 23:55~00:00 || ||<-2> 평일배차 || 6~13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0~12분 / 공휴일 12~14분 || ||<-2> 운수사명 || [[태진운수]] ||<-2> 인가대수 || 28대(예비 1대)[* 토요일 25대 / 공휴일 21대 운행][* 예비차는 [[서울 버스 6511|6511번]]과 공동사용한다.] || ||<-2> 노선 ||<-4> (거리공원 →/삼각공원 ←) - [[신도림역]] - 거리공원 - 구로구청 - 구로시장 - [[남구로역]] - [[대림역]] - 대림동우성아파트 - [[신풍역]] - 우신초등학교 - 대신시장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동작역]].국립현충원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논현사거리 - [[학동역]] - 논현아이파크 - [[선정릉역]] - [[선릉역]] - [[한티역]] - 중대부고 → 구룡중학교 → 개포고등학교앞 → 현대아파트.경남아파트 → 중대부고 → 이후 역순 || == 개요 == [[태진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9km다.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6411/bus-route/1188?c=14130798.7635381,4509125.3994564,12,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번대#s-38|구 62-1번]] 도시형버스(신도림역 - 개포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6411번으로 바뀌었다. * 2018년 9월 29일부터 2대가 감차되어 [[서울 버스 6511|6511번]]과 [[서울 버스 6611|6611번]]에 각각 1대씩 증차되었다. 이와 동시에 대당 일 운행횟수도 줄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7회/3회/2회 감회되었고, 그로 인해 평일 최대 배차간격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1분 늘어났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103838?fileIdx=1#pdfview|관련 공문1]][[http://opengov.seoul.go.kr/sanction/16523984|관련 공문2]] * 2019년 8월 16일을 기해 첫차 차내 혼잡도 완화를 목적으로 첫차시각에는 2대가 동시에 출발하게 되었다. 단,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408191|관련 공문]] * 2019년 9월 2일을 기해 22:40이었던 기점 막차시각이 22:30으로 10분 앞당겨졌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523518|관련 공문]] == 특징 == * 지선버스지만 노선도 길며, 굴곡도 적은 편이며 형태나 보면 사실상 간선버스 노선처럼 보인다. 애초에 2004년 개편 때 간선도로를 10km 이상 경유하는 노선이 간선버스로 지정되었는데, 이 노선의 노량진로, 현충로, 신반포로 구간을 더해보면 10km가 넘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대림동에서 노량진 방향으로 [[서울 버스 654|654번]]보다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덕분에 훨씬 빠르며, 구로구의 일부 구간 외엔 사실상 간선버스라고 봐도 될 선형이다. * 다만 신도림역에서 남구로역까지의 일부 구간은 '''[[굴곡 노선|빙빙 돌아가는 굴곡 구간]]이다. 일례로, 우신초교~신도림역은 직선거리로 2.5km이지만 이 노선을 타면 7.5km나 타야 한다.'''[* 도신로 대림3동 지역에서 대신시장까지 도로가 직선이고 약 2km밖에 되지 않는데도 한번에 가는 버스노선이 없어서 대림동에서 장훈고, 영등포여고까지 가려면 애로사항이 만개한다. 다만 도림사거리에서 환승해서 갈 순 있다.] * 개포동 구,시영아파트 정류소에 태진운수 소유의 컨테이너가 있었고 여기서 휴식 및 배차간격 조절을 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컨테이너가 없어졌다. 다만 현재도 배차간격 조절을 하기 위해 현대아파트, 경남아파트 정류소의 옆으로 낸 추가공간에서 잠시 설 때가 있다.[* 보통 대방역 근처에서 정차한다] 그리고 배차간격 조절이 아니더라도 높은 확률로 기사들의 용변으로 인해 약 2~5분간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참고로 예전 컨테이너박스 위치에서 잠시 정차할 때도 있다. * 구로동 영업소에는 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낮 시간대에는 판대기에 '''{{{#red 충전소}}}행''' 표지판을 걸고 개포동 [[도선여객]]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TOPIS에 나오는 공식적인 정류장은 아니지만 도선여객 차고지에서 승하차도 받으며 회차구간은 [[서울 버스 2413|2413번]]과 같은 루트이다.[* 도곡역에서 개포동을 돌고 다시 도곡역에서 갈라지는 것까지 완벽하게 동일하다.] * 상행의 경우 웬만해선 에코드라이빙을 추구하나 하행의 경우 막 밟는 경우가 많다. 하행 노량진 이후부터는 에코운전하나 고회전 운전하나 점수는 그게 그거라 막 밟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도로 정체가 심해지는 시간대에는 그 정체에 갇혀 하염없이 운행시간이 증가한다. 대표적으로 학동역부터 논현역을 지나 고속터미널, 그리고 흑석동효사정부터 노들역 구간이 가장 정체가 심하며, 이 때문에 퇴근시간에 하행선 배차 꼬임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럴 경우에는 그냥 7호선이나 9호선 타는 게 훨씬 나으며 대림역부터 신풍역까지는 [[서울 버스 654|654번]], 신길동 사러가쇼핑센터부터 노들역까지는 [[서울 버스 507|507번]], 신길새마을금고부터 논현역까지는 [[서울 버스 360|360번]], [[서울 버스 640|640번]], 선정릉역부터 개포동 구룡마을까지는 [[서울 버스 472|472번]]을 각각 이용하면 된다. * 선릉로 구간도 막힐 때가 간혹 있어, 배차간격이 자주 깨진다. 배차간격이 '''20분 넘게''' 벌어질 수도 있으니 꼭 유의할 것. * [[서울 버스 452|462번]]의 노선단축 이후, 강남대로 및 고속터미널 등지에서의 노량진, 영등포 방면 심야 수요가 이 노선으로 대거 이동되었다고 한다.[[http://gall.dcinside.com/transit/39815|게시글]] 논현사거리를 0:30경 통과하는[* 막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0:35~0:40경에 통과하는 경우도 있었다.] 구로동 방향 막차에 특히 집중된다. 그런데 2019년 9월부터 이 노선의 막차시각도 앞당겨지면서 심야 이용객들에겐 또한번 불편이 가해지게 되었다.[* 사실 흑석동 단축 이전의 462번은 영등포방면 막차가 논현사거리를 1:00경 통과했음을 감안하면, 현재도 강남대로에서 대중교통으로 신반포로/현충로를 통해 노량진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간대는 이미 많이 줄어든 상황이다. 그런데 막차시간마저 당겨지면서 해당 방향의 대중교통 이용 가능 시간대가 또 한번 줄어들게 된 것.] * [[노들역]] 4번 출구에 서는 유일한 노선이다. 대신 다른 노선들이 정차하는 동작실버센터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 과거 [[서울 버스 350|363번]]도 단축되기 전엔 이곳에 섰다.] * 거리공원, 한국SGI, 서울미래초등학교에서는 '''삼각공원'''방향과 '''개포중학교'''방향을 잘 보고 타야 한다. 특히 '''개포동'''방면으로 서울미래초등학교 정류장에는 신도림에서 정류장 이후 건너편에서 다시 정차한다. 운이 좋으면 놓쳤던 버스를 건너편에서 탈 수도 있다는 얘기. || 삼각공원 방향 || 개포중학교 방향 || || '''{{{#black {{{+3 구로동방향}}}}}}''' || '''{{{#yellow {{{+1 개포동방향}}}}}}''' || === [[노회찬]] 버스 === [youtube(v12lXdi0jUw)] * [[노회찬]] 전 국회의원이 연설 주제로 다루기도 했다.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새벽시간대에 이 노선을 타고 청소 및 경비 노동자들이 강남 지역의 빌딩으로 출근하기 때문이다.([[http://news.kbs.co.kr/news/view.do?ncd=4246659|관련 기사]])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이 노선을 '''노회찬 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실 이 노선만 그런 것은 아니고, 대다수의 간선 노선과 여러 중장거리 지선 노선들은 다 해당되는 내용이다. 운전기사 처우 개선을 명분으로 한 노선 운행시간 변경이 일어날 때, 막차시간이 앞당겨지는 일이 첫차시간이 늦춰지는 일보다 훨씬 잦은 것도 이런 사정이 있는 것이고 [[서울 버스 8541|8541번]]도 해당 노동자들의 수요 때문에 맞춤버스로 있는 것이다. [* 8541번은 얘기가 다른게 충전소 설립 거부로 인해서 노선이 쪼개진 핌피의 결과였지 6411번과는 아무 연관 없다.] * 노회찬 의원 사후 [[정의당]]에서는 이 노선 번호에서 따온 '6411 정신'을 캐치프라이즈로 밀고 있다. [[이자스민]] 전 의원도 정의당 입당식에서 '6411번 버스가 지나는 구로, 대림, 영등포 일대는 서울에서 이주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라며 노 의원님의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고 언급했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16528.html|기사]] 이후 [[이정미(정치인)|이정미]] 의원도 [[2019년 국회 필리버스터]]에서 6411초[* 1시간 46분 51초. 실제로도 약 1시간 47분 동안 발언했다.] 동안 발언하면서 '''"우리가 선거법을 개정해야 하는 이유는 노회찬 정신 속에 있다"'''고 언급했다. * [[2021년 재보궐선거]] 투표일 전날인 4월 6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이 버스를 타면서 선거유세를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이준석]] 위원은 선거법 위반이라고 비판하였고, [[정의당]]에서도 이에 대해 비판하였다.[* 21대 총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독주로 인해 정의당은 더불어민주당에 완전히 정을 떼어 버린 상태였다. 박영선 후보가 도와달라고 요청했음에도 염치없다며 비판했을 정도.] === 일평균 승차인원 === ||<-3><#5bb025>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8,294명 || - || || 2014년 || 18,599명 || {{{#red △ 305}}} || || 2015년 || 18,112명 || {{{#blue ▽ 487}}} || || 2016년 || 17,261명 || {{{#blue ▽ 851}}} || || 2017년 || 16,671명 || {{{#blue ▽ 590}}} || || 2018년 || 15,775명 || {{{#blue ▽ 896}}} || || 2019년 || 15,412명 || {{{#blue ▽ 363}}} || || 2020년 || 11,747명 || {{{#blue ▽ 3,665}}} || || 2021년 || 11,776명 || {{{#red △ 29}}}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신도림역]], [[대방역]], [[노량진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개포동 방향 신도림역 3번 출구 정차, 구로동종점 방향 신도림역.국민은행 정차], [[대림역]], [[선릉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도곡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동작역]][* 동작역.국립현충원 정차]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남구로역]], 대림역, [[신풍역]], 고속터미널역, [[반포역]], [[논현역]], [[학동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노들역]], [[흑석역]], 동작역, [[구반포역]], [[신반포역]], 고속터미널역, [[선정릉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정릉역, 선릉역, [[한티역]], 도곡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노회찬)]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198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노회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