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404_765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9404.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9404 노선도.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구미동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신사역)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00 || || 막차 || 23:30 || 막차 || 00:30 || ||<-2> 평일배차 || 6~10분 ||<-2> 주말배차 || 7~10분 || ||<-2> 운수사명 || [[남성버스]] ||<-2> 인가대수 || 28대(예비 3대)[* 토요일 22대 / 공휴일 19대 운행.] || ||<-2> 노선 ||<-4> 구미동차고지 (LG트윈하우스 →/농수산물센터 ←) - 무지개마을 - 미금초등학교 - 분당도서관.계원예고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 분당구청입구.수내교 - {{{#aaa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 - {{{#aaa 내곡IC}}} -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 - 안골마을 - 염곡마을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 개요 == [[남성버스]]에서 운행 중인 광역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56km이다. [[http://naver.me/xHHpfYEX|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6006번 직행좌석버스(신갈 통미마을 - [[논현역]])가 전신이다. 관련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0번대 이후]] 문서를 참조.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가 9404번으로 변경되었고 [[신사역]]까지 연장되었다. * 2008년 2월 20일에 한보라마을을 경유하여 하갈동 [[용남고속]] 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 2008년 7월 1일에 출퇴근시간 광역급행버스가 신설되었다. [[신사역]] 방향은 신갈고가도로 및 [[성남대로]] 직통으로 운행하고, 신갈 방향은 기존 노선대로 운행했다. * 기존 노선과 차별 심화를 이유로 2011년 1월 28일에 광역급행버스가 폐지되었다. * 하갈동 [[용남고속]] 차고지가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되어 대체 차고지를 구하려고 했지만 난개발 투성이인 [[용인시]]에서 차고지로 쓸 만한 부지는 없었고, 가스 충전 문제도 잘 해결되지 않았다. 결국 2013년 6월 5일에 [[분당영업소|구미동]]으로 단축되었고, [[신사역]]에서 [[압구정역]]까지 연장했다. * 2013년 12월 31일에 [[신사역]]으로 다시 단축하되, 더 리버사이드 호텔 근처의 가로변 정류소(신사역네거리)에 한 번 더 정차한 후 [[한남대교]] 남단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3739|관련 공지사항]] * 심야 수요 미비를 이유로, 2016년 10월 21일에 막차가 자정에서 23시 30분으로 30분 당겨졌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9884516|관련 공문]] * 2019년 10월 28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0회/7회/6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5분이던 최소 배차간격도 평일의 경우 6분,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7분으로 늘어났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927900|관련 공문]] == 특징 == === [[용인시]] 구간 단축 이전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가장 남쪽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위도상 [[세류역]] 일대랑 비슷했다. 단축 후에는 [[부곡공영차고지|부곡동]]까지 가는 [[서울 버스 542|542번]]과 [[서울 버스 5624|5624번]]이 가장 남쪽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2015년 7월 1일에 [[서울 버스 441|441번]]과 [[서울 버스 502|502번]]이 의왕-수원 시경계에 있는 [[월암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두 노선이 가장 남쪽까지 간다.] 다만 [[영덕동|하갈동]]에 차고지가 없어서 [[용남고속]] 차고지에서 살고 있었다. 운행 관리는 [[분당영업소|구미동]]에서 하되, 이른 새벽마다 [[영덕동|하갈동]] [[용남고속]] 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했었다. 그리고 마지막 운행 때와 심야버스 운행을 마치는 시점에는 하갈동 종점으로 오지 않고 한보라마을 한일초등학교에서 중간 종료 후 회송하기도 했다. 오후 시간대 가스충전과 승무원 교대 등을 오리역에서 진행했는데, [[서울 버스 502|502번]]이 서울시청에서 가스충전을 하던 것과 유사했다. 차이점이 있다면 승무원 교대까지 같이 진행했다. 구미동 차고지에 입고해서 가스 충전과 승무원 교대를 마친 차량이 출고되어 가스 충전을 할 뒷차의 승객을 인계받아 출발하는 방식이었다. === 단축 이후 === * [[신사역]]에서 신사동고개를 지나 [[압구정역]]으로 회차지를 변경했고, [[신논현역]] - [[강남역]]까지 가로변차로를 탔던 것을 중앙버스전용차로 경유로 변경하였다. 또한 [[경부고속도로]]가 아닌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와 동판교 광장지하차도[*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는 여러 노선이 가지만, 판교를 지하로 지나가는건 이 노선과 [[용인 버스 1101]] 둘 뿐. 단 1101번은 단국대 방향 한정이다.]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당에서는 [[성남 버스 1241|1241번]]에 밀리지만 사실 시민의숲에서 [[양재IC]] 가는 길이 막힐 땐 이 노선이 더 빠르다. * 용인시 구간이 단축됐음에도 불구하고 감차를 많이 시키지 않아 배차가 확연히 개선되어 노선이 중복되는 타 노선과의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주요 구간이 중복되는 [[성남 버스 1121|1121번]]을 폐선시킬 정도로. * 1005-1번이 폐선된 이후에는 정자2동 지역에서 강남 수요를 어느 정도 받아왔다. * 오리역을 경유하여 구미동차고지로 들어가는 다른 노선과 달리, 이 노선은 구미동차고지에 진출입할 때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시경계로 간다.[* 하갈동 [[용남고속]]차고지 기점 시절의 특성이 남아있는 것으로, 분당권 서울 광역 가운데 9404 혼자 시경계에 걸쳐있는 LG 트윈하우스를 기점으로 두는 것도 과거의 9404 운행 경로를 따라 마을버스를 타고 '벽산아파트.우리은행' 정류소에서 하차한 다음, 100m만 걸으면 바로 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해 둔 것이다.] === 그 외 === * 용인시 구간이 단축되고 [[압구정역]]으로 연장하면서부터 운행거리 왕복 76km에서 약 55km로 단축되면서 서울 광역버스 노선들 중 가장 운행거리가 짧게 됐다. * [[서울 버스 9401B|9401B번]]이 [[서울 버스 9401|9401번]][* 돌마로로 다닌다.]에 통합되면서, 서울 [[광역버스(서울)|광역버스]] 노선 중에는 유일하게 내정로(정자동 한솔프라자)를 다니는 노선이다. 여기서 탄천 쪽 내리막길로 쭉 가면 [[정자역]]이 나온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후의 돌고래 로얄럭셔리도 이 노선에 있었다. 참고로 아래 사진의 돌고래 로얄럭셔리는 [[대우자동차]]에서 카탈로그용 사진 촬영 목적으로 제작된 시제차다. 또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후의 에어로 스페이스 LS도 이 노선에 있었다. [[파일:attachment/서울 버스 9404/NAVER_9087847280.png]] * 운행 거리가 짧지만,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를 경유하므로 입석금지 대상 노선이다. * 분당에서 강남으로 가는 노선들 중에 첫차가 가장 이른 노선이다. * [[서울 버스 9401|다]][[서울 버스 9403|른]] [[서울 버스 9404|노]][[서울 버스 9408|선]]들과 함께 [[구미동]] 구간 정류장 간격이 '''매우''' 촘촘하다. 특히, 대우.롯데아파트/신원아파트 - 미금초등학교 구간이 정류장 간격 약 '''120m'''로 가장 촘촘하다. 또 동성/남성교통이 잘 밟는 회사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는 신원아파트 출발 후 미금초등학교 안내방송 시작한지 1초 되자마자 정류장을 '''바로 통과해버린다는....''' 그러므로 해당 구간 하차 시 하차벨을 굉장히 스피드있게 눌러야 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5,240명 || - || || 2014년 || 4,628명 || {{{#blue ▽ 612}}} || || 2015년 || 4,634명 || {{{#red △ 6}}} || || 2016년 || 4,379명 || {{{#blue ▽ 255}}} || || 2017년 || 4,501명 || {{{#red △ 122}}} || || 2018년 || 4,291명 || {{{#blue ▽ 210}}} || || 2019년 || 4,222명 || {{{#blue ▽ 69}}} || || 2020년 || 3,131명 || {{{#blue ▽ 1,091}}} || || 2021년 || 2,759명 || {{{#blue ▽ 372}}} || ||<-3> {{{-3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ffffff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4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6> '''신사역사거리[br]23109''' || || 신사역.푸른저축은행[br]22015 || || || || || 신사역[br]22016 || || 논현역[br]22013 || || {{{#ffffff ↓}}} || {{{#ffffff ↑}}} || || 논현역[br]22014 || || 지하철2호선강남역[br]22011 || || || || || 지하철2호선강남역[br]22012 || || 신분당선강남역[br]22009 || || {{{#ffffff ↓}}} || {{{#ffffff ↑}}} || || 신분당선강남역[br]22010 ||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br]22007 || || || ||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br]22008 || || 뱅뱅사거리[br]22005 || || {{{#ffffff ↓}}} || {{{#ffffff ↑}}} || || 뱅뱅사거리[br]22006 ||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br]22003 || || || ||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br]22004 || || 교육개발원입구[br]22001 || || {{{#ffffff ↓}}} || {{{#ffffff ↑}}} || || 교육개발원입구[br]22002 || || 시민의숲.양재꽃시장[br]22296 || || || || || 시민의숲.양재꽃시장[br]22297 || || 염곡마을[br]22350 || {{{#ffffff ↓}}} || || || {{{#ffffff ↑}}} || 염곡마을.내곡동주민센터[br]22351 || || 탑성마을[br]22352 || || || || || 탑성마을[br]22535 || || 서초포레스타입구[br]22399 || {{{#ffffff ↓}}} || || || {{{#ffffff ↑}}} || 서초포레스타입구[br]22398 || || 안골마을[br]22329 || || || || || 안골마을[br]22355 || ||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강동-송파예비군[br]22356 || {{{#ffffff ↓}}} || || || {{{#ffffff ↑}}} ||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강동-송파예비군[br]22357 || || {{{#808080 내곡IC[br]미정차}}} || || || || || {{{#808080 내곡IC[br]미정차}}} || || {{{#808080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808080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br]미정차}}} || || 분당구청입구.수내교[br]47624 || || || || || 분당구청입구.수내교[br]47623 || || 파크타운.양지마을[br]47012 || {{{#ffffff ↓}}} || || || {{{#ffffff ↑}}} || 파크타운.롯데아파트[br]47011 || || 주공7단지앞[br]47053 || || || || || 주공7단지.한솔종합사회복지관[br]47033 ||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br]47048 || {{{#ffffff ↓}}} || || || {{{#ffffff ↑}}}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br]47027 || || 한솔프라자[br]47051 || || || || || 한진아파트[br]47042 || || 분당도서관.계원예고.계원예술중[br]47045 || {{{#ffffff ↓}}} || || || {{{#ffffff ↑}}} || 분당도서관.계원예고.이마트[br]47046 || || 이마트앞[br]47034 || || || || || 헬스케어혁신파크.가스공사[br]47036 || || 헬스케어혁신파크.가스공사[br]47044 || {{{#ffffff ↓}}} || || || {{{#ffffff ↑}}} || 대원사거리.까치마을[br]47154 || || 청솔마을.주공9단지.동아아파트[br]47153 || || || || || 대우.롯데아파트상가[br]47157 || || 미금초등학교[br]47149 || {{{#ffffff ↓}}} || || || {{{#ffffff ↑}}} || 미금초등학교[br]47150 || || 오리초등학교[br]47159 || || || || || 오리초등학교[br]47155 || || 하얀마을.그랜드빌.벽산빌라[br]47156 || {{{#ffffff ↓}}} || || || {{{#ffffff ↑}}} || 하얀마을.그랜드빌.벽산빌라[br]47148 || || 무지개마을.건영아파트[br]47166 || || || || || 주공4단지[br]47170 || || 신한아파트[br]47168 || {{{#ffffff ↓}}} || || || {{{#ffffff ↑}}} || LG아파트.무지개마을사거리.신한[br]47163 || ||<-6> '''농수산물센터 · LG트윈하우스[br]47626 · 59625'''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역]], [[서울역]], [[시청역(서울)|시청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시청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신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이촌역]], [[신용산역]], [[숙대입구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 [[이태원역]], [[효창공원앞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리역]], [[수내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 이촌역, 용산역, 효창공원앞역,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강남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4권역]][[분류:성남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