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맞춤버스 8223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회기역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장한평역)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0:00 || 막차 || ? || ||<-2> 평일배차 || 25분[* 10~16시 미운행] ||<-2> 주말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북부운수]] ||<-2> 인가대수 || 2대 || ||<-2> 노선 ||<-4> 회기역종점 - 삼육서울병원 - 휘경2동 - 휘경여중고, 휘경주공아파트 - 장안2동주민센터 - 신한은행장안동지점[* 지금의 동대문더퍼스트데시앙아파트 정류소이다.] - 현대벤처빌 - 우리은행 - 장한평역 || == 개요 == 북부운수에서 운행했던 맞춤버스 노선이었다. == 역사 == * 2008년 8월 31일에 신설되었다. 차량은 전날까지만 운행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순환버스#2.3|탄천01번]]에서 가지고 왔다. * 2012년 8월 28일에 폐선되었다. == 특징 == * [[서울 버스 2211|2211번]]의 하위호환 노선으로, 2211번과 달리 중곡초교[* 즉, 04년 개편 전의 427번인 셈이다(2211은 면곡시장, 중곡초교 경유).]를 경유하지 않았다. 수요도 자체 수요보다는 2211번을 보조해주는 성격이었다. * 탄천 01번이 폐선되고 남은 차량으로 운행했다.[* 2003년경 남산순환버스 신설시 01번에 사용되다 이후 폐선된 후로는 잠시 [[서울 버스 2230|2111번]]에 사용하다 청계천 순환 노선으로, 이후 탄천 01번에 사용하다 2008년에 8223과 주말맞춤버스였던 8002에 사용되었다.][* 8002는 남산타워 순환중 서울역(남대문경찰서)을 기점으로하여 명동, 남산 케이블카 부근까지 운행했던 노선으로 이 노선이 폐선된 이후 03번이 대체하게 된다.] * 맞춤버스라 원래 녹색 도색을 적용해야 하나 주말 남산순환버스 증차를 위해 노란 도색을 한 차량을 그대로 썼다. 운행 말기에는 전면 LED가 있는 녹색 [[NEW BS090]]으로 대차되었으며 보통은 8223번으로, 일부 시간대[* 평일 NH(8223으로서는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와 주말/공휴일.]에는 남산순환버스로 운행했다. 이는 폐선된 현재도 마찬가지. 사실상 북부운수의 다중노선 등록 최초라 할 수 있었다(2004년 개편 이후 기준). * 2권역 맞춤버스 중에서 가장 오래 남아있던 노선이었다. 운행기간은 약 4년.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 [[회기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 [[장한평역]]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회기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