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 이랜드 FC)] [include(틀:서울 이랜드 FC 관련문서)] [목차] [clearfix] == 진행 경과 == || [[파일:attachment/서울 이랜드 FC/창단뱃지.jpg|width=100%]] || || 창단 클럽 배지 || 2014년 4월, [[이랜드그룹]]이 [[서울특별시|서울]] 동남권 연고에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홈구장으로 한 프로축구 팀을 창단한다는 뉴스가 터졌다. 이전에 이랜드가 스폰했던 [[고양 Hi FC]]의 경우[* 현 [[고양 자이크로 FC]]이며 이랜드의 지원은 고양이 프로화된 2013년 초에 구단과의 마찰로 끊어졌다고 한다. 가정일 뿐이지만 지원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졌다면 이랜드에서 고양 Hi FC를 인수하여 [[연고이전]]하는 방식을 취했을지도 모른다.]에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lst&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115499|2012년에 잠실 입성을 추진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준비는 오래전부터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이 프로축구 팀을 창단한 것은 1995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이후 거의 20여 년 만의 일이며, 만약 이랜드의 제안을 서울시가 받아들인다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22년 만에 K리그 경기를 치르게 된다.[*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은 10만의 인파가 모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서울월드컵경기장이 생기기 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사용했고, 프로축구 경기가 열린 것은 1993년이 마지막이다. 다만 그동안 [[올스타전#s-3.3|K리그 올스타전]] 등의 이벤트 경기 정도는 치룬 적이 있다. 그리고 2007년, [[서울 유나이티드]]가 창단하여 몇 년 간 홈구장으로 사용한 적이 있으나 어디까지나 아마추어 리그로, K리그 경기는 아니었다.] 이미 4월 14일, 창단 기자회견까지 다 잡힌 상황. 그간 수많은 떡밥이 있었던 서울 연고팀인만큼 축구팬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동안 제2의 서울 연고 프로팀이 없어 아쉬움이 많았던 축구팬들, 특히 서울 동남권의 축구팬들은 일단 쌍수 들어 환영하고 있다. 그리고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홈경기장으로 하여 프로 진출을 꿈꿨던 [[서울 유나이티드]]는 난감하게 되었다. 2015 시즌부터 [[K리그 챌린지]]에 참가한다. 홀수 팀으로는 매주 한 팀이 쉬어가는 방법으로 리그가 운영[* 이미 2013 시즌에 K리그 클래식 스플릿 라운드에서 운영된 바 있다.]될 예정이다. ||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40414133103322.jpg|width=100%]] || || 창단식에서의 가칭 이랜드 축구단 구단주 박성경 부회장과 권오갑 [[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 || 2014년 4월 14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가칭 이랜드 축구단 창단식이 열렸다. 홈구장은 [[서울 올림픽 주 경기장]]이 될것이며 이에 대해 서울시와 협의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2015 시즌부터 [[K리그 챌린지]]에 참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서울 이랜드 FC는 서울 연고 구단으로는 최초로 K리그 챌린지에 참가하는 구단이 되었다. 서울시와 이랜드 프로축구단은 잠실 올림픽주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연고협약을 5월 1일 오후 2시, 서울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체결하였다. 졸속으로 창단하는 것이 아니냐는 축구팬들의 우려도 있었지만 한국의 현실과 동떨어진 유럽팀이 아닌 자생형 구단인 [[메이저리그 사커|MLS]]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이영표]]가 은퇴 전까지 뛰었던 팀]를 벤치마킹하고 팀명을 공모하는 등, 창단 진행 과정은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온라인 매체로는 [[페이스북]]을 주력으로 운영하고 있다. 구단 소식을 발빠르게 전하면서 질문도 잘 대답해 주고 있다. 오히려 간단한 구단 뉴스만 올라오는 공식 홈페이지가 방치되고 있다고 봐도 좋을 정도다. 2014년 5월 15일부터 23일까지 9일간 진행된 팀명칭, 팀컬러, 팀 상징 공모 이벤트를 열었으며 서울 시티 FC, 파란색 흰색, 해치가 1위로 선정되었다. 다만 이랜드 측에서는 기업명을 팀명에 넣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있고, 이에 대해서도 팬들 간에 갑론을박이 있었다. 2014년 7월 17일, 초대 사령탑으로 전 [[메이저리그 사커|MLS]] 팀 [[밴쿠버 화이트캡스 FC]]의 감독이었던 [[스코틀랜드]] 출신의 [[마틴 레니]]를 선임했다고 발표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831257|#]] [[한국프로축구연맹]]은 8월 22일, 서울시 신문로에 있는 축구회관 2층 대회의실에서 '2014년 제4차 정기 이사회'를 열고 [[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40822160307428|가입신청서를 제출한 이랜드 축구단의 가입을 승인하였다.]] 2014년 8월 26일, '''서울 이랜드 FC'''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11&article_id=0000392073&date=20140826&page=1|팀 명칭을 공식 확정하였다.]] 창단 작업이 진행되면서 동시에 선수진 구성에 있어서도 [[김재성(축구)|김재성]], [[김영광(축구선수)|김영광]], [[조원희]] 등 국대 경력자들과 외국인 선수 선발 영입에 성공하면서 클래식급 스쿼드를 구축하였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이는 사실 일부 언론의 설레발에 불과했던 것으로, 이들 선수를 백업할 선수층은 오직 신인 선수뿐이었다. 2015 K리그 챌린지 시즌 일정이 발표되면서 서울 이랜드의 창단 첫 공식경기는 3월 29일 일요일 2시에 열리는 [[FC 안양]]과의 경기로 잡혔다. 2015년 2월 7일, 공식 엠블럼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32696|발표되었다]]. ||
[youtube(USbGDbmUQ44)] || 2015년 3월 6일, 창단 유니폼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3010649|발표되었다.]] == 창단 선수단 == ||<-999> '''{{{#e5bb80 서울 이랜드 FC 2015 시즌 창단 선수 명단 }}}''' ||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From}}} || {{{#ffffff 국적}}} || {{{#ffffff 생년월일}}} || {{{#ffffff 방식}}} || {{{#ffffff 현 소속팀}}} || {{{#ffffff 서울E 통산 성적}}} || || [[양기훈]] || DF || 성균관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4월 9일 || 신인 자유선발 || [[강릉시민축구단]] || 18경기 0골 0도움 || || 김창욱 || MF || 동의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12월 4일 || 신인 자유선발 || 무소속 || 80경기 2골 7도움 || || [[구대엽]] || DF || 광주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11월 17일 || 신생팀 [[우선지명]] || [[천안시 축구단]] || 1경기 0골 0도움 || || [[김성주(1990)|김영근]] || MF || [[카탈레 도야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0년 11월 15일 || 신생팀 우선지명 || [[포항 스틸러스]] || 42경기 5골 6도움 || || [[조향기(축구선수)|조향기]][* 2021 시즌 중반까지 서울 이랜드에 남아있었던 마지막 창단 멤버였지만 출전에 어려움을 겪으며 결국 이적하였다.] || DF || 광운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3월 23일 || 신생팀 우선지명 || [[김포 FC]] || 30경기 2골 0도움 || || 윤성열 || MF || [[마쓰모토 야마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7년 12월 22일 || 신생팀 우선지명 || 은퇴 || 65경기 2골 8도움 || || [[전현재]] || DF || 광운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7월 12일 || 신생팀 우선지명 || 은퇴 || 0경기 0골 0도움 || || [[오창현(1989)|오창현]] || DF || [[아비스파 후쿠오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9년 5월 4일 || 신생팀 우선지명 || 용인 여명 FC || 3경기 0골 0도움 || || 김민제 || DF || [[에히메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9년 9월 12일 || 신생팀 우선지명 || 은퇴 || 32경기 1골 1도움 || || [[조우진(1993)|조우진]] || FW || 한남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3년 11월 25일 || 신생팀 우선지명 || [[경주 한수원]] || 8경기 0골 0도움 || || [[최오백]] || FW || 조선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3월 10일 || 신생팀 우선지명 || [[경주 한수원]] || 75경기 11골 10도움 || || 이정필 || MF || 울산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7월 28일 || 신생팀 우선지명 || 은퇴 || 1경기 0골 0도움 || || [[전민광]] || FW || 중원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3년 1월 17일 || 신생팀 우선지명 || [[포항 스틸러스]] || 104경기 3골 3도움 || || 최유상 || MF || [[청주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9년 8월 25일 || The Offer 2015[* 공익근무요원 신분으로 팀의 선수 공개 입단 테스트 '디 오퍼 2015(The Offer 2015)'에 참가하여 선발된 선수이다. 2015년 4월 소집해제 이후 7월 3일 팀에 정식 합류하였다.] || 유소년 지도자 || 4경기 2골 0도움 || || 오규빈 || MF || 관동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2년 9월 4일 || 2015 [[K리그 드래프트]] || 무소속 || 0경기 0골 0도움 || || 전기성 || MF || 광주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3년 3월 29일 || 신인 자유선발 || 은퇴 || 1경기 0골 0도움 || || 김현성 || GK || 광주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3년 3월 28일 || 신인 자유선발 || [[김포 FC]] || 1경기 0실점 0클린시트 || || [[칼라일 미첼]] || DF || [[밴쿠버 화이트캡스]] ||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width=30]]]] || 1987년 8월 8일 || 외국인 선수 || 카야-일로일로 FC || 57경기 7골 0도움 || || [[라이언 존슨(축구선수)|라이언 존슨]] || FW || [[허난 젠예]] || [[자메이카|[[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30]]]] || 1984년 11월 26일 || 외국인 선수 || 은퇴 || 31경기 1골 3도움 || || [[이재안]] || FW || [[경남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8년 6월 21일 || 일반이적 || [[경주 한수원]] || 9경기 1골 1도움 || ||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 || FW || [[고양 Hi FC]]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0년 4월 13일 || 일반이적[*FA][*보상금] || [[제주 유나이티드]] || 72경기 37골 10도움 || || [[이범수(축구선수)|이범수]] || GK ||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현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0년 12월 10일 || 일반이적[*FA] || [[전북 현대]] || 2경기 0골 0도움 || || [[김재성(축구)|김재성]] || MF || [[포항 스틸러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3년 10월 3일 || 일반이적 || 코치 || 56경기 5골 13도움 || || [[김영광(축구선수)|김영광]] || GK || [[울산 현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3년 6월 28일 || 일반이적 || [[성남 FC]] || 183경기 255실점 2도움 || || [[로버트 컬런|보비]] || FW || [[수판부리 FC]]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1985년 6월 7일 || 아시아 쿼터 || 은퇴 || 35경기 2골 4도움 || || [[황도연]] || DF || [[제주 유나이티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1년 2월 27일 || 임대영입 || 무소속 || 34경기 1골 0도움 || || [[조원희]] || MF || [[오미야 아르디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83년 4월 17일 || 일반이적[*FA] || 은퇴 || 38경기 5골 3도움 || || [[신일수]] || MF || 고려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1994년 9월 4일 || 신인 자유선발 || [[FC 남동]] || 34경기 0골 1도움 || || [[타라바이]] || FW || 하이버니언스 FC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1985년 12월 9일 || 외국인 선수[* 임대영입] || 무소속 || 73경기 30골 6도움 || [각주] [[분류:서울 이랜드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