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 ||<-7><:> [[서울 삼성 썬더스|[[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height=40]]]] [br]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ffcc33 '''2023-24 시즌 진행'''}}}]] || || [[KBL 컵대회/2023년|'''{{{#074ca1 컵대회}}}''']] ||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1라운드|'''{{{#074ca1 1라운드}}}''']] ||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2라운드|'''{{{#074ca1 2라운드}}}''']] ||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3라운드|'''{{{#074ca1 3라운드}}}''']] ||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4라운드|'''{{{#074ca1 4라운드}}}''']] ||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5라운드|'''{{{#074ca1 5라운드}}}''']] || [[서울 삼성 썬더스/2023-24 시즌/6라운드|'''{{{#074ca1 6라운드}}}''']] || ||<-5>
'''{{{#ffffff 시즌 성적}}}''' || || '''순위''' || '''승''' || '''패''' || '''승률''' || '''승차''' || ||<#fff><:> '''{{{+1 9}}}'''위 || '''{{{+1 2}}}''' || '''{{{+1 8}}}''' || '''{{{+1 .200}}}''' || '''{{{+1 7.0}}}''' || ||<#074ca1><:>'''{{{#FFFFFF 1R[br]성적}}}''' ||<:> 2 ||<:> 8 ||<:> .200 ||<:>,,승패마진,,[br]-6 || || {{{#FFFFFF '''최다 연승'''}}} ||<-6> 0연승 || || {{{#FFFFFF '''최다 연패'''}}} ||<-6> 6연패 || [목차] == 개요 == [[서울 삼성 썬더스]]의 23-24 시즌 1라운드 경기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1라운드는 홈 7경기, 원정 3경기 합계 10경기를 치르며, 정관장과 두 번 붙는다. 시즌 첫경기로 10월 22일에 부산 KCC와의 원정 개막전을 치르게 된다. == 10월 22일 @ 부산 KCC:{{{#red 패}}} == ||<-999>
<:>
<#0f236a> {{{#fff ''' 10.22(일) 16:00 사직실내체육관 | 8,780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부산 KCC 이지스|{{{#ffffff '''부산 KCC'''}}}]] ||<:> {{{#red 34}}} ||<:> 29 ||<:> 26 ||<:> 17 ||<:><#dcdcdc> '''106'''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22 ||<:> 21 ||<:> 27 ||<:> {{{#red 30}}} ||<:><#dcdcdc> 100 || 2021년 1월 13일 이후 1,012일 만의 부산 원정 경기로 시즌을 열게 된다. 2021-22 시즌 중도 사퇴한 이상민 전 감독을 KCC 코치로 상대한다. 성적이 안 좋을 때도, 심지어 두 시즌 연속 꼴찌할 때도 개막전만큼은 최강자로 돌변, 압도적인 승률을 자랑했지만, 올해 첫 경기는 패배로 끝이 났다. 초반부터 KCC의 전력에 밀려 열세를 면치 못하다가 4쿼터 들어서 추격하면서 6점차로 진게 위안거리. == 10월 27일 고양 소노: {{{#blue 승}}} == ||<-999>
<:>
<#074ca1> {{{#ffcc33 ''' 10.27(금) 19:00 잠실실내체육관 | 1,696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19 ||<:> 24 ||<:> 23 ||<:> {{{#red 32}}} ||<:><#dcdcdc> '''98'''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ffffff '''고양 소노'''}}}]] ||<:> 19 ||<:> 23 ||<:> 14 ||<:> 22 ||<:><#dcdcdc> 78 || 홈 개막전으로, 이날부터 홈 5연전을 치른다. 원래 이날은 원정경기가 잡혀 있었으나 2024년 1월 23일 경기와 홈과 원정이 바뀌었다. 경기는 완승으로 끝이 났다. 소노의 빈약한 골밑은 코번에게 있어서 그야말로 놀이터나 다름 없었는데, 28분여를 출장해서 무려 33득점 14리바운드를 기록하며 그야말로 처참하게 박살내버렸다. == 10월 29일 창원 LG: {{{#red 패}}} == ||<-999>
<:>
<#074ca1> {{{#ffcc33 ''' 10.29(일) 14:00 잠실실내체육관 | 2,591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17 ||<:> 18 ||<:> 19 ||<:> 15 ||<:><#dcdcdc> 69 || ||<:> [[창원 LG 세이커스|{{{#ffff00 '''창원 LG'''}}}]] ||<:> 20 ||<:> 26 ||<:> 25 ||<:> 19 ||<:><#dcdcdc> '''90''' || == 10월 31일 대구 한국가스공사:{{{#blue 승}}} == ||<-999>
<:>
<#074ca1> {{{#ffcc33 ''' 10.31(화) 19:00 잠실실내체육관 | 1,065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21 ||<:> 22 ||<:> 18 ||<:> 23 ||<:><#dcdcdc> '''84'''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FFFFFF '''대구 한국가스공사'''}}}]] ||<:> 22 ||<:> 20 ||<:> 19 ||<:> 19 ||<:><#dcdcdc> 80 || 이정현이 3점슛 6개 포함 무려 32득점을 올리면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코번도 26득점 13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힘을 보탰는데, 문제는 레인이 2옵션 역할을 제대로 해주지 않다 보니 점점 혹사당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는게 고민거리이다. == 11월 2일 안양 정관장:{{{#RED 패}}} == ||<-999>
<:>
<#074ca1> {{{#ffcc33 ''' 11.2(목) 19:00 잠실실내체육관 | 1,046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23 ||<:> 14 ||<:> 14 ||<:> 23 ||<:><#dcdcdc> 74 ||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FFFFFF '''안양 정관장'''}}}]] ||<:> 26 ||<:> 29 ||<:> 23 ||<:> 18 ||<:><#dcdcdc> '''96''' || KGC에서 이름이 바뀐 정관장을 처음으로 상대한다. 턴오버 16:6에 턴오버로 인한 실점이 '''26:2'''라는 제대로 눈썩는 경기를 보여주었다. 그나마 조준희가 가비지 타임에 주로 출장해서 15득점을 올리며 희망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조준희 이외에 다른 국내선수들은 10득점도 못넘기는 처참한 모습을 보였다. == 11월 4일 수원 kt:{{{#red 패}}} == ||<-999>
<:>
<#074ca1> {{{#ffcc33 ''' 11.4(토) 16:00 잠실실내체육관 | 2,218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19 ||<:> 20 ||<:> 21 ||<:> 27 ||<:><#dcdcdc> 87 || || [[수원 kt 소닉붐|{{{#FFFFFF '''수원 kt'''}}}]] ||<:> 16 ||<:> 22 ||<:> {{{#red 30}}} ||<:> 22 ||<:><#dcdcdc> '''90''' || 막판까지 접전을 이어갔으나 kt 패리스 배스에게 자유투 1구를 성공시키며 2구 실패한 뒤 공격 리바운드를 허용한 채 패했다. == 11월 7일 @ 원주 DB: {{{#red 패}}} == ||<-999>
<:>
<#00703C> {{{#ffffff ''' 11.7(화) 19:00 원주종합체육관 | 2,054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23 ||<:> 21 ||<:> {{{#red 32}}} ||<:> 18 ||<:><#dcdcdc> '''94'''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15 ||<:> 18 ||<:> 13 ||<:> 12 ||<:><#dcdcdc> 58 || 원래 홈경기 였으나 3월 7일과 바꾸어서 원정경기가 되었다. 힘 한번 써보지 못한 채 대패했다. 경기 내용도 [[졌잘싸]]가 아니라서 실시간 댓글은 '''프로팀 vs 중학생'''(or 고등학생)이 주를 이뤘다. == 11월 9일 @ 울산 현대모비스: {{{#red 패}}} == ||<-999>
<:>
<#e20e0e> {{{#fff ''' 11.9(목) 19:00 울산동천체육관 | 1,001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ffffff '''울산 현대모비스'''}}}]] ||<:> 20 ||<:> 17 ||<:> 15 ||<:> 25 ||<:><#dcdcdc> '''77'''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15 ||<:> 24 ||<:> 13 ||<:> 17 ||<:><#dcdcdc> 69 || 3쿼터까지는 잘 버텼으나, 4쿼터에 함지훈과 알루마에게 연속 실점을 허용하는 등 부진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결국 4연패에 빠지고 말았다. 이로써, 삼성은 '''원정 17연패'''를 기록했다. == 11월 11일 서울 SK: {{{#red 패}}} == ||<-999>
<:>
<#074ca1> {{{#ffcc33 ''' 11.11(토) 14:00 잠실실내체육관 | 3,475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11 ||<:> 25 ||<:> 15 ||<:> 29 ||<:><#dcdcdc> 80 || || [[서울 SK 나이츠|{{{#FFFFFF '''서울 SK'''}}}]] ||<:> 28 ||<:> 20 ||<:> 15 ||<:> 19 ||<:><#dcdcdc> '''82''' || 제대로 된 리드를 1번도 잡지 못하는 처참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패배했다. 그나마 쫓아갈려고 하면 특유의 BQ를 발휘하며 이를 저지하는 선수들이 있었는데, 특히 이동엽이 경기 후반 좋은 흐름을 끊는 파울을 2개나 범하며 팀 패배에 1등 공신 역할을 하였다.[* 3쿼터 3샷 파울 항의하다 자유투 총 4개 허용, 4쿼터 워니 패스 미스 전 파울.] 마지막에 [[아반 나바]]가 3점 버저비터를 터뜨렸으나, 결국 2점차로 패배했다. == 11월 14일 안양 정관장: {{{#red 패}}} == ||<-999>
<:>
<#074ca1> {{{#ffcc33 ''' 11.14(화) 19:00 잠실실내체육관 | 1,156명''' }}} || ||<:><#dcdcdc> '''팀''' ||<:><#dcdcdc> '''1Q''' ||<:><#dcdcdc> '''2Q''' ||<:><#dcdcdc> '''3Q''' ||<:><#dcdcdc> '''4Q''' ||<:><#dcdcdc>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14 ||<:> 25 ||<:> 12 ||<:> 12 ||<:><#dcdcdc> 63 ||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FFFFFF '''안양 정관장'''}}}]] ||<:> 26 ||<:> 20 ||<:> 18 ||<:> 17 ||<:><#dcdcdc> '''81''' || 원래는 2라운드 경기인데, 부산 KCC의 경기 일정 조정으로 인해, 경기 번호가 앞당겨지면서 1라운드가 되었다. 역시나 패하며 6연패로 1라운드를 마감했다. 이 경기에서 코번은 무려 32점을 냈음에도 팀의 패배를 지켜봐야 했다. '''왜냐하면 국내 선수들 중 최다 득점을 기록한 선수가 4점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농구만큼 외인빨이 큰 스포츠도 없는데 외인이 잘 하는데도 국내 선수가 전부 끌어내리고 있는 것이다. 반면 상대팀 정관장은 12명 엔트리 전원 출전해 김철욱을 제외한 선수가 득점을 올렸으며 10득점 이상을 거둔 선수도 3명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