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울교통공사가 2호선에서 운행 중인 VVVF 전동차, rd1=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현황)]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include(틀:서울 지하철 전동차)] ||<-3>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a84d,#5bffa4 '''서울교통공사 {{{+1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545.jpg|width=100%]]}}} || ||<-3> 245편성 || ||<-3> {{{#white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 || '''편성''' ||<-2> 6량 1편성 / 4량 1편성 / 10량 1편성 || || '''생산량''' ||<-2> 94량 || || '''과거 운행 노선''' ||<-2>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6]] [[서울 지하철 2호선|{{{#00a84d,#5bffa4 서울 지하철 2호선}}}]] || || '''도입시기''' ||<-2> 1980 / 1982 / 1986, 1990 / 1993 || || '''제작사''' ||<-2> [[일본차량제조|[[파일:일본차량제조 로고.svg|width=100]]]] / [[미쓰비시 중공업|[[파일:MitsubishiHeavy.svg|width=100]]]] [br] [[대우중공업|[[파일:대우중공업 로고.svg|width=100]]]] / [[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80]]]] / [[한진중공업|[[파일:한진그룹 심볼.svg|width=20]]]] || || '''소유기관''' ||<|2><-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50px]]]]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2> [[신정차량사업소]] / [[군자차량사업소]] || || ''' 최종 퇴역 시기''' ||<-2> 2023년 3월 31일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19,500㎜ || || '''전폭''' ||<-2> 3,120㎜ || || '''전고''' ||<-2> 3,750㎜ || || '''궤간''' ||<-2> 1,435㎜ || ||<|4> '''차중''' ||<-2> Mc, M3: 41.5t || ||<-2> M: 40.5t || ||<-2> M4: 38.5t || ||<-2> T: 32.0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 || '''신호방식''' ||<-2> Nippon Signal [[열차자동정지장치|ATS-S2]] || || '''제어방식''' ||<-2> [[저항제어|직병렬조합 저항제어]] [br] (히타치 MMC-HTB-20R형) || || '''동력장치''' ||<-2> 직류 직권전동기 [br] (미쓰비시 MB-3268-A형)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 || ||<|2>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2> 3.0 ㎞/h/s || ||<|2> '''감속도''' || 상용 || 3.5 ㎞/h/s || || 비상 || 4.5 ㎞/h/s || || '''MT 비''' ||<-2> 4M2T / 4M0T / 8M2T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개통열차.png|width=100%]]}}}|| || 1단계 구간 개통 기념열차. 사진 속 승강장은 스크린도어 설치 전의 [[성수역]]이다.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운행했던 전동차이다. 한때 본선 구간과 지선 구간을 가리지 않고 운행했으나, 2023년 7월 6일에 신정지선 248편성을 끝으로 모든 차량이 폐차되었다. == 편성 == === 본선 (10량) === ||<-2> ↑ '''내선순환''' || || '''20## (1)''' ||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 '''21## (2)'''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 || '''26## (3)''' ||T(무동력객차), '''1986년 신조''' || || '''27## (4)''' ||T(무동력객차), '''1986년 신조''' || || '''22## (5)'''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 || '''24## (6)''' ||M(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 || '''28## (7)'''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 || '''29## (8)''' ||M(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 || '''23## (9)'''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 || '''25## (10)''' ||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2> ↓ '''외선순환''' || === 신정지선 (6량) === ||<-2> ↑ '''[[까치산역|{{{#00a84d 까치산}}}]] 방면''' || || '''20## (1)''' ||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 '''21## (2)'''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 || '''22##(舊 26##) (3)''' ||T(무동력객차) || || '''23##(舊 27##) (4)''' ||T(무동력객차) || || '''24##(舊 23##) (5)'''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 || '''25## (6)''' ||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2> ↓ '''[[신도림역|{{{#00a84d 신도림}}}]] 방면''' || === 성수지선 (4량) === ||<-2> ↑ '''[[성수역|{{{#00a84d 성수}}}]] 방면''' || || '''20## (1)''' ||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 '''21## (2)'''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 || '''22##(舊 23##) (3)''' ||M'(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 || '''23##(舊 25##) (4)''' ||M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2> ↓ '''[[신설동역|{{{#00a84d 신설동}}}]] 방면''' || == 상세 == ||[youtube(JJn2yS9R_ws)]|| [youtube(wGX6l6G1-9s)] || || '''구 201편성''' || '''구 260편성 (컴프레서 교체 전)''' || ||[youtube(OeVX1z61hT0)]|| [youtube(xTzf4UnFwBQ)] || || '''248편성 (6량 1편성 신정지선용)''' || '''256편성 (4량 1편성 성수지선용)''' || 큰 틀에서는 1호선에 투입된 전동차([[초저항]])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1호선에 비해 본선 지상구간이 거의 지상고가로 이루어져 있어 상하구배가 심한 2호선에서의 운행을 위해 전동기의 용량을 기존 1호선 전동차([[초저항]])의 120kW에서 150kW로 향상했으며, 이와 더불어 기존 1호선 전동차에는 없었던 신식 냉방장치인 [[에어컨]]을 도입해 실내의 쾌적함이 더해졌다. 물론 현재의 전동차들 처럼 막 시원하진 않았다. 다만 그 시절에 에어컨은 거의 보기 힘들었으니 있는 것만으로도 대단했다. 이로 인한 전류 용량 증대 및 팬터그래프 이선 현상 방지를 위해 팬터그래프를 2대 병설해 설치했다. 그 외에도 회생제동을 도입해 전력 소비를 절감했고, 가속도를 2.5km/h/s에서 3.0km/h/s로 상향했다.[* 출처: 서울지하철 2호선 건설지] 당시로써는 대단한 기술적 진보를 이룩해 낸 차량으로, [[새마을호]] 차량보다도 2년, 현재 대통령 전용 열차인 [[경복호]]보다도 21년 앞서서 에어스프링 대차를 사용했다. 경복호 이전의 대통령 전용 열차인 [[대통령 전용 열차#s-3.2|'메기특동']]도 코일스프링 대차를 쓰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현재 자주 사용하는 볼스터리스 대차가 아닌 볼스터 대차 형식이다. 당시에는 볼스터리스 대차에 대한 신뢰도가 덜 증명됐던 시절이었다. 한편 국내 최초 차내 냉방 장치, 전기지령식 제동장치, WN드라이브 구동방식, 라인데리어 보조송풍기[* 1호선 초저항의 선풍기가 여성 승객들의 머리모양을 망친다는 민원 때문에 도입했다고 한다.] 평천장 구조를 도입했고, [[미쓰비시전기]]의 모터와 [[히타치 제작소]]의 저항제어기를 사용하여, 견인전동기와 주제어기의 제조사가 다른 차량 중에 하나이다. 실내용 [[에어컨]]은 [[1980년대]]엔 엄청난 고급 사치품이었고 2호선 개통 당시로 따지면 최소 [[무궁화호]]나 [[시외버스]]는 돼야 구경할 수 있었던 제품이었는데, 이 차량에 도입된 에어스프링 대차, 냉방 장치, 전기지령식 제동장치, WN드라이브 구동방식, 라인데리어 보조송풍기, 평천장은 지금의 전동차에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에 여러 모로 기념비적인 차량이라고 볼 수 있다. 대차의 경우 이 차량에 쓰인 ND-310형 볼스터 대차는 이후 등장한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광폭형 초퍼제어 전동차]]에서도 사용하게 된다. || 20## || 21## || 23## || 25## || || 1980년, 1982년 || 1980년, 1982년 || 1980년, 1982년 || 1980년, 1982년 || || 20## || 21## || 26## || 27## || 23## || 25## || || 1980년 || 1980년 || 1986년, 1990년 || 1986년, 1990년 || 1980년 || 1980년 || || 20## || 21## || 26## || 27## || 22## || 24## || 28## || 29## || 23## || 25## || || 1980년 || 1980년 || 1986년 || 1986년 || 1993년 || 1993년 || 1993년 || 1993년 || 1980년 || 1980년 || [[2005년]] 저항제어 차량의 폐차로 인해 편성 개편 및 신형차량 1차분 도입 때 현재와 같이 조정된다. [[1993년]]에는 다른 초퍼제어 차량과 달리 후달리는 가속력을 맞추기 위해, 증결분 전체를 동력 차량으로 도입하여 최대 8M 2T의 MT비로 운행했다. 201~214편성이 편성이 이에 해당한다. * 201~205편성: 본선 * 206~208편성: 본선 → 신정지선(1993년) * 209편성: 본선 → 성수지선(1986년) → 본선(1990년) → 신정지선(1993년) * 210~214편성: 본선 → 성수지선(1986년)(210~211편성: 1980년산, 212~214편성(현 258~260편성): 1982년산) 도입 년식에 따라 4차로 분류된다. 일부 편성들은 증차되지 않고 각각 성수지선과 신정지선에 전속됐다. || 1차분 || 1980년 1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4량 11개 편성)[* 현재 전량 퇴역] || || 2차분 || 1982년 2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4량 3개 편성)[* 현재 전량 퇴역] || || 3차분 || 1986년, 1990년 6량화에 따라 도입된 무동력 부수 객차[* 209편성 무동력 부수 객차만 1990년] || || 4차분 || 1993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부수 객차 || [[1990년]]까지의 도입차량의 경우 낙창식 창문을, [[1993년]] 도입차량은 반개폐식 창문이 적용되어 있다. 단, [[1990년]]에 제작된 차량부터는 벽면에 튀어나온 분전함의 평면화를 위해 노약자석 창문 폭이 짧아졌다. 전면부 왼쪽 상단에 열차번호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지만 나중에는 막아버리고 운전실 왼쪽 하단에 따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막힌 곳은 201과 같이 세 자리만 표시가 가능했으며 초저항도 마찬가지였다. MELCO 초퍼 차량과는 달리 측면 롤지식 행선 표시기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1986년]], [[1990년]], [[1993년]]산 부수 객차에는 설치되어 있다(위 영상에서 구 201편성 영상을 참고). 구동음이 초퍼제어 차량에 비해 부드러운 편이며, 차량이 상당히 조용하다. 하지만 MC 개조 전, 퇴역을 얼마 안 남긴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에서 [[2011년]]까지 쓰이던 C-2000M 피스톤식 컴프레서를 장착했었다. MELCO 초퍼 차량도 동일한 컴프레서를 장착했었으나, 일자 불명으로 저소음 모델로 교체됐다. || [[파일:2호선 원형 손잡이.png|width=100%]] || || 2호선 원형 손잡이 || 2호선 개통 초기에는 위와 같이 원형 손잡이를 장착했다. 1~2차분 저항 차량 뿐만 아니라 MELCO 초퍼 1차분 일부 차량과 GEC 초퍼 1차분 전 차량에 해당 손잡이를 장착했다. 1호선 초저항 차량에 있었던 손잡이와는 달리 가죽끈이 긴 형태였다. 그러다가 [[1985년]] 3~4호선 개통 및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3~4호선 GEC 초퍼 차량]] 운행 개시 이후 2호선도 초퍼 차량의 모든 가죽끈 손잡이와 더불어 지금의 검은색 스프링 삼각형 손잡이로 교체된 것으로 추정된다. || [[파일:2호선 개조저항 방열구.jpg|width=100%]] || || 2호선 개조저항 방열구 || 동력객차 우측 측면 방열구 또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의 멜코 초퍼 차량과 동일하게 1개이다. 기본적으로 동력객차 중에서 출입문 8개 중 1, 2, 7, 8번째 출입문 우측 상단에 각각 1개, 1칸의 동력객차당 총 4개 달려 있으며, Mc칸에는 운전실 기준으로 첫번째 칸 우측 측면과 마지막 칸 좌측 측면에는 방열구가 2개 더 달려있다. 첫번째 칸 중 3번째(20##-3) 출입문 좌측 상단과 5번째(20##-5) 출입문 우측 상단에 각각 1개씩 더 달려있고 마지막 칸 4번째 출입문 우측 상단과 6번째 출입문 좌측 상단에 각각 1개씩 더 달려있다. 다시 말해 Mc칸에는 방열구가 총 6개 달려있다. 하지만 개조 개조저항의 Mc칸은 예외이다. 전부 일반 동력객차와 동일하게 방열구가 총 4개 달려있다. 그리고 [[1982년]] 이전에 제작된 차량들은 방열구가 튀어나와 있으며 [[1993년]]에 제작된 차량들도 멜코 초퍼와는 달리 방열구가 튀어나와 있지만 크기가 약간 작다. 전조등의 경우 제조사별로 전조등 위치가 다른데 대우중공업은 전조등이 현대정공보다 약간 더 아래에 위치한 반면, 현대정공 차량은 정위치에 있다. 이는 초퍼 차량도 마찬가지이다. == 분류 == === 1차분 (1980) === || [[파일:E3_9_0CVcAMYMAe.jpg|width=100%]]|| [[파일:attachment/SM2000OLD.png|width=100%]] || [[파일:2000내부.jpg|width=100%]] || || 반입 직후[* [[OEM]] 형태로 반입한 차량으로, 당시 미도색 상태]의 209편성 || 외부 || 내장재 개조 이전의 내부 (1980년 촬영) || ||<-2> 도입 || 반입 장소 || || 1980년 10월 10일 ~ 1980년 12월 23일 || 2호선 4량 11개 편성 (201~211편성) || 군자기지에 투입 || * 201~211편성 (총 11편성 44량) - 1980년 도입 * 제작사: [[대우중공업]](201~208편성), [[현대정공]]([[일본차량제조]] [[OEM]])(209~211편성) [[1980년]] 1차 구간(신설동 ~ 종합운동장) 개통시 4량 11개 편성으로 도입됐다. 개통 초기에는 8개 편성만 투입되고 나머지 부족분은 1호선 소속 차량들로 때웠다. 이후 [[1980년]] [[12월]]에 3개 편성이 증차됐다. 이때 도입된 대우중공업제 차량은 일본에서 부품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조립하여 제작하였으나, 현대정공 도입 차량은 일본 차량 제조로부터 미도색 상태의 완제품을 OEM 형식으로 [[부산항]]을 통해 반입하면서 국내에서 마저 도색을 완성하였다. 1980년경에 잠시나마 부산역에 반입되어서 세워져 있던 서울 지하철 2호선 전동차를 볼 수 있었다.[* [[https://cafe.daum.net/kicha/2vGl/2946|관련 게시글]], 출처: 다음 카페(Rail+ 철도동호회)] 이후 내구 연한이 만료되는 [[2005년]]에 '''신형 VVVF 1차분 전동차'''와 1993년산 증결분을 개조한 개조차량으로 대차됐다. 운행 기간은 [[1980년]]부터 [[2005년]]까지로 25년 동안 운행했다. 구 201편성은 [[신정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으나 운전실 기기는 뜯겨나가 온전하지 못한 상태이다. 구 206편성 ~ 구 209편성은 2006년 초에 운행 중지된 이후에도 2007년까지는 방치되다가 폐차되었다. ||<:> {{{#!folding 1980년 기준 저항제어 조성 ▼ ||<-6> '''1980년 기준 저항제어 조성(4량)'''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Mc)''' || '''비고''' || || '''201편성''' || 2001 || 2101 || 2301 || 2501 || || || '''202편성''' || 2002 || 2102 || 2302 || 2502 || || || '''203편성''' || 2003 || 2103 || 2303 || 2503 || || || '''204편성''' || 2004 || 2104 || 2304 || 2504 || || || '''205편성''' || 2005 || 2105 || 2305 || 2505 || || || '''206편성''' || 2006 || 2106 || 2306 || 2506 || || || '''207편성''' || 2007 || 2107 || 2307 || 2507 || || || '''208편성''' || 2008 || 2108 || 2308 || 2508 || || || '''209편성''' || 2009 || 2109 || 2309 || 2509 || || || '''210편성''' || 2010 || 2110 || 2310 || 2510 || || || '''211편성''' || 2011 || 2111 || 2311 || 2511 || || }}}|| === 2차분 (1982) === || [[파일:IMG11041.jpg|width=100%]] || [[파일:IMG11042.jpg|width=100%]] || || [[신설동역]]의 212편성 || [[성수역]]의 213편성 || ||<-2> 도입 || 목적 || || 1982년 11월 27일 ~ 1982년 12월 10일 || 2호선 4량 3개 편성 (212~214편성) || 2차 구간 개통 || * 258~260(변경 전 212~214편성)편성 (총 3편성 12량) - 1982년 도입 * 제작사: [[현대정공]] [[1982년]] 2차 구간(종합운동장 ~ 교대) 개통시 4량 3개 편성으로 도입됐다. 단 1편성도 증결되지 않은 채 4량을 유지했으며, 이후 2005년에 212~214편성에서 258~260편성으로 개번되어 다니다 내구 연한이 만료되는 [[2007년]]에 '''신형차량 2차분'''으로 대차됐다. 운행기간은 [[1982년]]부터 [[2007년]]까지로 25년 동안 운행했다. 2호선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다닌 구형 저항제어 차량이자, 또한 C-2000M 피스톤식 공기압축기를 마지막까지 장착하고 운행한 전동차였다. ||<:> {{{#!folding 1982년 제작분 저항제어 조성 ▼ ||<-6> '''1982년 제작분 저항제어 조성(4량)'''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Mc)''' || '''비고''' || || '''212편성''' || 2012 || 2112 || 2312 || 2512 || || || '''213편성''' || 2013 || 2113 || 2313 || 2513 || || || '''214편성''' || 2014 || 2114 || 2314 || 2514 || || }}}|| === 3차분 (1986, 1990) === ||<-2> 부수 객차 증결 ||<-2> 목적 || || 1986년 8월 19일 ~ 1986년 8월 29일 || 2호선 8개 편성 (201~208편성) ||<|2> 4량 → 6량 || || 1990년 4월 7일 || 2호선 1개 편성 (209편성) || * 201~208편성 (6량 증결분, 총 8편성 16량) - 1986년 도입 * 209편성 (6량 증결분, 총 1편성 2량) - 1990년 도입 * 제작사: [[현대정공]] [[1986년]] 8개 편성이 6량으로 증차됐다. 해당 편성은 201~208편성이다. [[1990년]] 1개 편성이 6량으로 증차됐다. 해당 편성은 209편성이며 고무틀 출입문과 낙창식 창문을 그대로 계승했지만 벽면에 튀어나온 분전함의 평면화를 위해 노약자석 창문 폭이 짧아졌다. 일부 편성은 6량화에서 제외됐으며, 성수지선에서 운행했다. 해당 편성은 210~214편성(변경 후 210~211, 258~260편성)으로 한동안 본선에서 운행하다가, [[1983년]] 성수지선 운행 계통이 분리된 이후 빠져나갔다. 다만 2호선의 멜코 초퍼를 포함한 상당수 차량은 86년까지 4량 편성으로 운행했으므로 그때까지는 본선을 운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202~203, 206~208편성에 있던 객차들은 2005년에 1차 도입분 차량과 함께 조기 폐차됐으며, 신정지선에서 다니던 246~248편성의 객차는 2008년에 1차 도입분 초퍼제어 차량을 대차할 때 같이 조기 폐차됐다. ||<:> {{{#!folding 1986년에 6량화 된 저항제어 조성(6량) ▼ ||<-8> '''1986년에 6량화 된 저항제어 조성(6량)'''[Br]'''{{{#BFFF00 라임색 바탕}}}'''은 1986년 제작분 무동력 객차,[Br]'''녹색'''은 1986년 기준 6량 증결된 차량임을 알린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T)'''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Mc)''' || '''비고''' || || '''201편성''' || 2001 || 2101 || 2601 || 2701 || 2301 || 2501 || || || '''202편성''' || 2002 || 2102 || 2602 || 2702 || 2302 || 2502 || || || '''203편성''' || 2003 || 2103 || 2603 || 2703 || 2303 || 2503 || || || '''204편성''' || 2004 || 2104 || 2604 || 2704 || 2304 || 2504 || || || '''205편성''' || 2005 || 2105 || 2605 || 2705 || 2305 || 2505 || || || '''206편성''' || 2006 || 2106 || 2606 || 2706 || 2306 || 2506 || || || '''207편성''' || 2007 || 2107 || 2607 || 2707 || 2307 || 2507 || || || '''208편성''' || 2008 || 2108 || 2608 || 2708 || 2308 || 2508 || || }}}|| ||<:> {{{#!folding 1990년에 6량화 된 저항제어 조성(6량) ▼ ||<-8> '''1990년에 6량화 된 저항제어 조성(6량)'''[Br]'''{{{#ccffcc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제작분인 고무창틀 객차이며 '''녹색'''은 1990년 기준 6량 증결된 차량임을 알린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T)'''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Mc)''' || '''비고''' || || '''209편성''' || 2009 || 2109 || 2609 || 2709 || 2309 || 2509 || || }}}|| === 4차분 (1993) === ||<-2> 부수 객차 증결 ||<-2> 목적 || || 1993년 4월 2일 ~ 1993년 5월 12일 || 2호선 5개 편성 (201~205편성) || 6량 → 10량 || * 201~205편성 (10량 증결분, 총 5편성 20량) - 1993년 도입 * 제작사: [[한진중공업]] [[1993년]] 5개 편성이 10량으로 증차됐다. 해당 편성은 201~205편성이다. 일부 편성은 10량화에서 제외됐으며, 신정지선에서 운행했다. 해당 편성은 206~209편성이다. 한동안 본선에서 운행하다가, [[1992년]] 신정지선 개통 이후 빠져나갔다. 출입문 창틀이 고무틀에서 쇠창틀로 변경됐으며 창문 또한 낙창식에서 반개폐식으로 변경됐다. ||<:> {{{#!folding 1993년에 10량화 된 저항제어 조성(10량) ▼ ||<-12> '''1993년에 10량화 된 저항제어 조성(10량)''' || ||<-12> '''{{{#BFFF00 라임색 바탕}}}'''은 1986년 제작분 무동력 객차,'''{{{#CCFFFF 하늘색 바탕}}}'''은 쇠창틀 객차이며[Br]'''녹색'''은 1993년 기준 10량 증결된 차량임을 알린다.[Br]'''굵은 글씨체'''는 전부 3분할 개폐식 창문이 적용된 차량임을 알린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T)'''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M)''' || '''7호차[br](M')''' || '''8호차[br](M)''' || '''9호차[br](M')''' || '''10호차[br](Mc)''' || '''비고''' || || '''201편성''' || 2001 || 2101 || 2601 || 2701 || '''2201''' || '''2401''' || '''2801''' || '''2901''' || 2301 || 2501 || || || '''202편성''' || 2002 || 2102 || 2602 || 2702 || '''2202''' || '''2402''' || '''2802''' || '''2902''' || 2302 || 2502 || || || '''203편성''' || 2003 || 2103 || 2603 || 2703 || '''2203''' || '''2403''' || '''2803''' || '''2903''' || 2303 || 2503 || || || '''204편성''' || 2004 || 2104 || 2604 || 2704 || '''2204''' || '''2404''' || '''2804''' || '''2904''' || 2304 || 2504 || || || '''205편성''' || 2005 || 2105 || 2605 || 2705 || '''2205''' || '''2405''' || '''2805''' || '''2905''' || 2305 || 2505 || || }}}|| === 개조저항 (2005) === || [[파일:256편성 용답역 접근.jpg|width=100%]] || [[파일:2545.jpg|width=100%]] || || 성수지선 256편성[* 2021년 1월 퇴역] || 신정지선 245편성[* 2023년 2월 퇴역, 246편성이 화재 사고로 더 일찍 폐차됨에 따라 퇴역이 연기됐었다.] || * 성수지선: 256편성(2021년 1월 퇴역)[* 그와 동시에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VVVF 전동차]]로 대차됐다.] * 신정지선: 245~248편성(2023년 3월 퇴역)[* 246편성은 [[신정차량사업소]] 내부 화재에 의해 먼저 폐차됐으며,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248편성도 2023년 3월 31일을 끝으로 완전히 퇴역했다.] 1차분 전동차가 내구 연한 만료로 대거 폐차되면서 남는 부수 객차가 발생하게 되자, 4차분 부수 객차를 Mc칸으로 개조하여 새롭게 편성했다. 개조 이전에는 냉방 장치 3곳 중 1곳만 신형이었는데, 개조를 거치면서 멜코 초퍼 제어 차량처럼 2곳을 신형으로 교체했으며, 콤프레셔 역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에 쓰이는 걸로 교체했다. 도입 당시에는 [[1993년]] 제작분을 포함해서 의자만 스테인리스로 교체할 뿐 가연재 상태로 반입이 되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1986년]], [[1990년]] 제작분을 포함해서 전부 로윈에서 불연재로 내장재 교체를 실시했다. 그리고 이들이 2023년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까지 운행한 2호선 저항제어 전동차이다. 2호선 본선에서 운행한 초퍼제어 및 저항제어 전동차는 2021년 3월 말에 모두 폐차반출 됐으며, 이 차량들은 그보다 2년가량 더 운행했다. 새로 편성하면서 랜덤으로 조합한 탓에 번호를 개번하기 전 어느 편성에서 가져왔는지 알기 꽤 복잡해졌는데, 아래의 조성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 {{{#!folding 2005년 기준 저항제어 차량 조성 ▼ ||<-6> '''개조저항 조성(성수지선)'''[*A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ff0000 빨간색}}}은 부수객차를 운전석으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BFFF00 라임색 바탕}}}은 1986년 제작분 무동력 객차, {{{#ccffcc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제작분인 고무창틀 객차이며 '''굵은 글씨체'''는 전부 3분할 개폐식 창문이 적용된 차량임을 알린다.]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MC)''' || '''비고''' || || '''256편성''' || {{{#ff0000 '''2402'''}}} || '''2802''' || '''2202''' || {{{#ff0000 '''2902'''}}} || || ||<-8> '''개조저항 조성(신정지선)'''[*A ]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T)'''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Mc)''' || '''비고''' || || '''245편성''' || {{{#ff0000 '''2403'''}}} || '''2803''' || 2609 || 2709 || '''2203''' || {{{#ff0000 '''2903'''}}} || || || '''246편성''' || {{{#ff0000 '''2404'''}}} || '''2804''' || 2604 || 2704 || '''2204''' || {{{#ff0000 '''2904'''}}} || || || '''247편성''' || {{{#ff0000 '''2405'''}}} || '''2805''' || 2605 || 2705 || '''2205''' || {{{#ff0000 '''2905'''}}} || || || '''248편성''' || {{{#ff0000 '''2401'''}}} || '''2801''' || 2601 || 2701 || '''2201''' || {{{#ff0000 '''2901'''}}} || || }}}|| ||<:> {{{#!folding 2009년 기준 저항제어 차량 조성 ▼ ||<-6> '''개조저항 조성(성수지선)'''[*A ]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MC)''' || '''비고''' || || '''256편성''' || {{{#ff0000 '''2402'''}}} || '''2802''' || '''2202''' || {{{#ff0000 '''2902'''}}} || || ||<-8> '''개조저항 조성(신정지선)'''[*A ] || || '''편성 / 호차''' || '''1호차[br](Mc)''' || '''2호차[br](M')''' || '''3호차[br](T)''' || '''4호차[br](T)''' || '''5호차[br](M')''' || '''6호차[br](Mc)''' || '''비고''' || || '''245편성''' || {{{#ff0000 '''2403'''}}} || '''2803''' || 2609 || 2709 || '''2203''' || {{{#ff0000 '''2903'''}}} || || || '''246편성''' || {{{#ff0000 '''2404'''}}} || '''2804''' || '''2564''' || '''2664''' || '''2204''' || {{{#ff0000 '''2904'''}}} || [* [[2008년]] [[12월]] 2246, 2346호 내구연한 만료로 GEC 초퍼 2564, 2664호로 교체됐다.] || || '''247편성''' || {{{#ff0000 '''2405'''}}} || '''2805''' || '''2565''' || '''2665''' || '''2205''' || {{{#ff0000 '''2905'''}}} || [* [[2009년]] [[1월]] 2247, 2347호 내구연한 만료로 GEC 초퍼 2565, 2665호로 교체됐다.] || || '''248편성''' || {{{#ff0000 '''2401'''}}} || '''2801''' || '''2566''' || '''2666''' || '''2201''' || {{{#ff0000 '''2901'''}}} || [* [[2009년]] [[3월]] 2248, 2348호 내구연한 만료로 GEC 초퍼 2566, 2666호로 교체됐다.] || }}}|| 도입 당시에는 객실 내 LED 전광판이 있었으나, [[2011년]] LCD 모니터로 교체됐다.[* [[https://blog.naver.com/marine1007/120020192495|출처: 네이버 블로그]]] 가장 먼저 운행을 시작한 편성은 248편성이다. 왜냐하면 248편성이 저항제어 차량 중 가장 먼저 퇴역한 201편성 출신 객차로 재편됐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장 마지막으로 퇴역했다. 246~248편성은 [[1986년]]산 무동력 부수 객차가 [[2008년]]에 1차 도입분 초퍼제어 차량들을 교체할 때 전량 퇴역하게 되는데, 이 때 GEC초퍼 1차분 264~266편성의 1993년산 무동력 객차를 투입하여 대체했다. 대우중공업 패찰을 보면 알 수 있는데, GEC초퍼는 대우중공업이 제작했기 때문이다. 측면 행선지가 없었지만 뚫어서 LED 행선지를 장착했으며 이후 측면 행선지를 막았다. || [[파일:SAM_4086.jpg|width=100%]] || || 245편성의 초저항 출입문 || 245편성은 맨 앞차와 맨 뒷차에 초저항의 출입문으로 갈아끼워 넣었다. 기존 출입문의 크랙 현상이 심해서 교체됐다. 2호선에서 유일하게 작은 정사각형 창문의 출입문을 달고 운행했었던 차량이다. 퇴역 이후에는 다시 기존 직사각형 창문의 출입문으로 교체됐다. || [[파일:ソウルメトロ2000系先頭車化改造車編成登場.jpeg.jpg|width=100%]] || || 245편성의 불연재 개조전 내부 || || [[파일:IMG48892.jpg|width=100%]] || || 245편성의 1990년산 부수객차의 낙창식 창문과 고무 출입문 || 245편성의 무동력 부수 객차 2량은 개조 후 재편성 당시부터 [[1990년]]산으로 편성됐다. 개조 전에는 209편성(현 248편성)에서 운행하다가 개조되면서 245편성으로 옮겨진 것이다. 245편성의 무동력 부수 객차는 MELCO 초퍼의 부수 객차가 아니다. 물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s-4.1.2|MELCO 초퍼]]의 207~213편성(변경 전 246~252편성) 중 [[1990년]] 제작분 무동력 객차(22xx, 23xx호)랑 같이 반입되었기 때문에 해당 무동력 객차에 한해서 사양은 동일하다. 또한 [[2021년]] [[9월]]에 중검수 및 정밀안전진단으로 잠시 휴차됐지만 정밀안전진단 결과 합격 판정을 받아 2021년 11월 기준 운행에 복귀했다. 그리고 2021년 11월부터 2023년 2월 22일까지 구 245편성과 신 245편성 둘 다 운행하는 모습이 종종 보였다. 참고로 245편성이 [[2006년]] ~ [[2007년]]도에 유일하게 역방향으로 운행했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2007년]] [[11월 6일]]날 다시 정방향으로 돌려놓았다. ||<-5> '''개조저항 245편성 과거 방향전환 정보''' || || 편성번호 || 시행날짜 || 방향전환 전 || 방향전환 후 || 비고 || ||<|2> 245편성 || [[2006년]] [[7월 30일]] || 정방향 || 역방향 || || [[2007년]] [[11월 6일]] || 역방향 || 정방향 || 256편성은 [[2005년]]에 202편성 증결분들을 개조해서 재편성했으며, 210편성의 대차분으로 개조저항 중 2번째로 도입됐다. 2021년 1월 말까지 운행했고 2021년 4월에 폐차됐다. 성수지선의 유일한 개조저항 차량이자, 전칸 동력장치가 설치되어 가속도가 빠르기로 유명했다. 확인되는 기록상으로 2호선 성수지선의 개조저항 전동차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21년 1월 22일 S1667열차 신설동행으로 운행한 256편성이며 신정지선의 개조저항 전동차 마지막 운행기록은 2023년 3월 19일 S5697열차 신도림행으로 운행한 248편성을 끝으로 더이상 운행하지 않았다. 246편성은 2021년 3월 말, 기지 구내에서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하여 휴차됐으며 이후 매각공고가 나왔고, 2021년 8월에 신정지선용 개조저항 전동차 중 최초로 폐차됐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172446|매각 공고 내용]],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해당 편성의 대타로 220편성이 6량으로 재조성되어 운행 중이었으나 2021년 10월 말에 본선으로 돌아간 후, 221편성이 대타로 운행했으며 2022년 3월에 본선으로 돌아갔다. 이로 인해 245편성은 폐차된 246편성을 대신해서 운행하게 됐다. 2023년 2월부로 신 246~248편성이 운행을 개시함에 따라 245, 247편성이 운행 중단 및 퇴역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59486|매각 공고 내용]],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이후 군자기지로 회송되어 245편성은 2023년 3월 18일에, 247편성은 2023년 3월 20일에 완전히 폐차 매각됐다. 2023년 3월 31일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저항제어 전동차인 248편성까지 퇴역하면서 2호선의 저항제어 전동차는 2호선이 개통한 1980년 10월 3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42년 5개월이라는 긴 운행을 마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248편성은 4월 19일에 군자기지로 회송됐고 매각 공고가 올라왔으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83221|매각 공고 내용]],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2023년 7월 6일에 폐차 매각됐다.[* [[https://blog.naver.com/colorado51/223150414878|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따라서 한국에서 운행하는 저항제어 열차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만 남았으며, 이 열차들은 2029년 중에 퇴역할 예정이어서 한국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운행한 저항제어 전동차가 된다. == 개번 이력 == ||<-3> 편성 번호 개번 || || 개번 시기 || 개번 전 || 개번 후 || || [[2005년]] || 212~214편성 || '''258~260편성''' || [[2005년]]도에 저항제어 전동차 201~211편성이 폐차되면서 212~214편성이 258~260편성으로 개번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version=804)]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전동차]][[분류:1980년 출시]][[분류:199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