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 [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5bb025>{{{#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8335번}}}|| ||<-2><:>기점||<:>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1동(남한산성입구)||<-2><:>종점||<:>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2동(동명약국)|| ||<|2><:>종점행||<:>첫차||<:>04:30||<|2><:>기점행||<:>첫차||<:>?|| ||<:>막차||<:>23:30||<:>막차||<:>?|| ||<-2><:>평일배차||<:>10~18분||<-2><:>주말배차||<:>10~18분|| ||<-2><:>운수사명||<:>[[남성교통]], [[태진운수]], [[한국brt]]||<-2><:>인가대수||<:>1대(예비 4대)|| ||<-2><:>노선||<-4><:>남한산성입구 - 송파상운종점 - 거여초교 - 오륜사거리 - 효죽동입구 - 동북고 - 둔촌동역 - 동명약국|| == 개요 == 남성, 태진, 한국brt가 공동 배차로 운행했던 임시 노선. 총 운행거리는 12.5km였다. == 역사 == * 현 [[송파상운]] 차고지는 거여2-2지구 재개발구역(거여2동 223-3)에 속해 있다. 송파구의 민원 답변([[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73861|#]])에 의하면 송파상운은 2008년에 거여2-2지구 재개발 조합 설립에 동의하였고, 이에 따라 보상비를 부여받았으며(보상비로 다른 곳에 차고지를 마련할 수 있는지는 불명) 조합의 협조를 받아 거여2-2지구 내 정비기반시설 부지 일부를 임시 차고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송파상운에서는 차고지를 사수하겠다는 입장이며 강제 철거에 들어갈 시 파업에 들어가겠다며 주민들의 양해를 구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72215|송파상운의 호소문]] * 송파상운의 파업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임시 노선을 계획하게 되었다. * 2017년 8월 14일에 재개발 조합 측에서 강제집행에 돌입하자 결국 마천동에서 출발하는 송파상운 노선들의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에 따라 운행했다. 다음날에는 기존 노선들이 운행을 재개해 운행하지 않았다. * 2017년 8월 23일에 폐선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3057760|관련 공문]] 같은 날에 2차 집행이 있었지만, 이 날에는 기존 노선들을 다른 회사들 차량으로 운행했다. == 특징 == * 남성교통은 4419번 예비차로 있던 1대(서울 70사 6540)로, 태진운수는 362번 예비차로 있던 2대(서울 70사 5915~6)로, 한국brt는 471번 --예비차--[* 공문 오류인 듯하다.] 정규차 1대(서울 71사 1871)와 701번 예비차 1대(서울 74사 7919)로 운행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78775|관련 게시물]] * 서울에 있는 모든 정류장 도착안내기에 '송파상운 노선 운행종료' 문구가 송출되었고 8335~7번이 대체 노선으로 운행 중이라는 문구도 나왔으나, 후자는 크기가 큰 안내기에만 나올 뿐 규모가 작은 안내기는 운행종료 안내만 나오는 등 승객 유도가 다소 미흡했다. 노선 안내문도 따로 붙이긴 했으나, 승객이 많이 이용하는 일부 정류장에만 붙였다.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5호선]] : [[마천역]], [[둔촌동역]] [[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 [[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