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120466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범일N65번_뉴비106.png|width=100%]]}}} || || 공항버스 차량 || 범일운수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c600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N6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N65개화) 출발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개화역광역환승센터) ||<-2> 종점[* [[범일운수]](N65시흥) 출발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범일운수종점) || ||<|2> 종점[br]행 || 첫차 || 00:00 ||<|2> 기점[br]행 || 첫차 || 00:00 || || 막차 || 03:10 || 막차 || 03:10 || ||<-2> 배차간격 ||<-4> 25~30분 (1일 8회) || ||<-2> 운수사명 ||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 / [[범일운수]] ||<-2> 인가대수 || 8대[* 운수사별로 각각 4대씩 운행] || ||<-2> 노선 ||<-4>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신방화사거리 - [[신방화역]] - [[마곡나루역]] - [[마곡역]] - [[발산역]] - [[우장산역]] - [[화곡역]] - [[까치산역]] - [[신정역]].신정4동주민센터 - [[목동역]].목동오거리 -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 당산동진로아파트 - [[경방 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신도림역]] - 거리공원 - [[대림역]] - 대림동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금천우체국 - 금천구청.금천경찰서 - 금빛공원 - 은행나무입구사거리 - 범일운수종점 || == 개요 ==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4km다.[[http://naver.me/G0CF7xli|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남권 심야버스로 2016년 11월 28일에 신설되었으며 차량은 [[서울 버스 605|605번]]에서 1대, [[서울 버스 5413|5413번]]에서 3대, [[서울 버스 5620|5620번]]에서 1대, [[서울 버스 6631|6631번]]에서 1대, [[서울 버스 6632|6632번]]에서 2대를 가지고 왔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0171826|관련 공문]] == 특징 == * 금천구 시흥대로 및 독산로 일대 주민들은 자정 이후에 오는 [[서울 버스 507|507번]][*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독산로 방향 1시 10분까지 이용 가능.], [[수원 버스 900|900번]][*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시흥대로 방향 0시 30분까지 이용 가능.]노선이 개통하면서 심야 시간대에도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대체 차량이 필요할 경우 [[서울 버스 605|605번]], [[서울 버스 5413|5413번]]소속의 공용 예비 차량이 투입된다. * 이 노선으로 인해 공항버스는 금천구에, 범일운수는 강서구에 진출하였다. * 서울특별시 서남권 자치구를 모두 경유하는 노선이다.[*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동작구, 관악구, 금천구][* 구로디지털단지역 정류장 한 곳이 관악구 조원동에 동작상떼빌아파트 정류장 한 곳이 동작구 신대방1동에 있다.] * 양쪽 차고지에서 0시, 0시 30분, 0시 55분, 1시 20분 1시 50분 2시 20분 2시 45분 3시 10분에 출발한다. 반대쪽 차고지에 도착하면 운행을 마치는 것이 아니라 회차해서 그대로 원래 차고지로 돌아온다. 때문에 실제로는 3시 10분 이후에도 계속 운행한다. *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한강을 건너지 않는다. 심야버스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강북만 다니는 [[서울 버스 N10|N10번]]도 있었지만, 수요 저조로 1년여 만에 N15번으로 변경되었다. * [[서울 버스 N26|N26번]]과 '방화사거리 - 강서공영차고지' 구간, [[서울 버스 N62|N62번]]과 '신정역 - 목동역' 구간, [[서울 버스 N16|N16번]]과 '영등포역 - 신도림역' 구간에서 겹친다. * [[서울 버스 640|640번]], [[서울 버스 5617|5617번]], [[서울 버스 6511|6511번]], [[서울 버스 6648|6648번]], [[서울 버스 6657|6657번]]의 일부 구간이 겹친다. * 강서공영차고지로 들어가는 다른 심야버스와 달리, 양사의 버스가 들어가지 않았었다. 정류소까지 들어간 후, 유턴하여 반대편 정류소에서 대기하다가 시간이 되면 출발했'''었는데,''' 2017년 4월 경에 확인 결과, 양사의 버스가 차고지로 들어가서 한 쪽 구석에 있다가 나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 서남권 중에서 외곽에 있었던 [[까치산역]] ~ [[우장산역]] 부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이 버스가 있기 전까지 심야버스를 이용하려면 한참을 걸어가야 했는데 이 노선이 신설되고 나서는 5분 거리에 생겨서 꽤 편해졌다. * [[서울 버스 N26|N26번]]과 더불어 [[김포국제공항]] [[개화역|코 앞]]까지 가는 심야버스이나 공항 터미널로는 진입하지 않는다. 다만 N65번 막차[* [[오목교역]] 03:55경 통과.]를 타고 [[신방화역]] 인근의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정류소[* 04:30~40경 도착.]에서 내려서 길을 건너 [[세븐일레븐]] 앞에서 [[서울 버스 651|651번]][* 04시에 첫차가 이미 떠났기 때문에 최대 10분 정도만 대기하면 된다.]으로 환승하면 된다. 비행기 체크인 개시 시각인 05시보다도 여유롭게 도착하기 때문에 첫 비행기도 안전하게 탑승 가능하다. 다만 N65 막차를 놓친 경우라면 택시 이외의 방법으로는 첫 비행기를 탈 방법은 사실상 없기 때문에 택시를 타고 최대한 이 버스 경로대로 쫓아가서 버스를 적당히 추월한 뒤 버스로 갈아타거나 바로 공항으로 갈 것. === N65번 출발시간표 === ||<-2> {{{#ffc600 강서공영차고지 / 시흥5동 동시 출발}}} || || 연번 || 출발시간 || || 1 || 00:00 || || 2 || 00:30 || || 3 || 00:55 || || 4 || 01:20 || || 5 || 01:50 || || 6 || 02:20 || || 7 || 02:45 || || 8 || 03:10 ||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c600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6년 || 350명 || - || || 2017년 || 530명 || {{{#red △ 180}}} || || 2018년 || 613명 || {{{#red △ 83}}} || || 2019년 || 724명 || {{{#red △ 111}}} || || 2020년 || 577명 || {{{#blue ▽ 147}}} || || 2021년 || 355명 || {{{#blue ▽ 222}}}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11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만 신도림역과 영등포역의 경우 구로역의 첫차 출발 시간 특성상 환승이 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 [[신도림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대림역]], [[구로디지털단지역]], '''신도림역''', '''[[까치산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개화산역]], [[마곡역]], [[발산역]], [[우장산역]], '''[[화곡역]]''', 까치산역, [[신정역]], [[목동역]], [[오목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대림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신방화역]], '''[[마곡나루역]]''' * [[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 마곡나루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개화역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분류:201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