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도입분 (1995~1996) === ||<-2> || || [[파일:attachment/SMRT7000_1st.png|width=100%]] || [[파일:1578884978491.jpg|width=100%]] || ||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716편성 ||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708편성 || || [[파일:external/kura1.photozou.jp/197408110_624.v1485742460.jpg|width=100%]] || [[파일:옛날 7호선 내부.jpg|width=100%]] || ||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모습 || * 도봉차량사업소 소속: 701편성~717편성 (17개 편성) [[대우중공업]] 제작 1차 개통 구간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1995년]] [[12월 1일]] 첫 도입을 시작으로 1996년 5월 28일까지 반입되었다. [* 701편성의 경우 반입 당시 도봉차량기지가 완공되지 않아 5호선 [[방화차량기지]]에서 임시로 구내 시운전을 한 이력이 있다.] [* '''701~702편성: [[1995년]] [[12월]], 703~705편성: [[1996년]] [[1월]], 706~708편성: [[1996년]] [[2월]], 709~711편성: [[1996년]] [[3월]], 712~714편성: [[1996년]] [[4월]], 705~717편성: [[1996년]] [[5월]]'''] 5000호대 1차 도입분과 마찬가지로 반개폐식 창문이 적용되었으나 '''[[2005년]]''' 불연재 개조와 함께 통유리로 변경되었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중 410~415, 417~426, 464, 467~468편성,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중 801~815편성,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중 220, 222~252편성 등과 동일한 GEC-[[알스톰]]에서 제작한 [[GTO(반도체)|GTO]]-[[VVVF]] 인버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 인버터의 사용으로 인해 기잉 하는 발차음이 독특하다. [[2012년]] 온수~부평구청 연장으로 전면부 행선표출의 글자가 맑은고딕체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1차분 일부 차량에 대한 스피커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2019년]] [[3월 14일]],''' 717편성이 [[수락산역]]-[[도봉산역]] 주행 중 탈선하였다.[* 2021년 현재 717편성은 본선에서 정상운용 중이긴 하나, 해당 차량은 탈선으로 인한 결함 우려 및 방지를 위해 수리 후에도 운용중지 예정 차량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차량 운용이 불가능한 경우 즉각 휴차 처리될 예정이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1285401|#]]] '''[[2022년]]''' 이후부터 신형 전동차로 교체가 시작되어 인천 석남연장 구간에서 운행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인천 청라 및 경기도 양주까지 운행하는 것을 볼 수도 없게 된다. === 2차 도입분 (1999) === ||<-3> || || [[파일:attachment/SMRT7000_2nd.jpg|width=100%]] || [[파일:7054도봉.jpg|width=100%]] || [[파일:7호선 2차분 가연재.jpg|width=100%]] || ||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724편성 ||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754편성 ||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모습 || * 도봉차량사업소 소속: 718편성~734편성 (17개 편성) * 천왕차량사업소 소속: 735편성~763편성 (29개 편성) 한진중공업 제작[* 이후 대한민국 철도차량 제작사의 통폐합과 함께 KOROS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현대로템]]으로 변경되었다.] 2차 개통 구간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1999년]] [[1월]]부터 [[9월]]까지 도입되었다. [* '''718~722편성: [[1999년]] [[1월]], 723~727편성: [[1999년]] [[2월]], 728~731편성: [[1999년]] [[3월]], 732~735편성: [[1999년]] [[4월]], 736~741편성: [[1999년]] [[5월]], 742~747편성: [[1999년]] [[6월]], 748~752편성: [[1999년]] [[7월]], 753~758편성: [[1999년]] [[8월]], 759~763편성: [[1999년]] [[9월]]'''] 현재 747편성 출입문 주변에 에어커튼을 시범설치하여 운행중이다. [[2021년]] 초, 2차분 열차 또한 대차 계획이 떴다. 2차분 전동차 전체에 대한 교체분을 [[2024년]]에 발주하여 [[2030년]]까지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 3차 도입분 (2010~2011) === [[파일:IMG_7586.jpg]] [[부평구청역]] 연장에 대비하여 도입된 차량으로 총 7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 '''764~765편성: [[2010년]] [[11월]], 766~767편성: [[2010년]] [[12월]], 768~769편성: [[2011년]] 1월, 770~771편성: [[2011년]] [[2월]]'''] 764~767편성이 [[2010년]] [[11월 8일]]~[[12월 25일]] 공개되었고, 768~771편성이 [[2011년]] [[1월 11일]]~[[2월 23일]]까지 반입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version=72)] === 4차 도입분 (2018)[* 인천교통공사 소속, 서울교통공사 위탁] === 제작사: [[다원시스]] [[https://m.dcinside.com/board/train/1091092|차량 외부 사진]] 인천교통공사 소속임에도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붙어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in/1092000|차량 내부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