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파일:IMG_9288(Seoul_751_4592).jpg|width=100%]] ||[[파일:선진751_엔삭타요.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5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51_2021011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선진운수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숭실대정문)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50 || || 막차 || 22:2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7~15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8~15분 / 공휴일 8~15분 || ||<-2> 운수사명 || [[선진운수]] ||<-2> 인가대수 || 32대(예비 1대)[* 토요일 22대 / 공휴일 23대 운행] || ||<-2> 노선 ||<-4> 선진운수종점 ↔ 구산동주민센터,구산치안센터 ↔ 구산중학교,구산교회 ↔ 서울시서북병원,세현교회앞 ↔ 서울기독대학교입구 ↔ 국민은행신사동지점(상도동 방향) → 신사동고개(상도동 방향) →/← 신사동고개,은평지역자활센터(구산동 방향) ↔ 상신초등학교 ↔ 신사초등학교(새절역) ↔ 응암오거리 ↔ 대림시장 ↔ 동도하이츠아파트 ↔ KT가좌지사 ↔ 북가좌2동주민센터 ↔ 우리은행북가좌동지점 ↔ DMC래미안이편한세상 2,4단지(상도동 방향) →/← 모래내우체국,증가교회(구산동 방향) ↔ 북가좌삼호아파트,DMC아이파크아파트 ↔ 동부센트레빌아파트 ↔ DMC파크뷰자이 → 모래내삼거리(상도동 방향) →/← 삼성래미안아파트(구산동 방향) ↔ 모래내시장(가좌역) ↔ 사천교 ↔ 연희 104고지앞,구 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세브란스병원 ← 이대부중 ← 이대부고 ← 이대부중(구산동 방향) ← 신촌역,신촌지구대 ↔ 이화여대입구 ↔ 북성초등학교 ↔ [아현역] ↔ [충정로역]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상도동 방향,중앙차선)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구산동 방향,가로차변)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4번 승강장(상도동 방향) →/← 갈월동 ↔ 숙명여대입구 ↔ [삼각지역] ↔ KT용산지사 ↔ 용산역광장 ↔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 ↔ 노들섬 상도동 방향 노들역 2번출구 → 사육신공원 → [[노량진역]] →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 → 청화병원,장성교회앞 → 동작문화복지센터,동작보건소 → 상도노빌리티아파트 → 상도시장(상도역 1번출구) → 상도동중앙하이츠빌,상도전통시장 → [[숭실대입구역]] → 숭실대정문 구산동 방향 숭실대정문 → [[숭실대입구역]] → 상도동중앙하이츠빌,상도전통시장 → 상도시장(상도역 5번출구) → 상도노빌리티아파트 → 동작문화복지센터,동작보건소 → 청화병원,장성교회앞 →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 → [[노량진역]] → [[노들역]] || == 개요 == [[선진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47.3km.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s-98|구 143번]] 도시형버스(구산동 - 숭실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751번으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일반버스 7대, 저상버스 25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모래내시장 - [[숭실대학교]] 구간이 [[서울 버스 750|750A/B번]]과 상당히 겹친다. 하지만 연대정문 - 경찰청 구간은 이대역을 경유하고, 한강대교 - 숭실대학교 구간은 상도터널을 경유하는 [[서울 버스 750|750A/B번]]과 달리 노량진과 장승배기를 경유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 [[신촌역(경의선)|경의선신촌역]] 구간이 왕복이기는 하나, 구산동 방향은 [[이대역]]에서 [[연세대학교]]정문으로 빠질 때 2013년 10월까지만 해도 경의선신촌역에서 바로 연대 쪽으로 갈 수 없었다. 그 탓에 현재까지도 우회전하여 봉원고가 아래에서 U턴한 후, 세브란스병원 정류장까지 가면서 [[중앙버스전용차로]]로 끼어드는 식으로 운행한다. 이로 인해 봉원고가를 탄 뒤 바로 중앙차로에 진입하는 [[서울 버스 750|750A/B번]]에 비해 시간 지체가 크다. *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 공사 중이던 2013년 11월부터 경의선신촌역 앞에서 바로 좌회전할 수 있게 되었으나, [[서울 버스 7017|7017번]]과 함께 현재까지도 기존 노선대로 U턴 운행 중이다. * 이 노선 역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기는 하나, [[서울 버스 750|750A/B번]], [[서울 버스 752|752번]]과 마찬가지로 구산동 방면으로 갈 때는 환승센터의 도로 구조상 정차하지 못한다. 따라서 갈월동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4호선 서울역 출구를 통해 횡단하거나, [[숭례문]] 쪽으로 진입하는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 구산동 본사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노선들([[서울 버스 702|702A/B]], [[서울 버스 752|752]], [[서울 버스 7022|7022]], [[서울 버스 9701|9701]]) 중 유일하게 신촌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이 중 기사들 의견으로 [[서울역]]까지 가장 빠른 노선은 [[서울 버스 752|752번]]이다.[* 702A/B, 9701 두 노선은 광화문, 남대문 정체와 응암동 경유, 751번은 신촌 등을 경유하며, 7022번은 [[불광역]]에서 세검정, 구기동, 경복궁을 경유해서 온다. [[서울 버스 752|752번]]은 [[녹번역]]에서 통일로로 쭉 내려온다. 9701번은 응암동을 거치지 않으나 남대문시장(회현역)을 지나가고, 환승센터는 미경유한다. 그리고 서울역에서 구산동으로 갈 때는 702A/B를 이용하는 게 빠르다.] * 가스 충전은 동사 [[서울 버스 702|702A/B번]]의 종점인 용두동영업소까지 공차회송한다. * 2012년에 개봉한 영화 [[건축학개론]]에서 건축학개론 교수가 학교(연세대학교)에 출근할 때 타는 버스로도 나온다. 이촌동에서 38번을 타고 삼각지에서 143번으로 갈아타고 학교로 출근한다는 대사가 나오는데 이 때 143번이 현재의 751번이다. * [[서울 버스 7728|7728번]]이 추가로 운행되어 승객 감소 요인에도 불구하고 [[가재울뉴타운]] 일대, 넓게는 가좌~아현 구간에서는 [[러시 아워|RH]] 시간대마다 엄청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이 펼쳐진다. 교통량 자체도 도로 용량에 비해 어마어마해서, 평일 저녁 기준으로 [[노량진역]]에서 [[새절역]]까지 1시간 30분 전후가 소요된다. * 오랫동안 [[서울 버스 753|753번]]과 기종점이 비슷했다. 하지만 [[서울 버스 753|753번]]이 2017년 9월 11일에 구산동 선진운수 종점으로 연장하면서 기종점이 같아졌다. 단, 신촌 일대에서 갈라져서 [[장승배기역]]에서 다시 만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5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0,170명 || - || || 2014년 || 19,223명 || {{{#blue ▽ 947}}} || || 2015년 || 18,904명 || {{{#blue ▽ 319}}} || || 2016년 || 18,453명 || {{{#blue ▽ 451}}} || || 2017년 || 18,009명 || {{{#blue ▽ 444}}} || || 2018년 || 17,454명 || {{{#blue ▽ 555}}} || || 2019년 || 17,125명 || {{{#blue ▽ 329}}} || || 2020년 || 12,947명 || {{{#blue ▽ 4,178}}}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A 상도동 방향만 정차.], [[남영역]][* 숙대입구역 정류장 하차 후 도보 5분.], [[용산역]][*B 신용산역 하차], [[노량진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A],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이수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새절역]], 삼각지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상도역]], [[숭실대입구역]], [[남성역]], 이수역, [[내방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 노량진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가좌역]], [[신촌역(경의선)|신촌역]], 서울역[*A], 용산역[*B]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A]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A],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B]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7권역]][[분류:197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