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과학기술대학교)]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758, #024395, #024395, #002758)" {{{+4 {{{#ffffff '''서울과학기술대학교 [br] 철도아카데미'''}}}}}} [br] {{{#ff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br]SCIENCE AND TECHNOLOGY'''}}}}}} || ||<-5>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width=100%]] ||<-1>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University Seal.svg|width=100%]] || ||<-2> {{{#fff '''교훈'''}}} ||<-4>{{{#00387f,#64a7f5 '''성실, 창의, 협동'''}}} || ||<-2> {{{#fff '''슬로건'''}}} ||<-4>{{{#00387f,#64a7f5 '''우리의 상상이 미래를 만든다[br]Our Dream, Your Future'''}}} || ||<|4> {{{#fff '''상징'''}}} || {{{#fff '''동물'''}}} ||<-4>[[흑룡#s-1|흑룡]] || || {{{#fff '''건물'''}}} ||<-4>[[서울과학기술대학교/캠퍼스#s-4.1|다산관]] || || {{{#fff '''교목'''}}} ||<-4>[[소나무]] || || {{{#fff '''교색'''}}} ||<-4>{{{#!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387f; font-size: 0.9em" {{{#ffffff '''로열블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a000c; font-size: 0.9em" {{{#ffffff '''레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cadae; font-size: 0.9em" {{{#ffffff '''그레이'''}}}}}} || ||<-2> {{{#ffffff '''국가'''}}}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대한민국]] || ||<-2> {{{#ffffff '''원장'''}}} ||<-4> 이정석 [* 2023년 현재] || ||<-2> {{{#ffffff '''주소'''}}} ||<-4>[[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 || ||<-2> {{{#ffffff '''링크'''}}} ||<-4>[[https://sra.seoultech.ac.kr/intro/education/|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6> {{{#!wiki style="margin-bottom: -6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과학기술대학교, 너비=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부설 철도기관사 양성 아카데미로 [[철도차량 운전면허]][*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를 교육하고 있다. == 교육 == * 1년에 4기수 (기수별 30명씩)를 모집하며, 전원 일반인반으로 철도관련법 및 운전이론으로 입교시험을 진행하여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 교수 == |||| |||| |||| |||| 유병철 책임교수 |||| 이도현 선임교수 |||| || [[킹|황규태 교수]] |||| 이주열 교수 || [[오박사|신영길 교수]] || || 임상균 교수 |||| 이혜정 조교 || 윤예중 조교 || == 여담 == * 철도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 중 유일하게 철도관련 학부과정이 없는 대학으로 일반인반만 운영하고 있다. [* 하지만 운전이론을 입교시험에 보기때문에 입교시험 난이도가 타 기관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 철도면허교육기관 중 후발주자이지만 서울에 위치한 지리적인 이점 덕분에 입교생 충원율은 좋은편이다. [* 실제로 지리적인 이유로 교통대, 우송대를 포기하고 과기대로 입교한 사례가 종종 있다.] * 교육훈련기관중 유일하게 입교시험으로 운전이론 과목을 본다. [[분류:철도면허교육기관]][[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