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파일:선진운수 9701번[3096].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9701_노선도.jp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가좌동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2가(롯데백화점)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23:50''' || 막차 || '''01:20''' || ||<-2> 평일배차 || 7~23분 ||<-2><:>주말배차||<:>토요일 7~26분 / 공휴일 9~26분 || ||<-2> 운수사명 || [[선진운수]] ||<-2> 인가대수 || 22대(예비 1대) || ||<-2> 노선 ||<-4> 가좌동종점 - 고양예고입구 - 덕이초등학교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대곡역(고양)|대곡역]] - [[화정역(고양)|화정역]]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역]] - 원흥도래울마을 - 용두사거리 - 용두2리 - 서오릉입구 - 선진운수종점 - 구산역.예일여고 - [[역촌역]].역촌오거리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영천시장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 →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 롯데백화점 → [[남대문시장]].[[회현역]] → [[서울역]](역전우체국 건너편)[* 공항버스 6702번이 서는 정류소로, 서울역 3번 출구에서 멀지 않다. 정류소 ID는 02-694.] → 서대문경찰서 → 이후 역순 || == 개요 ==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8.75km다.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9701/bus-route/1365?c=14113678.2309418,4526850.5236206,11,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번대#s-71|구 72-2번]] 좌석버스(일산 가좌동 - 미도파[* 지금의 명동 롯데 영플라자다.])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701번으로 변경되었다. * [[고양시]]의 요청을 받아들여 2008년 12월 20일에 강촌마을, 백석고교, 일산병원 굴곡 구간[* [[서울 버스 773|773번]]이 여전히 해당 경로로 운행 중이다.] 대신 가좌마을, [[마두역]], 백석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319|관련 공지사항]]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405315|관련 기사]] * 2012년 10월 12일부터 가좌마을을 경유하지 않는다. * 2015년 12월 13일 롯데영플라자 → 숭례문(서울역) 구간에서 남대문시장 회현역(퇴계로) → 서울역(한진택배)앞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12월 31일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개통 후 종로1가([[종각역]])를 무정차 통과한다. 광화문에서 하차 후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 특징 == === [[광역버스(서울)|광역버스]] 맞아? === * 노선 등급은 엄연히 광역버스이지만 실제로는 노선상의 '''거의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기 때문에''' 사실상 시내버스(간선)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시내간선버스로 형간전환해야 할 것 같다는 승객도 있다. 만약에 형간전환된다면 간선버스 709번으로 번호가 변경될 수도 있다.] * 분명히 일산 기점 서울 도심행 [[광역버스(서울)|광역버스]]인데, [[고양 버스 1000|1000번]], [[서울 버스 9714|9714번]]을 생각하고 탔다가는 '''100% 후회한다!''' 언뜻 보면 1000번 등 [[수색로]] 경유 노선들보다 서울까지의 거리가 짧아 보이지만,[* 실제로 일산에서 서울 도심으로 진입할 때 일산~화정/능곡~행신~수색~가좌를 경유하는 루트랑 일산~원당~서오릉~구산~홍제를 경유하는 루트는 비슷한 길이로, 최단 경로로 봤을 때는 [[수색로]] 경유보다 [[서오릉로]](구산동) 경유가 오히려 아주 조금 더 가깝다! 그러나 [[고양대로]]/[[서오릉로]]~[[통일로]]는 [[중앙로(고양)|중앙로]]~[[수색로]]~[[성산로(서울)|성산로]]에 비해 교통 흐름이 나쁘다.] 실제로 타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게 함정. * [[중앙로(고양)|중앙로]]에서 [[대곡역(고양)|대곡역]]까지는 여느 노선들과 같이 잘 달리다가 청소년수련관을 앞두고 [[서울 버스 773|773번]]같이 고양경찰서, [[화정역(고양)|화정역]], 어울림누리, 덕양구청, 성사2동주민센터, [[원당역]]으로 올라간 후, [[서오릉로]]에 들어가서 [[선진운수]] 구산동 본사와 [[역촌역]]을 거쳐 [[녹번역]]에서 [[통일로]]로 들어간다. 문제는 '''광역버스 답지 않게 노선상의 거의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며, [[통일로]] 중앙차로 진입 문제로 [[녹번역]]에서부터 [[헬게이트]]가 열리고, '''[[홍제역]]부터 서울 도심까지는 상습 정체로 악명높은 구간'''[* 도로명 통합 전의 '의주로'에 해당되는 구간이다.]이라는 것. 그러다 보니, '''구간 수요로 먹고 사는 편'''이다. 주로 일산 ↔ 원당[* 대부분의 구간이 [[고양 버스 95|95번]]과 중복되는데, [[러시 아워|RH]]에도 앉아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다소 경쟁력이 있다. 특히 95번이 지나가지 않는 대화역, 주엽역 등 일산서구 지역에서는 원당역의 동쪽으로 치우친 위치와 시너지 효과를 내어 북화정, 어울림누리 및 신원당 아파트단지 방면 수요를 끌어모으고 있다.]/[[서오릉]]/구산, 화정/원당 ↔ 서오릉/불광[* [[역촌역]]에서 내려서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홍제/서울 도심.[* 화정에서도 서울 도심으로 간다면 [[수색로]]를 경유하는 [[고양 버스 1900|1900번]]을 타는 것이 낫다.~~다만 배차간격이 너무 길다~~] 일산에서는 길게 타 봐야 백석~마두 ↔ 은평 정도. 애초에 서울 도심에서 일산을 가려고 혹은 일산에서 서울 도심을 가려고 이걸 타는 승객이 있으면, 기사들이 먼저 말린다.''' [[수색로]] - [[중앙로(고양)|중앙로]] [[광역급행버스 M7106|직빵]][[광역급행버스 M7119|으로]] [[고양 버스 1000|쏘라는]] [[고양 버스 1100|말이]] [[고양 버스 1200|괜히]] [[김포 버스 2000(선진버스)|나오는 게]] [[서울 버스 9714|아니다.]] * 하지만 일산/화정/원당/원흥~[[서오릉]]/구산동 구간에서는 이 버스가 거의 유일한 노선이라서 수요가 꽤 있으며, 특히 원당에서 월드컵경기장이나 DMC로 가는 경우 이 버스를 타고 [[구산역]]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일산선을 타고 [[연신내역]]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는 것보다 더 빠르다.[* 단, 원흥 도래울마을에서 월드컵경기장, DMC로 가는 경우에는 봉산터널을 경유하여 [[새절역]]으로 직통으로 이어 주는 [[서울 버스 7728|7728번]]을 이용하는 것이 요금과 시간 모두 유리하다. 9701번은 도래울 1,2단지 인근만 스쳐 지나가지만, 7728번은 도래울마을을 훑어서 봉산터널로 가기 때문.] * 위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보았을 때,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멀쩡한 중앙로 놔두고 처음부터 선형을 왜 이딴 식으로 만들었을까?]]" 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태생적으로 하기와 같은 사유로 인해 현재의 선형은 필연적'''이었다. 1. 일산신도시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인 1990년대 초 당시에는 [[중앙로(고양)|중앙로]] 라인[* 중앙로 경유 일산행 광역버스의 본격적 신호탄이자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고양 버스 1000|1000번]]이 신설된 것도 1999년의 일이고, 현재의 일산행 광역버스들이 주로 경유하고 있는 [[고양 BRT|중앙로 버스 중앙차로]]가 개통된 것도 2006년의 일이다. 1000번이 신설되기 전에도 [[고양 버스 77|77번]] 계열 및 [[서울 버스 700|915-1번 심야좌석버스]], [[서울 버스 707|903번 심야좌석버스]]가 있었지만, 급행 노선도 아니고 [[고양 BRT|중앙차로]]도 없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이 중앙로 라인이 활성화되진 못했다. 그나마 1000번이 신설되기 전에 수요가 가장 많았던 노선은 [[서울 버스 700|915-1번 심야좌석버스]]였다.]이 아닌 [[고양대로]] 및 [[서오릉로]] 라인이 서울~고양 간 교통의 핵심 축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때에는 고양의 중심지가 일산이 아닌 원당[* 물론, 행정의 중심지는 지금도 그리고 (원당 신청사가 확정되었으므로) 미래에도 시청이 있는 원당이다.]이었기에 원당을 놓칠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는 이 노선 뿐만 아니라, [[서울 버스 9703|구.158번(좌석)]]과 [[서울 버스 773|구.907번(좌석→도시형)]] 등의 일산 광역버스 1세대들이 안고 있는 공통적인 사항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본 노선이 처음으로 일산행 좌석버스 노선으로 변신한 것은 1995년'''임을 감안하여야 한다. 1. 이 노선은 원래 '''갈현동-구산사거리-예일여고-역촌오거리-서부경찰서-서부병원-은평구청'''-현재와 동일[* 단, [[서울 버스 702|702번]]과 같이 회현역이 아닌 남대문을 경유하였음.] 구간을 운행하였던 좌석버스 노선이었고, 여기서 기존 은평구 구간을 최대한으로 유지 및 대대적으로 연장[* 서부경찰서 및 서부병원이 아닌 서대문세무서 경유로 직선화하였고, 갈현동-구산사거리 구간을 단축하여 일산으로 연장하였다.]하여 현재의 노선을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 심야 운행 === * 이 노선의 진가는 심야에 발휘된다.[[https://m.blog.naver.com/skyliner1025/222208919952|#]] 은평구청, 구산동, 역촌동, 녹번동, 그리고 덕양구 용두동, [[원흥지구]]의 '''정말 마지막 버스'''.[* 통일로 연선에는 [[서울 버스 N37|N37번]]이 있고, 화정지구에는 [[서울 버스 773|773번]]도 있다.] 자정만 지나면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소공동 롯데 영플라자에서 막차가 1시 20분에 출발해서 20~30분 만에 구산동에 도착하는 모습은 압권. 응암동, 신사동 등 6호선 라인의 심야버스가 기껏해야 [[서울 버스 7212|7212번]]이 그것도 0시20분 정도니.. * [[서울 버스 773|706번]]이 [[녹번동]]으로 단축되는 바람에, 서울 시내에서 원흥, 원당, 화정까지 달리는 심야 끝판왕의 포스를 물려받았다. 하지만 막차가 이르고, [[녹번역]]에서 구산동 및 [[서오릉로]]를 통해 [[원당역]]으로 가기 때문에 [[불광역]], [[연신내역]], 동산삼거리로는 가지 못한다. === 기타 === * [[서오릉로]] 전 구간을 다닌다. * 일산행은 꾸준하게 타고 내리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를 보기 힘들지만, 도심 방면의 경우 종종 질주를 시전하기도 한다.[* 사실 '''서울에서는 도심 방향 승객이 없다.''' 탄다고 해도 구산동이나 역촌동 정도에서 타지, [[녹번동]]부터는 야간이 아닌 이상 [[통일로]] → 도심으로 가는 수많은 기본요금 버스들을 내버려 두고 이 노선을 타는 사람은 당연히 거의 없다.] 좌회전 신호를 보고 슬그머니 직진하거나, 멀리서 매의 눈으로 정류장에 사람이 없는 것을 보며 무정차 통과하거나, [[서울 버스 702|702A/B번]]이 정류장으로 가는 걸 보면 망설임 없이 통과하거나 하는 식으로 [[원당역]] 이후부터 [[서오릉로]]를 통해 806부대까지 정류장 대부분을 스킵하고 달리면서 [[원당역]]에서 구산동까지 10분만에 끊을 때도 있으며, 이 경우 이른 시간이나 밤 늦은 시간대라면 [[원당역]]에서 도심까지 30분 안쪽으로 끊기도 한다.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정차하지 않는다. 종전에는 지하철 [[서울역]]을 횡단한 후 [[서울역버스환승센터#s-4.7.3|숭례문]]에서 승차해야 했으나, [[회현역]] 경유 후에는 공항버스 6702번 전용 정류장에 정차한다. * [[선진운수]] 관련 차고지를 무려 3곳을 찍는데, 구산동 본사, [[용두동영업소]](702A/B번 종점)를 모두 경유하는 노선이다. * [[덕양구]] 내에서는 [[명성운수]]의 [[고양 버스 1900|1900번]]과 경쟁 구도가 약간 잡혀 있는 듯. 두 노선은 고양경찰서 ~ 성사2동주민센터까지 노선이 겹치는데, '''서로 방향이 반대다.''' 이용시 주의하자.[* 1900번은 성사2동주민센터에서 고양경찰서까지 내려온 다음 [[중앙로(고양)|중앙로]] - [[수색로]]를 이용하고, 9701번은 고양경찰서에서 성사2동주민센터까지 올라간 후 [[원당역]]에서 [[서오릉로]] 및 [[녹번역]]을 통해 [[통일로]]를 이용한다.] * 구산동 본사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노선들([[서울 버스 702|702A/B번]], [[서울 버스 742|742번]], [[서울 버스 752|752번]], [[서울 버스 7022|7022번]], 9701번) 중 유일한 광역버스다. 이 중 [[서울역]]까지 가장 빨리 가는 노선은 [[서울 버스 752|752번]].[* 702A/B, 9701 두 노선은 종로, 남대문 정체와 응암동 경유, 742번은 신촌 등을 경유하며, 7022번은 [[불광역]]에서 세검정, 구기동, 경복궁을 경유해서 온다. [[서울 버스 752|752번]]은 구산동에서 곧바로 [[녹번역]]으로 쭉 내려오지만, 배차간격이 좋지 않고 상행은 도로 구조상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아예 정차하지 못한다. 9701번은 [[응암동]]을 거치지 않으나, [[남대문시장]]을 거쳐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미경유다.] * 서울역사박물관 정류장은 [[새문안로]] 버스중앙차로 개통 후 중앙차로 정류장 정차로 변경되었다. 이 정류장으로 오는 과정에서 영천시장 출발 후 금화초등학교와 [[서대문역]](농협본사)은 무정차 통과한다. === 사건사고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196516| 2011년 1월 4일, [[고양 버스 73|773번]][* 현 [[서울 버스 773]](당시 706)이 아니다.], [[서울 버스 7727|7727번]], 9701번과 3중 추돌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 * 2015년 11월 22일 [[대곡역(고양)|대곡역]]에서 9701번이 추월하다가 중심을 잃고 마주오던 [[서울 버스 9711|9711A번]]을 추돌[* 당시 사고차량은 '서울74사7279'였으며, 사고에 따른 번호판 유실로 '서울70사7125'로 면허가 전환되었다.]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22/0200000000AKR20151122089751060.HTML?input=1195m|관련 기사]] 이 사고로 1명이 숨졌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7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5,432명 || - || || 2014년 || 5,561명 || {{{#red △ 129}}} || || 2015년 || 5,056명 || {{{#blue ▽ 505}}} || || 2016년 || 4,183명 || {{{#blue ▽ 873}}} || || 2017년 || 3,824명 || {{{#blue ▽ 359}}} || || 2018년 || 3,707명 || {{{#blue ▽ 117}}} || || 2019년 || 3,604명 || {{{#blue ▽ 103}}} || || 2020년 || 2,861명 || {{{#blue ▽ 743}}} || || 2021년 || 2,999명 || {{{#red △ 138}}}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고양)|대곡역]], [[화정역(고양)|화정역]], [[원당역]],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회현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광화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촌역]], [[구산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양-서울역간 버스)]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분류:1995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고양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