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도입분 (1995~1996) === ||<-2> || || [[파일:attachment/SMRT7000_1st.png|width=100%]] || [[파일:1578884978491.jpg|width=100%]] || ||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716편성 ||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708편성 || || [[파일:external/kura1.photozou.jp/197408110_624.v1485742460.jpg|width=100%]] || [[파일:옛날 7호선 내부.jpg|width=100%]] || ||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모습 || * 도봉차량사업소 소속: 701편성~717편성 (17개 편성) [[대우중공업]] 제작 1차 개통 구간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1995년]] [[12월 1일]] 첫 도입을 시작으로 1996년 5월 28일까지 반입되었다. [* 701편성의 경우 반입 당시 도봉차량기지가 완공되지 않아 5호선 [[방화차량기지]]에서 임시로 구내 시운전을 한 이력이 있다.] [* '''701~702편성: [[1995년]] [[12월]], 703~705편성: [[1996년]] [[1월]], 706~708편성: [[1996년]] [[2월]], 709~711편성: [[1996년]] [[3월]], 712~714편성: [[1996년]] [[4월]], 705~717편성: [[1996년]] [[5월]]'''] 5000호대 1차 도입분과 마찬가지로 반개폐식 창문이 적용되었으나 '''[[2005년]]''' 불연재 개조와 함께 통유리로 변경되었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중 410~415, 417~426, 464, 467~468편성,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중 801~815편성,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중 220, 222~252편성 등과 동일한 GEC-[[알스톰]]에서 제작한 [[GTO(반도체)|GTO]]-[[VVVF]] 인버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 인버터의 사용으로 인해 기잉 하는 발차음이 독특하다. [[2012년]] 온수~부평구청 연장으로 전면부 행선표출의 글자가 맑은고딕체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1차분 일부 차량에 대한 스피커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2019년]] [[3월 14일]],''' 717편성이 [[수락산역]]-[[도봉산역]] 주행 중 탈선하였다.[* 2021년 현재 717편성은 본선에서 정상운용 중이긴 하나, 해당 차량은 탈선으로 인한 결함 우려 및 방지를 위해 수리 후에도 운용중지 예정 차량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차량 운용이 불가능한 경우 즉각 휴차 처리될 예정이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1285401|#]]] '''[[2022년]]''' 이후부터 신형 전동차로 교체가 시작되어 인천 석남연장 구간에서 운행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인천 청라 및 경기도 양주까지 운행하는 것을 볼 수도 없게 된다. === 2차 도입분 (1999) === ||<-3> || || [[파일:attachment/SMRT7000_2nd.jpg|width=100%]] || [[파일:7054도봉.jpg|width=100%]] || [[파일:7호선 2차분 가연재.jpg|width=100%]] || ||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724편성 ||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754편성 ||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모습 || * 도봉차량사업소 소속: 718편성~734편성 (17개 편성) * 천왕차량사업소 소속: 735편성~763편성 (29개 편성) 한진중공업 제작[* 이후 대한민국 철도차량 제작사의 통폐합과 함께 KOROS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현대로템]]으로 변경되었다.] 2차 개통 구간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1999년]] [[1월]]부터 [[9월]]까지 도입되었다. [* '''718~722편성: [[1999년]] [[1월]], 723~727편성: [[1999년]] [[2월]], 728~731편성: [[1999년]] [[3월]], 732~735편성: [[1999년]] [[4월]], 736~741편성: [[1999년]] [[5월]], 742~747편성: [[1999년]] [[6월]], 748~752편성: [[1999년]] [[7월]], 753~758편성: [[1999년]] [[8월]], 759~763편성: [[1999년]] [[9월]]'''] 1차분과 외형적으로 다소 차이가 나는데, 첫번째는 2분할 반개폐식이었던[* 상술했듯 후에 통유리로 변경됨.] 창문이 일체형 통유리식으로 변경되었다는 점, 두번째는 차체 측면이 주름이 없는 민짜가 되었다는 것[* 이는 후에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 도입분 차량으로 이어지게 된다.]이고, 셋째는 측면 노선색 띠에 흰색 선이 추가되었다는 것이고,[* 다만 726편성은 1차분처럼 흰 띠가 없다. 랩핑했다가 흰 줄과 같이 떼어졌다고...] 넷째는 1차분의 경우 전면 유리의 테두리 부분이 광택이 나는 스테인리스 재질이지만 2차분의 경우 무광 검정색이다. 전장품은 [[알스톰]] GTO 인버터를 사용했던 1차분과는 달리 '''[[도시바]] [[IGBT]]''' 2레벨 인버터를 사용하여 주행 시 소음이 조금 줄었다. [[철산역]] 방화사건 이후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의 821~822편성의 차량을 따와 763편성을 만들면서 총 46개 편성이 되었다.[* 7호선으로 이적하고 나서도 몇 년간은 8호선 도색을 하고 운행하다가 [[2012년]] 말에 7호선 도색으로 바꿨다.] 영업운전을 개시한 시기는 '''[[1999년]] [[10월]]'''이며, 당시는 전일 6분 간격이었는데, 2차분 차량 4개 편성 중 1개 편성을 매일 같은 다이어에 고정운행하는 패턴이었다. 이후 출근시간대 5분 간격으로 조정된 후에는 2차분 차량의 운행 다이어가 랜덤으로 조정되고 하루에 2개 편성 이상 운행하는 날도 생겼다. 724, 727, 732~733, 735편성은 자전거 전용칸이 장착되어 있다. 726편성은 랩핑 제거 도중 흰색 띠가 떨어지면서 가짜 1차분 차량으로 유명해졌다. 인터넷에서 718~763편성을 검색하면 대부분의 블로그나 카페에서 전부 1999년산으로 적혀있다. 아무래도 내장재 불연재 교체하면서 잘못된 년도가 적힌 패찰이 붙은 듯. [[1999년]] 제작분에 대해서는 [[현대로템]]주식회사 패찰로 교체해야 할 듯 하다. [[2011년]] [[온수역|온수]] ~ 부평구청 연장으로 1차분 차량과 동일하게 전면부 행선 표출의 글자가 맑은 고딕체로 변경되었다. '''[[2018년]] [[4월 10일]]'''부터 741편성에 엑소 멤버인 시우민의 생일 축하 랩핑을 붙였으나 제거하였다. [[https://blog.naver.com/xcxvnnm34/221249091584|#]] 도입 예정인 771~773편성과 6호선에서 이적되어온 640~641편성을 포함한 전체 74개 편성중 60%를 넘는 46개를 차지해, 개체수가 상당히 많다.[* 반면 8호선은 정반대로 1차분 차량이 전체 20대 중 15대가 재적되어 전체의 75% 가량이나 차지하고, 2차분 차량의 개체수는 SR시리즈 전동차보다 더 적다..--의외로 걸리는 사람한테는 잘 걸린다.-- 흥미로운 점은 차량 비율은 완전히 정반대임에도 불구하고 1차분 차량의 댓수 자체는 7호선 쪽이 약간 더 많다는 점.] '''[[2018년]]'''에 2차분에 장착된 도시바 소자가 단종되어 인버터 개조가 예정되어 있다. 현재는 734편성까지 도봉소속이지만, 석남연장, 청라연장분때문에 2차분이 추가로 도봉기지로 변경이 될 가능성도 있다. 여담으로 '''[[2021년]] [[1월]]''' 기준으로 735편성 탑승결과 735편성 차내 CCTV관리주체가 도봉기지로 스티커질 되어있다. 현재 747편성 출입문 주변에 에어커튼을 시범설치하여 운행중이다. [[2021년]] 초, 2차분 열차 또한 대차 계획이 떴다. 2차분 전동차 전체에 대한 교체분을 [[2024년]]에 발주하여 [[2030년]]까지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 3차 도입분 (2010~2011) === [[파일:IMG_7586.jpg]] [[부평구청역]] 연장에 대비하여 도입된 차량으로 총 7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 '''764~765편성: [[2010년]] [[11월]], 766~767편성: [[2010년]] [[12월]], 768~769편성: [[2011년]] 1월, 770~771편성: [[2011년]] [[2월]]'''] 764~767편성이 [[2010년]] [[11월 8일]]~[[12월 25일]] 공개되었고, 768~771편성이 [[2011년]] [[1월 11일]]~[[2월 23일]]까지 반입되었다. 7편성 모두 7호선 전동차의 경검수를 담당하는 [[천왕차량기지]] 소속. 이후, [[2020년]]에 [[석남역]] 연장분 2편성 16량도 같은 [[다원시스]]에서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1&oid=277&aid=0004280453|제작했다]]. 석남 연장분 2편성은 발주처가 인천시이며, 차량 운용 주체는 서울교통공사가 위탁관리하는 것으로 협의되었다. 모든 편성에 자전거 전용칸이 있다. 차체가 흰색 계열인 특성상 열차 외부가 때가 타면 상대적으로 지저분해 보이는 편이다. 해당 차량은 차내 역 안내방송에서 외부 상업 건물[* ~~로 가실 분은 □□역 ☆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 안내를 송출하지 않는다. [[https://m.cafe.daum.net/kicha/ANo/21051?listURI=%2Fkicha%2FANo|도입 전 디자인 조감도]] || [[파일:SR001.jpg|width=100%]] || || '''SR001 첫 출고식'''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에서 자체 제작한 전동차. 엄밀히 말하면 100% 자체제작한 건 아니고 철도차량 제조 업체인 로윈(현 [[다원시스]])이 제공한 차체와 부품을 베이스로 도시철도공사는 조립만 한 것이다. 사실 중검수 자체가 이미 전동차를 전부 분해했다가 일부를 새 부품으로 바꿔서 다시 재조립하는 공정이기 때문에 중검수 공정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조립 또한 가능하다. 비슷하게 [[초저항]]과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등 한국 도시철도의 여명기를 시작한 차량들 중 일부는 일본에서 차체와 모든 부품을 수입하여 한국에서는 조립만 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전례가 존재한다. '''[[2010년]] [[11월 8일]]'''에 [[장암역]]에서 시승 행사를 개최하며 공개했다. 편성 번호는 764번. 인버터를 모듈화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무게를 크게 줄였고, 냉각 성능은 크게 향상되었다. 차체도 기존 전동차에 사용되었던 스테인리스 재질이 아닌 강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편성당 중량도 20t 가까이 줄였다고 한다. 또한 휠체어석 옆에는 행복터치라는 컴퓨터를 놓아두어 승객들이 인터넷이나 지하철 노선도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했는데, 아쉬운 점은 이게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지 않았던 [[2009년]] 이전에만 도입되었어도 나름 실용성이 있었을 텐데[* 마찬가지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의 전광판 현재시각 표출도 휴대폰이 대중화되지 않은 2000년대 초반에는 실용성이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쓸모가 없게 되었다. 근데 [[뱀눈이|[[2012년]]부터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소속 뱀눈이와 삼눈이(경강선 제외)]]에는 LCD 모니터에 현재시각이 표출되고 있다.],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된 지금은 한마디로 [[계륵]]이 되어 버린 상황이다. 실제로 '''[[2014년]]''' 지원이 중단된 [[Windows XP]]를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노선도 등 데이터 업데이트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인터넷 사용도 불가능한 듯. 게다가 지금은 전원을 꺼놓았다. [[파일:attachment/SMRT7000_SR001_MIDDLE.jpg]] 인테리어에서도 특이한 시도가 눈에 띄는데,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3, 6호차의 좌석을 차량 중앙에 배치한 것. 기존의 전동차는 좌석이 벽에 붙어있는 형태로 배치되었고 입석 승객들이 전동차 가운데에 서는 구조였으나, 이 구조를 반대로 뒤집어 가운데에 좌석을 놓고 입석 승객들은 벽 쪽에 서도록 한 것이다. 좌석 승객들이 서로 마주봐서 창피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입석 승객들이 창틀에 걸터앉아 좀 더 편안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배려인 듯. 그런데 문제는 저렇게 해 놓으면 가운데로 집중되었던 빈 공간이 양쪽 끝으로 나누어지니 승객이 많이 탈 수 없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차량 내에서 이동도 매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특히 유모차나 휠체어가 이동하려고 한다면... 물론 잡상인 방지 차원에서는 좋겠지만 실용성은... 글쎄? 좌석 수도 기존 7석에서 6석으로 줄었다. 도철은 '''[[2011년]] [[6월]]''' 하순에 개통 예정인 '''[[온수역|온수]]~[[부평구청역|부평구청]]''' 구간 연장에 대비하여 이 전동차를 양산 & 투입할 예정이었다.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012281329176830388|그러나 서울특별시의회에서 공사의 전동차 자체 제작을 금지하는 조례안을 의결했고]], 7호선 연장 구간인 [[부천시]]와 [[인천광역시]]에서도 안전성 문제를 들며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59861|반대했었다.]] 여담으로 [[7호선 단소 살인마]] 사건이 일어난 열차이기도 하다. [[파일:20200111_200319.jpg]] 결국 양산형 4개 편성(768~771편성)은 [[다원시스|로윈]]에서 생산하기로 결정되었다. '''[[2011년]] [[4월]],''' 양산형 첫 차량인 765편성이 [[다원시스|로윈]] 김천공장에서 반입되면서 이 논란은 일단락된 듯하다. 765편성은 문제의 중앙 좌석을 그대로 설치했지만, 766~771편성은 기존의 창가 좌석으로 돌아갔다고 하였다. [[2011년]] [[6월 27일]]에 정식 운행 개시라고는 했는데 한참 시운전을 돌렸다. 그리고 그 동안에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6호선 열차]]가 대신 운행을 했다. 5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의 전동차가 7호선에 들어간 셈. 771편성까지 도입이 완료되었지만, 771편은 출고되자마자 영업운전에 투입되지 못하고 부품 셔틀이 되고 말았다. [[2013년]] [[11월]]에 3차분 전동차에 대한 문제점이 [[한국방송공사|KBS]]를 통해 보도되었는데, 편성수는 6편성에 불과한 것들이 고장률은 오히려 '''17년 전에 만들어진 7호선 1차분보다도 높았고'''[* 2012년부터 2013년 9월까지의 조사 결과, '''[[1996년]]에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1차분 17개의 편성에서는 5건의 고장이 발생했으며, '''[[1999년]]에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2차분 46개 편성에서는 8건의 고장이 발생했으나, 앞의 두 종류보다 훨씬 나중에 로윈에서 제작된 3차분 6편성의 경우 고장이 무려 '''14건'''이나 발생했다.], 전조등 부품조차도 시중에서 통용되지 않는 제품을 사용해서 제대로 구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한다(...)[[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749927&ref=A|#]] 게다가 성능은 기존 '''7호선 2차분'''과 거의 같은데도 불구하고, 승무요령이 달라지게 되면서 기관사들에게 승무요령 재교육 및 차량 적응 부담까지 안기게 되면서 기관사들에게 있어서 기피 차량이 되었으니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 실제로 승무요령 재교육 및 차량 적응 부담으로 인해 기관사가 '''자살'''하는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71824|비극적인 사건]]도 있다. 이로 인해 6호선 604~606편성이 7호선에서 운행한 적이 있다. 현재는 모두 6호선으로 돌아갔다. 한때 769편성과 770편성은 각각 웹툰테마열차, 라바열차로 뛰었다가 지금은 환원되었고, 로고도 [[서울교통공사]] 로고로 교체되었다. 이외에도 [[중국산]]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한 것에 대해 [[http://m.thedj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1|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다원시스|로윈-다원시스 컨소시엄]][* 이후 두 회사는 [[2017년]] [[2월]]에 합병하여 통합 [[다원시스]]가 출범했다.]이 2호선 노후 전동열차를 대체할 납품업체로 선정되자 몇몇 사람들은 "[[현대로템]] 꼬시다" 라는 반응을 보이며 [[다원시스|로윈]]에게 우호적인 반면, 어느 서울시의원은 7호선 3차분을 보고도 왜 [[다원시스|로윈]]으로 선정했냐며 [[서울메트로]]가 직무유기했다고 대차게 깠다. 이 전동차 때문에 고생한 바 있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노동조합도 도시철도공사의 전동차 발주 때는 [[다원시스|로윈]]을 납품업체로 선정하면 안 된다며, [[서울메트로]]를 우회적으로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40717370836196&outlink=1|비판했다.]] [[파일:SR열차 휠체어석.jpg|300px]] 여담으로 3차분 차량도 구 서울도시철도공사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휠체어석에 고정 안전벨트가 없다. 2010년대 이후로 제작된 전동차 중에서는 유일하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96189&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7%ED%98%B8%EC%84%A0&page=6|내부에서는 인천교통공사 차량으로 간주하는 듯.]]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version=72)] === 4차 도입분 (2018)[* 인천교통공사 소속, 서울교통공사 위탁] === 제작사: [[다원시스]] [[https://m.dcinside.com/board/train/1091092|차량 외부 사진]] 인천교통공사 소속임에도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붙어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in/1092000|차량 내부 사진]] [[https://m.dcinside.com/board/train/1091375|출입문 인천시 로고]] 출입문 무늬가 인천광역시 로고가 들어간 것을 제외하면 2차 도입분과 동일하다. 석남 연장분으로 도입된 차량이다. 총 2편성이 [[다원시스]]에서 제작됐으며, 차량은 인천시가 발주했지만 관리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위탁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의 차량 관리를 서울교통공사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위탁 운영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하지만 이쪽은 코레일 로고가 붙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