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울교통공사가 3호선에서 운행했던 초퍼제어 전동차, rd1=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other2=한국철도공사가 3호선에서 사용 중인 VVVF 전동차, rd2=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현황)]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NondescriptThinkableLegalServant)] || {{{#ffffff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 '1차분 (2009~2010)' 문단 '시운전 당시 LCD 모니터 표출 사진'의 출처는 기존 서술을 유지한다. * 1차분 차량 사진은 타이틀 사진은 [[:파일:S3005.jpg]]를, '1차분 상세 설명란에는 [[:파일:3호선_3028.jpg]]를 사용한다. }}} ||}}}}}}}}} || [include(틀:수도권 전철 전동차)]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ef7c1c,#cf580a '''서울교통공사 {{{+1 3000호대 VVVF 전동차}}}'''}}}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3005.jpg|width=100%]]}}} || ||<-3> 305편성 (1차분)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35편성갑종.jpg|width=100%]]}}} || ||<-3> 335편성 (2차분) || ||<-3> {{{#white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10량 1편성 || || '''생산량''' ||<-2> 490량 (총 49편성) || || '''운행 노선'''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3호선|{{{#ef7c1c,#cf580a 수도권 전철 3호선}}}]] || ||<|2> '''도입시기''' ||<-2> 2009~[[2010년]] (1차분) || ||<-2> 2021~[[2022년]] (2차분) || ||<|2> '''제작사''' ||<-2> [[현대로템]] (1차분) || ||<-2> [[다원시스]] (2차분) || || '''소유기관''' ||<|2><-2> [[서울교통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2> [[지축차량사업소]][* 301~320편성/중정비][br][[수서차량사업소]][* 321~349편성] || || '''차량번호''' ||<-2> 301~349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선두차: 19,950㎜[br]중간차: 19,500㎜ || || '''전폭''' ||<-2> 3,120㎜ || || '''전고''' ||<-2> 3,750㎜ || || '''궤간''' ||<-2> 1,435㎜ [[표준궤]] || ||<|4> '''차중''' ||<-2> Tc: -t || ||<-2> M1: -t || ||<-2> M2: -t || ||<-2> T: -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2> US&S(현 [[히타치 제작소#s-4.4.1|히타치 레일 STS]]) [[열차자동제어장치|ATC]] || || '''제어방식''' ||<-2> [[현대로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IPM)[*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br] [[다원시스]] [[VVVF]]-[[IGBT]][* KEC 소자 기반 튜닝 소자이다.] || || '''동력장치''' ||<-2> [[삼상|3상]] [[교류(전기)|교류]] 농형 [[교류전동기#s-3.2.1|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2>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및 전기회생제동 || ||<|2> '''최고속도''' || 영업 || [[열차자동제어장치|ATC]] 구간 8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2> 3.0 ㎞/h/s || || '''MT 비''' ||<-2> 5M 5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고 있는 [[VVVF]] 제어 전동차다. [[2022년 9월]] 3호선 초퍼제어 전동차들이 모두 퇴역함에 따라 이 열차들로만 운행 중이며, [[2008년]]에 도입된 1차분의 숫자만으로도 이미 3호선 전체의 절반을 넘길 정도로 상당히 비중이 높은 3호선의 대표 주자이기도 하다. 1차분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 2차분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3, 5차분과 디자인과 신호장치를 제외하면 기본적인 사양은 거의 동일하다. == 편성 == ||<-2> ↑ || || '''3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 (2)''' || M(추진제어장치(VVVF), IM) || || '''32## (3)''' || M'(팬더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 || '''33## (4)''' || T(무동력객차) || || '''34## (5)''' || M'(팬더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 || '''35## (6)''' ||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6## (7)''' || T(무동력객차) || || '''37## (8)''' || M(추진제어장치(VVVF), IM) || || '''38## (9)''' || M'(팬더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 || '''39## (10)'''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 * 3호선 차량은 [[지축차량사업소]]의 방향전환용 루프선, [[수서차량사업소]]의 삼각선에서 앞/뒤 방향이 바뀌기때문에 상/하행선의 열차 방향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 분류 == 도입 연식에 따라 2차로 분류된다. ||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 1차분 || '''[[VVVF]]'''[br]'''[[IPM]]'''[br]{{{-1 '''[[현대로템]]'''}}} || 2008~[[2009년]](10량 34편성) || || 2차분 || '''[[VVVF]]'''[br]'''[[IGBT]]'''[br]{{{-1 '''[[다원시스]]'''}}} || 2021~[[2022년]](10량 15편성) || === 1차분 (2008~2009) === || [[파일:301편성.png|width=100%]] || [[파일:3호선_3028.jpg|width=100%]] || || {{{#white 서울메트로 시절 301편성}}} || {{{#white 서울교통공사로 개편 후 328편성}}} || || [[파일:서울3호선내부.jpg|width=100%]] || [[파일:20190213_155634.jpg|width=100%]] || || {{{#white 차량 내부}}} || {{{#white 출입문 상단 LCD 모니터}}} || *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01~315편성 (총 15편성) *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321~333, 336~340, 349편성 (총 19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현대로템]] [[IGBT]](IPM)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322~333, 336~340, 349편성은 [[2009년]] 제작이며 차내 전등이 LED 조명으로 되어 있다. || [[파일:attachment/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SM3VF.png|width=100%]] || [[파일:attachment/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SM3VF2.png|width=100%]] || ||<-2> 도입 초창기의 계획 문서. 이 당시에는 직교류 겸용 편성이 혼재되어 있다. || 1983~[[1984년]]에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구형 전동차]] 330량 33개 편성의 대체 및 오금 연장 대응분(349편성) 10량 1개 편성을 도입하기 위해 신차 도입 계획이 세워졌는데, 이 중 일부를 4호선 차량으로 활용하고자 110량 11개 편성을 직교류겸용으로 도입한 방안이 계획되어 있다. 4호선에 신조 차량을 도입하고, 기존의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일부는 2~3호선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하지만 직류전용에 ATC 단일 신호 체계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직교류겸용에 ATC/ATS 복합 신호 체계를 사용한 차량은 그만큼 단가가 훨씬 더 비쌌고, 정작 4호선 전체를 대체하지는 못하는데다 한 차량사업소에서 관리해야 할 차량 종류만 더 많아지는 등 관리에 어려움이 뒤따르면서 이 계획은 결국 무산되고 340량 전체가 3호선으로 도입되는 것으로 결정됐다. 직류전용 차량은 26개 편성, 직교류겸용 차량은 21개 편성으로 총 470량이 재적되어 있다. 직교류겸용 차량을 전부 4호선으로 보내더라도 10개 편성이 모자란 셈이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1년 앞서 도입됐던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과 비슷하지만 노선 사정에 맞게 ATC 차량으로 도입됐다. 또한 차량 외벽에 2호선 VVVF 2차분 차량에는 없는 비드도 다시 생겼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와는 달리 모두 광폭형 대차분이라서 초퍼 차량의 부수 객차가 없다. 기존의 [[빨간색]] + [[남색]] 조합을 칠했던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와는 달리 처음부터 3호선 노선 색상인 주황색 디자인에 맞추어 주황색 도색으로 반입됐다. 그리고 또 초퍼제어 전동차들과 다른 점들은 창문들이 썬팅이 되어 나왔으며, 노약자석을 제외한 일반석의 창문은 일체형 통유리로 나왔다는 점이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과는 모든 점들이 같은 형제기로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지만, LED 전자 노선도 대신 종이 노선도와 LCD 모니터가 붙어있는 형태로 바뀌었다. 차량 내부 중앙 천장의 LCD TV도 기존 2호선 2차분까지는 4:3 화면 비율의 구형 모니터가 장착됐으나, 이 차량부터는 [[2020년]] 현재도 널리 장착된 16:9 화면 비율의 HDTV 모니터가 처음으로 장착됐다. 또한 영상의 내용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과 달리 많이 다양해졌다. 다만 정차역과 내릴 문 안내는 기존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하단의 1줄 자막으로 안내한다. 양사 통합 전은 출입문 LCD에 [[서울메트로]]의 마스코트인 지하철 요정을 띄워 놓았다. 3호선의 주황색 요정뿐만 아니라 1~4호선의 4명이 모두 나왔다. 시트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 차량과 마찬가지로 난연재 모켓 시트를 적용하여 승차감이 좋아졌다. 시트는 전체적으로 [[회색]] 톤이며 한 자리씩 [[노란색]] 시트가 들어가 있다. (구)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 중에서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와 함께 [[자전거#s-17.1]] 선율의 [[뮤직혼]]을 가지고 있다. 이 차량들에 대한 호평이 상당히 많다. [[2023년]] 기준으로 운행을 시작한지 13~14년가량 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잔고장도 없고 관리 상태도 매우 뛰어나 아직도 신차같다는 것이 대다수의 의견이다. 다만 차체 측면의 비드가 있는 점으로 인해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 [youtube(slRa3zvZt1s)] || [youtube(p8vVpA6tmLY)] || || {{{#white 변경된 노선도 쪽 LCD 모니터}}} || {{{#white 새로 개정된 LCD 안내기 표출 방식}}} || [[2017년 5월]] [[서울교통공사]] 출범 후, [[2017년 12월]] 말부터 천장에 달린 LCD 모니터에 역번호가 뜨기 시작했으며, 일부 차량의 노선도 쪽 LCD 모니터의 로고가 변경됐다. LCD 안내기에 뜨는 안내문도 [[2018년 7월]]까지 모두 바뀌었다. [[https://cafe.daum.net/kicha/ANj/34814|시운전 당시 LCD 모니터 표출 사진]] (출처: 다음 카페(Rail+ 철도동호회)) [[2018년]]에 출입문 닫힘 안내방송에 5~8호선에서 사용되는 멜로디가 추가됐다. [[2020년]] 중반부터 현재 실내 형광등 교체가 진행 중이다. 객실 내 전등 부분이 [[흰색]]으로 덮여있는 경우 LED 차량이다. 337~340, 349편성이 이에 해당한다. 301~309, 315편성은 LED 형광등으로 교체했고 310~314, 321~333, 336편성은 형광등이 일부가 붉은감이 돈 백색으로 되어있다가 [[2022년]]도에 전체가 주광색(흰색)으로 교체됐다. [[2020년 12월]]부터 차내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됐으며 추후 확대 설치되어 운용될 예정이다. 302편성은 [[2021년 5월]]에 지축차량기지에서 차단막 추돌에 의하여 휴차됐다가 4개월 만인 [[9월]]에 운행을 재개했다. 337~340편성, 349편성은 손잡이가 한 줄에 12개로, 다른 종류의 열차보다 손잡이가 많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301~315, 321~330편성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됐으며, 추후 남은 차량들의 전조등도 LED로 교체될 예정이다. 313편성은 [[지축차량사업소]]에서 KTCS-M으로 개조가 된 상태다. 313편성은 KTCS-M 영업운전으로 [[2023년]] [[8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S3506-3507로 운행한다. [[2023년]] [[여름]]에 CCTV가 설치되었다. === 2차분 (2021~2022)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35편성갑종.jpg|width=100%]]}}}|| ||<-2> {{{#white D335편성}}} || || [[파일:D3044.jpg|width=100%]] || [[파일:D3942.jpg|width=100%]] || || {{{#white 차량 내부}}} || {{{#white 출입문 상단 LCD 모니터}}}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e8moFNZmkA, width=100%, align=center)]}}} || ||<-2> {{{#white 서울교통공사 공식 영상}}} || *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ef7c1c D316~D320편성}}} (총 5편성) *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ef7c1c D334~D335, D341~D348편성}}} (총 10편성) * 제작사: [[다원시스]] * 제어방식: [[다원시스]] [[IGBT]][* KEC 소자 기반]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6석-6석-6석-3석 [[2014년]] 중반 즈음, 서울시에서 2호선 개조저항 차량 24량, 07~08년산 VVVF 2차분 차량에 있는 초퍼 부수 객차 22량과 함께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3호선 잔존 GEC 초퍼 차량]] 150량의 대체분을 [[2022년]]까지 대체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30740|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제조 업체는 2~3호선 모두 [[다원시스]]로 낙찰됐다. 이미 [[다원시스]]가 수주한 2호선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될 예정이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4225718|「다원시스, 1408억원 규모 전동차 구매공급 낙찰」]], 이데일리, 2018-10-16] 초기 디자인 역시 2호선 3차분과 동일했으나[* [[https://blog.naver.com/elqkdmffj/221583479297|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2019년]]에 이들의 새로운 디자인에 대해 [[경복궁역]]에서 투표를 받았다. 최종적으로 내부 및 외부 전부 1안으로 확정됐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89063|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2019년 12월]], 해당 차량의 목업이 위와 같이 공개됐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3, 5차분과는 형제기로, 디자인과 신호장치를 제외하면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다. [[2020년 3월]]부터 반입될 예정이었으나, [[다원시스]]의 사정으로 반입이 무기한 지연이 되어 [[2021년]] 1분기 내로 초도분 편성의 반입이 연기됐다. 반입이 늦어진 이유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부품 수급과 인력부족 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2020년]] 중반기부터 퇴역 예정이었던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구형 초퍼제어 전동차]]들도 퇴역 시기가 2021~[[2022년]]으로 미뤄지게 됐다. [[2020년 12월]] 초도편성인 D316편성 모습이 유출됐다. 공장에서 있다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102384|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2021년]] [[3월 2일]] #5252 김천발 노령행으로 성능 시운전을 위해 [[다원시스]] 정읍공장 쪽으로 갑종회송됐다.[* [[https://blog.naver.com/990104ms/222262206544|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목업과 편성번호 숫자 글꼴이 다른데, 2호선 4차분의 에어컨 슈트락에 적용된 글꼴과 같은 글꼴이다. 디자인은 [[우진산전]]에서 제작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W501~W525편성),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5차분(W701~W717편성),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3차분(W821~W829편성)과 비슷하다. 다만 등화류가 극단적으로 얇아진 채 띠 주변을 감싸는 형태라서 전조등이 켜져있지 않을 때는 눈에 띄지 않는다. 1차분과 디자인을 비교하면 가장 눈에 띈 점은 바로 노약자석의 통유리 적용 유무다. 또한 ATO 출발버튼이 장착이 되어 나왔다. 추후 3호선에 ATO가 도입되면 사용할 듯 하다.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과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5차분 차량들과 비슷하게 차내 조도 향상과 휴대폰 무선충전기가 적용됐는데 5, 7호선 차량과는 달리 충전기가 4개가 달려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해당 차량들의 전체적인 품질 문제가 있어 한 동안은 영업운전에 차질이 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49415|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에만 다니고 있다가 [[3월]] 중순부터 평일 장다이아에도 투입되고 있으며 [[2022년]] [[4월 23일]] 부로 주말운행에도 투입됐다. [[2022년]] [[11월 16일]]에 전 편성이 운행을 시작했다. [[2022년 8월]], D334편성이 대차틀에 결함이 발생하여 시운전에 들어갔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영업운행에 투입됐다. 출입문 닫힘 방송이 처음은 "출입문 닫겠습니다."로 나왔다가 현재는 "출입문 닫습니다."로 바뀌었다. 이 차량들이 도입되면서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일부 남아있던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들이 순차적으로 폐차반출되기 시작했으며, [[2022년]] [[9월 30일]]을 끝으로 3호선 초퍼제어 전동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이 차량이 도입되면서 1차분 열차의 평시 운용 여건에도 다소 숨통이 트였다. 기존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가 노후화를 이유로 [[2015년]] 이후부터 출퇴근 시간대 구파발↔수서 운행 위주로만 투입한 탓에 평시에는 1차분 열차만으로 운용해 왔지만, 2차분 열차 도입 이후로는 평시에도 1~2차분 열차가 운행에 골고루 투입되고 있다. 출입문이 닫힐 때 나는 경고음이 상당히 크다. ||<-7>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fff5a0,#5f5500 노란색 바탕}}},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ffdbff,#330032 분홍색 바탕}}}이다. ||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D316''' || '''[[2021년]] [[6월 4일]]''' || '''[[2022년]] [[2월 14일]]''' || '''[[호남선]] [[노령역]]''' ||<|13> '''[[경부선]] [[영등포역]]''' ||<|15> '''[[시흥차량사업소]]''' || || {{{#ef7c1c '''D317'''}}} || '''[[2021년]] [[8월 12일]]''' || '''[[2022년]] [[4월 7일]]''' ||<|4> '''[[경부선]] [[김천역]]''' || || {{{#ef7c1c '''D318'''}}} || '''[[2021년]] [[9월 27일]]'''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83949|2022년 5월 27일]] || || {{{#ef7c1c '''D319'''}}} || 2021년 10월 29일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82374|2022년 5월 23일]] || || {{{#ef7c1c '''D320'''}}} || 2021년 8월 26일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66068|2022년 4월 11일]] || || '''D334''' || '''[[2021년]] [[8월 5일]]''' || '''[[2022년]] [[4월 18일]]''' || '''[[호남선]] [[노령역]]''' || || '''D335''' || '''[[2021년]] [[7월 5일]]'''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65006|2022년 4월 8일]] ||<|2> '''[[경부선]] [[김천역]]''' || || {{{#ef7c1c '''D341'''}}} || '''[[2021년]] [[8월 19일]]''' || [[:파일:97C5759C-6DF5-4CDD-8F1F-62AA242959DE.jpg|2022년 4월 12일]] || || '''D342''' || 2021년 10월 22일 || [[:파일:342debut.png|2022년 5월 24일]] || '''[[호남선]] [[노령역]]''' || || '''D343''' || 2021년 11월 29일 || [[:파일:343debut.jpg|2022년 5월 25일]] || '''[[경북선]] [[옥산역]]''' || || '''D344''' || 2021년 12월 29일 ||<|3>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98646|2022년 6월 29일]] || '''[[호남선]] [[노령역]]''' || || {{{#ef7c1c '''D345'''}}} || 2022년 2월 18일 ||<|4> '''[[경북선]] [[옥산역]]''' || || {{{#ef7c1c '''D346'''}}} || 2022년 2월 25일 || || {{{#ef7c1c '''D347'''}}} || 2022년 3월 24일 || '''[[2022년]] [[10월 20일]]''' ||<|2> '''[[경인선]] [[오류동역]]''' || || {{{#ef7c1c '''D348'''}}} || 2022년 3월 29일 || '''[[2022년]] [[11월 16일]]''' || == 기타 == || [[파일:3922.jpg|width=100%]] || || 자전거 전용 칸 || * 지축기지 소속 308~310, 316~320편성과 수서기지 소속 321~322, 334~335, 341~348편성은 자전거 전용 칸이 장착되어 있다. * 301편성은 [[2009년]] 최초 반입 후 초기 시운전 당시에 차량 이상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 다시 내려갔다가 현재는 정상 운행 중에 있다. * 도입 초기인 [[2009년]]~[[2010년]]에 출입문 경고음이 잘 들렸었으나, 나중에는 출입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들리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게 들리거나 심지어는 아예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2016년]]부터 경고음 볼륨을 조정하여 크게 들리도록 했다. * 차량 내부 스피커의 볼륨이나 전달력 자체는 큰 문제가 없으나 찢어지는 소리가 난다. 이는 형제 전동차인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이다. * 한때 일부 차량의 오금행 영문 표출이 "Ohgeum"으로 잘못 표출되었으나, 현재는 "Ogeum"으로 수정되어 표출되고 있다. * 304, 307~308편성은 한 때 일부 차량의 출입문이 한국철도공사 출입문으로 교체되어 운용 중에 있었다가, 현재는 서울메트로 출입문으로 다시 교체되어 운용 중에 있다. 307편성의 3107호 출입문 하나가 2호선 2차분 VVVF와 똑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찾을 수 있다. 또한 323편성의 3023~3223호도 다원시스제 출입문(서울교통공사 로고)으로 교체됐다. * 339편성은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 때문에 전소될 뻔한 차량이었다. 다만 초동 대처가 잘 된 덕에 인명피해도 없고 차량 피해도 크지 않았다. * 314편성과 330편성은 특이하게 바깥쪽 스피커 중 한쪽 면이 음질이 타 편성과 다르다. 두 번째 "출입문 닫습니다" 소리가 다른 편성에서는 바깥에서 크게 나면서 안으로 울리는 형태의 소리라면, 314편성, 330편성은 그냥 안에서 바깥으로 쫙 내뱉는 느낌이 난다. 특히 3514호와 3830호가 이렇게 소리가 난다. * 313편성은 [[2020년 3월]]에 지축차량기지에서 궤도 이탈 사고를 겪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001506|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 약 1개월간 휴차 후, [[2020년 4월]] 말부터 다시 본선운행에 복귀했다. * 302편성은 [[2021년 5월]]에 3902호가 지축차량기지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3051923|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 그 후 2개월만인 [[2021년 7월]] 중순, 3002호 또한 지축차량기지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했다. 시운전 도중 선로차단막을 뚫고 계속 운행했다고 한다. 사고 피해는 3902호보다 더 심했다. 지축차량기지와 지축승무소장은 이를 은폐하려 했다가 현직 승무원의 내부고발로 인하여 모두 발각되었고, 이로 인해 302편성의 휴차기간은 2달이 더 길어졌다. * 368부터는 한국철도공사가 사용중이라서, 350~367까지의 편성번호가 열차가 추가로 도입시 사용될 수 있다. === 랩핑열차 운행 === * 349편성은 2012년 7월 3549호 내부에 [[AOA(아이돌)|AOA]]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21편성은 2015년 중반기에 3921호 내부에 펀펀아트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21편성은 2016년 중반기에 3521호 내부에 [[코카콜라]]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22편성은 2017년 중반기에 3022호 내부에 [[G-DRAGON]]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09편성은 2017년 하반기에 3009호 내부에 [[귀향]]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21편성은 2018년 하반기에 3421호 내부에 [[요기요]]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02편성은 2018년 하반기에 3002~3302호 내부에 [[Wanna One]]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08편성은 2018년 하반기에 3408호 내부에 [[서울 우리카드 위비]]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 307편성은 2022년 하반기에 3307호 내부에 [[나이브스 아웃: 글래스 어니언]] 랩핑 열차로 운행됐다. [각주][include(틀:표절, version=159, source=위키백과)][[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전동차]][[분류:200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