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서울교통공사가 3호선에서 운행 했던 초퍼제어 전동차, rd1=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현황)] [include(틀:서울 지하철 전동차)] ||<-3>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ef7c1c,#cf580a '''서울교통공사 {{{+1 3000호대 VVVF 전동차}}}'''[br]Seoul Metro 3000 VVVF series}}}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호선_3028.jpg|width=100%]]}}} || ||<-3> 328편성 (1차분)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35편성갑종.jpg|width=100%]]}}} || ||<-3> 335편성 (2차분) || ||<-3> {{{#white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10량 1편성 || || '''생산량''' ||<-2> 490량 || || '''운행 노선'''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3호선|{{{#ef7c1c,#cf580a 수도권 전철 3호선}}}]] || || '''도입시기''' ||<-2> 2009~2010 / 2021~2022 || || '''제작사''' ||<-2> [[현대로템|[[파일:현대로템 CI.svg|width=150]]]][br][[다원시스|[[파일:다원시스 로고.svg|width=150]]]] || || '''소유기관''' ||<|2><-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50px]]]]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2> [[지축차량사업소]][* 301~320편성/중정비] / [[수서차량사업소]][* 321~349편성] || || '''차량번호''' ||<-2> 301~349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19950[*Tc차량]/19500[*나머지차량]㎜ || || '''전폭''' ||<-2> 3120㎜ || || '''전고''' ||<-2> 3750㎜ || || '''궤간''' ||<-2> 1,435㎜ [[표준궤]] || ||<|4> '''차중''' ||<-2> Tc: -t || ||<-2> M1: -t || ||<-2> M2: -t || ||<-2> T: -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운전보안장치''' ||<-2> [[웨스팅하우스|US&S]][* [[https://en.wikipedia.org/wiki/Union_Switch_%26_Signal|#]], [[https://en.wikipedia.org/wiki/Westinghouse_Air_Brake_Company|#]], [[https://www.koti.re.kr/component/file/ND_fileDownload.do?q_fileSn=3051&q_fileId=20120519_0003051_00050027|#]], [[https://blog.naver.com/seoulmetro01/120148658562|#]]] [[열차자동제어장치|ATC]] || || '''제어방식''' ||<-2> [[현대로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IPM)[*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br] [[다원시스]]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KEC 소자 기반이다.] || || '''동력장치''' ||<-2> [[삼상|3상]] [[교류(전기)|교류]] 농형 [[교류전동기#s-3.2.1|유도전동기]] || || '''제동방식''' ||<-2>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및 전기회생제동 || ||<|2> '''최고속도''' || 영업 || 80㎞/h || || 설계 || 110㎞/h || || '''가속도''' ||<-2> 3.0 ㎞/h/s || || '''MT 비''' ||<-2> 5M 5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고 있는 [[VVVF]] 제어 전동차. 3호선에서 가장 많은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그 숫자는 [[2008년]]~[[2009년]]에 도입된 1차분의 숫자만으로도 이미 3호선 전체의 절반을 넘길 정도로 상당히 비중이 높은, 3호선의 대표 주자이기도 하다.[* 아마 3호선을 타면 대부분 이 열차를 탈 것이다. 과거에 매우 흔했던 초퍼제어는 이제는 희귀해졌으며 그나마 남아있는 초퍼도 내구연한도 얼마 남지 않아 [[2022년]]까지 모두 교체될 것이고 코레일 3000호대 역시 [[2023년]] 안으로 같은 운명을 물려받을 것이다.] 1차분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과 디자인과 신호장치를 제외하면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다. 또한 [[E131계 전동차]]와 구동음이 비슷하다. 하지만 이쪽은 히타치 SiC이고, 여긴 미쓰비시 IGBT+현대로템 IPM이다. 2차분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3,5차분과 디자인과 신호장치를 제외하면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다. == 편성 == ||<-2> ↑ '''[[삼송역|{{{#ef7c1c,#cf580a 삼송}}}]]·[[대화역|{{{#ef7c1c,#cf580a 대화}}}]] 방면''' || || '''30##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 (2)''' || M1(추진제어장치(VVVF), IM) || || '''32## (3)''' || M2(팬더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 || '''33## (4)''' || T1(무동력객차) || || '''34## (5)''' || M2(팬더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 || '''35## (6)''' || T2(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6## (7)''' || T1(무동력객차) || || '''37## (8)''' || M1(추진제어장치(VVVF), IM) || || '''38## (9)''' || M2(팬더그래프, 추진제어장치(VVVF), IM) || || '''39## (10)'''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 '''[[오금역|{{{#ef7c1c,#cf580a 오금}}}]] 방면''' ||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지축차량사업소의 방향전환용 루프선, 수서차량사업소의 삼각선 때문이다. 수서차량사업소에서 수서역 출고선, 오금역 출고선, 3호선 본선을 합쳐 삼각선을 이루게 되어 오금출고-수서입고 또는 수서출고-오금입고 다이아로, 그리고 지축출고-오금입고-수서출고-지축입고 크로스다이아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두, 세 번째 다이아는 오금역에서 수서기지 입고 시 가락시장역 부근에서 평면 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첫 번째 다이아가 빈도수가 좀 더 높다. 과거 수서~오금 연장 개통 전 수서차량사업소는 삼각선이 없었기 때문에 수서기지 소속은 수서출고-지축입고 다이아로 운행 후 지축차량사업소의 루프선을 이용하여 방향전환 후 지축출고-수서입고 다이아로 운행하였다.] == 분류 == === 1차분 (2008~2009) === ||<-2> || || [[파일:301편성.png|width=100%]] || [[파일:20190220144402_IMG_3913.jpg|width=100%]] || || 서울메트로 시절 301편성 || 서울교통공사로 개편 이후 337편성 || || [[파일:서울3호선내부.jpg|width=100%]] || [[파일:20190213_155634.jpg|width=100%]] || || 내부 모습 || 노선도 쪽 LCD 모니터 || *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01편성~315편성 (총 15편성) *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321편성~333편성, 336편성~340편성, 349편성 (총 19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일반석 구조 : 7인석 322~333편성, 336~340, 349편성은 [[2009년]] 제작이다.[* 337~340, 349편성의 차내 전등은 LED 조명등으로 되어 있다.] || [[파일:attachment/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SM3VF.png|width=100%]] || [[파일:attachment/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SM3VF2.png|width=100%]] || ||<-2> 도입 초창기의 계획 문서. 이 당시에는 직교류 겸용 편성이 혼재되어 있다. || [[1984년]]~[[1985년]]에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구형 전동차]] 330량 33개 편성의 대체 및 오금 연장 대응분[* 해당 편성은 349편성] 10량 1개 편성을 도입하기 위해 신차 도입 계획이 세워졌는데, 이 중 일부를 4호선 차량으로 활용하고자 110량 11개 편성을 직교류 겸용으로 도입하는 방안이 계획되어 있다. 4호선에 신조 차량을 도입하고, 기존의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일부는 2~3호선으로 보내는 방식이다. 하지만 직류 전용에 ATC 단일 신호 체계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직교류 겸용에 ATC/ATS 복합 신호 체계를 사용하는 차량은 그만큼 단가가 훨씬 더 비쌌고, 정작 4호선 전체를 대체하지는 못하는데다 한 차량사업소에서 관리 해야 할 차량 종류만 더 많아지는 등 관리에 어려움이 뒤따르면서[* 직류 전용 차량은 26개 편성, 직교류 겸용 차량은 21개 편성으로 총 470량이 재적되어 있다. 직교류 겸용 차량을 전부 4호선으로 보내더라도 10개 편성이 모자라는 셈이다.] 이 계획은 결국 무산되고 340량 전체가 직류 전용의 ATC 신호 체계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3호선 신조분으로 도입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1년 앞서 도입되었던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과 비슷하지만 노선 사정에 맞게 ATC 차량으로 도입되었다. 또한 차량 외벽에 2호선 VVVF 2차분 차량에는 없는 비드도 다시 생겼다.[* 2호선 VVVF 4차분도 비드가 있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와는 달리 모두 광폭형 대차분이라서 4호차, 7호차의 부수 객차에 초퍼 차량의 부수 객차가 없다. 기존의 빨간색 + 남색 조합을 칠했던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와는 달리 처음부터 3호선 노선 색상인 주황색 디자인에 맞추어 주황색 도색으로 반입되었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과는 모든 점들이 같은 형제기로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지만, LED 전자 노선도 대신 종이 노선도와 LCD 모니터가 붙어있는 형태로 바뀌었다. 차량 내부 중앙 천장의 LCD TV도 기존 2호선 2차분까지는 4:3 화면 비율의 구형 모니터가 장착되었으나, 이 차량부터는 [[2020년]] 현재도 널리 장착되는 16:9 화면 비율의 HDTV 모니터가 처음으로 장착되었다. 또한 영상의 내용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과 달리 많이 다양해졌다. 다만 정차역과 내릴 문 안내는 기존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하단의 1줄 자막으로 안내한다. 시트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 차량과 마찬가지로 난연재 모켓 시트를 적용하여 승차감이 굉장히 좋아졌다. 시트는 전체적으로 회색 톤인데 각 줄마다 딱 한 자리씩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구)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 중에서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와 함께 [[자전거#s-17.1]] 선율의 [[뮤직혼]]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7호선 3차분 SR000호대에도 자전거 선율의 경적을 사용한다...] || [youtube(slRa3zvZt1s)] || [youtube(p8vVpA6tmLY)] || || 변경된 노선도 쪽 LCD 모니터 || 새로 개정된 LCD 안내기 표출 방식 || [[2017년 5월]] 서울교통공사 출범 이후, [[2017년 12월]] 말부터 천장에 달린 LCD 모니터에 역번호가 뜨기 시작했으며, 일부 차량의 노선도 쪽 LCD 모니터에 로고가 변경되었다. LCD 안내기 표출 문안 변경 설치가 [[2018년 7월]]에 모두 완료되었다. '''[[2018년]]'''에 출입문 닫힘 안내 방송에 5~8호선에서 사용되는 멜로디가 추가되었다. '''[[2020년]]''' 중반부터 현재 실내 형광등 교체가 진행 중이다.[* 객실 내 전등 부분이 흰색으로 덮여있는 경우 LED차량이다. 337~340, 349편성이 이에 해당.] 형광등을 교체한 열차는 실내가 이전보다 눈에 띄게 밝아졌다. [[2020년 12월]]부터 차내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었으며 추후 확대 설치되어 운용될 예정이다. 일부 객차에는 측면 LED 행선판이 현재 작동되지만 안전문이 전 구간에 설치됨에 따라 [[2021년 5월]] 이후로 1호차와 10호차를 제외한 측면 LED 행선판 전원 소등 후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지축소속 전 차량에 부착되었다. 추후 수서소속 전 챠량도 측면 LED 행선판 전원 소등 후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될 예정이다. 302편성은 [[2021년 5월]]에 지축차량기지에서 차단막 추돌에 의하여 휴차되었다가 4개월만인 '''[[9월]]'''에 운행을 재개하였다. 현재도 단다이아로만 운행하고 있다. 일부 열차는 손잡이가 한 줄에 12개로, 다른 종류의 열차보다 손잡이가 많다. [[2022년 1월]] 기준으로 321~325편성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으며, 추후 전 차량의 전조등도 LED로 교체가 될 예정이다.(2호선 1~2차분처럼 모두 교체하기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313편성은 [[지축차량사업소]]에서 KTCS-M으로 개조가 된 상태다. === 2차분 (2021~2022) === || || || [[파일:335편성갑종.jpg|width=100%]] || || 335편성 || *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16편성~320편성 (총 5편성) *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334편성~335편성, 341편성~348편성 (총 10편성) * 제작사: [[다원시스]] * 일반석 구조 : 6인석 2014년 중반 즈음, 서울시에서 2호선 개조저항 차량 24량, 07~08년산 VVVF 2차분 차량에 있는 초퍼 부수 객차 22량과 함께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3호선에 남아있는 GEC 초퍼 차량]] 150량의 대체분을 2022년까지 대체한다는 [[http://m.dcinside.com/view.php?id=train&no=1030740|계획을 수립]]했다. 제조 업체는 2~3호선 모두 [[다원시스]]로 낙찰되었다. 이미 다원시스가 수주한 2호선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될 예정이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225718|#]] [[https://blog.naver.com/elqkdmffj/221583479297|초기 디자인 역시 2호선 3차분과 동일했으나]] 이후 2019년에 해당 차량의 새로운 디자인은 경복궁역에서 투표를 받았다. 최종적으로 내부 및 외부 전부 1안으로 확정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in/1089063|#]] 그 이후 2019년 12월, 해당 차량의 목업이 위와 같이 공개되었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3, 5차분과는 형제기로 디자인과 신호장치를 제외하면,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다. 2020년 3월 이후로 반입될 예정이었으나, [[다원시스]]의 사정으로 반입이 무기한 지연이 되어 2021년 1분기 내로 초도분 편성의 반입이 연기되었다.[* 반입이 늦어진 이유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부품 수급 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2020년 중반기부터 퇴역 예정이었던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구형 초퍼제어 전동차]]들도 퇴역 시기가 2021년~2022년으로 미뤄지게 되었다. 2020년 12월 초도편성인 316편성 모습이 유출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102384?page=3|공장에서]] 있다가 2021년 3월 2일 #5252 김천발 노령행으로 성능 시운전을 위해 [[https://blog.naver.com/990104ms/222262206544|다원시스 정읍공장 쪽으로 갑종회송]] 되었다. 목업과 편성번호 숫자 글꼴이 다른데, 2호선 4차분의 에어컨 슈트락에 적용된 글꼴과 같은 글꼴이다. 디자인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과 비슷하다.[* ABB GTO차량 대차분.] 다만 등화류가 극단적으로 얇아진 채 띠 주변을 감싸는 형태라서 전조등이 켜져있지 않을 땐 눈에 띄지 않는다.[* 이렇게 전두부 띠를 중심으로 등화류를 디자인한 유사 사례로는 [[일본]] [[도쿄 메트로]]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히비야선]]의 [[도쿄 메트로 13000계 전동차|13000계 전동차]]가 있다. ] 제작사 다원시스의 사정으로 전동차들의 제작 및 반입이 지연되었으나, 시간이 조금 지나서 다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초퍼 차량의 대차를 서두르기 위해서인지 반입되는 족족 시운전에 투입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4차분들과 비슷하게 차내 조도 향상과 휴대폰 무선충전기가 적용되었는데 5호선 차량과는 달리 충전기가 4개가 달려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해당 차량들의 전체적인 품질 문제가 있어 한동안은 영업운전에 차질이 있었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49415|관련 글]] 하지만 [[https://youtu.be/Z6bkNHx0oVI|#]] 출퇴근 시간대에만 다니고 있다가 3월 중순부터 평일 장다이아에도 투입되고 있으며 4월 23일 부로 주말운행에도 투입이 되었다. * 2021년 6월 4일 초도 편성인 316편성이 갑종회송으로 올라왔다. * 2022년 3월 29일 마지막 편성인 348편성까지 갑종회송으로 올라오면서 전 편성이 반입완료되었다. ||<-7>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분홍색 바탕,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전동차는 노란색 바탕이다. ||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자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ef7c1c,#cf580a 316}}}''' || 2021년 6월 4일 ||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45694|2022년 2월 14일]] || [[호남선]] [[노령역]] ||<|13> [[경부선]] [[영등포역]] ||<|20> [[시흥차량사업소]] || || '''{{{#ef7c1c,#cf580a 317}}}''' || 2021년 8월 12일 ||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64679|2022년 4월 7일]] ||<|4> [[경부선]] [[김천역]] || || '''{{{#ef7c1c,#cf580a 318}}}''' || 2021년 9월 27일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83949&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318&page=1|2022년 5월 27일]] || || '''{{{#ef7c1c,#cf580a 319}}}''' || 2021년 10월 29일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282374&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319&page=1|2022년 5월 23일]] || || '''{{{#ef7c1c,#cf580a 320}}}''' || 2021년 8월 26일 ||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66068?page=2|2022년 4월 11일]] || || '''{{{#ef7c1c,#cf580a 334}}}''' || 2021년 8월 5일 || 2022년 4월 18일 || [[호남선]] [[노령역]] || || '''{{{#ef7c1c,#cf580a 335}}}''' || 2021년 7월 5일 ||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65006|2022년 4월 8일]] ||<|2> [[경부선]] [[김천역]] || || '''{{{#ef7c1c,#cf580a 341}}}''' || 2021년 8월 19일 || [[https://namu.wiki/w/%ED%8C%8C%EC%9D%BC:97C5759C-6DF5-4CDD-8F1F-62AA242959DE.jpg|2022년 4월 12일]] || || '''{{{#ef7c1c,#cf580a 342}}}''' || 2021년 10월 22일 || [[https://namu.wiki/w/%ED%8C%8C%EC%9D%BC:342debut.png|2022년 5월 24일]] || [[호남선]] [[노령역]] || || '''{{{#ef7c1c,#cf580a 343}}}''' || 2021년 11월 29일 || [[https://namu.wiki/w/%ED%8C%8C%EC%9D%BC:343debut.jpg|2022년 5월 25일]] || [[경북선]] [[옥산역]] || || '''{{{#ef7c1c,#cf580a 344}}}''' || 2021년 12월 29일 ||<|3>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98646|2022년 6월 29일]] || [[호남선]] [[노령역]] || || '''{{{#ef7c1c,#cf580a 345}}}''' || 2022년 2월 18일 ||<|4> [[경북선]] [[옥산역]] || || '''{{{#ef7c1c,#cf580a 346}}}''' || 2022년 2월 25일 || || '''{{{#ef7c1c,#cf580a 347}}}''' || 2022년 3월 24일 ||<|2> 2022년 7월 예정 ||<|2> [[경인선]] [[오류동역]] || || '''{{{#ef7c1c,#cf580a 348}}}''' || 2022년 3월 29일 || == 기타 == [[파일:3922.jpg|width=100%]] * 지축기지 소속 308~310편성과 수서기지 소속 321~322편성은 자전거 전용 칸이 장착되어 있다. * 301편성은 [[2008년]] 최초 반입 후 초기 시운전 당시에 차량 이상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 다시 내려갔다가 현재는 정상 운행 중에 있다. * 도입 초기인 2008~2009년에 출입문 경고음이 잘 들렸었으나, 이후 출입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들리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게 들리거나 심지어는 아예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2016년]]부터 경고음 볼륨을 조정하여 크게 들리도록 하였다. 근데 이번엔 매우크게 해놓았다. * 349편성은 [[2009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대차분이 아닌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오금역]] 연장으로 증차 도입되었다. * 차량 내부 스피커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 볼륨이나 전달력 자체는 큰 문제가 없는데, 트레블을 너무 높게 설정해 놓았는지 찢어지는 소리가 난다.[* 반면 구형 차량인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는 또 베이스(Bass)를 높게 설정해 놓았는지 멍멍한 소리가 난다.] 이는 형제 차량인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이며, 3~4차분에서는 해결이 되었으나 문제가 있는 차량들의 개수가 훨씬 많은 만큼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2호선 1~2차분의 스피커 개선작업이 실시중으로, 이 차량들도 곧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 한때 일부 차량의 오금행 영문 표출이 "Ohgeum" 으로 표출되었다가, 현재는 "Ogeum" 으로 수정되어 표출되고 있다. * 304, 307~308편성은 한 때 일부 차량의 출입문이 한국철도공사 출입문으로 교체되어 운용 중에 있었다가, 현재는 서울메트로 출입문으로 다시 교체되어 운용 중에 있다.[* 307편성의 3107호 출입문 하나가 2호선 2차분 VVVF와 똑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찾을 수 있다.]또한 328편성의 3928호도 다원시스제 출입문으로 교체됐다. * 339편성은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으로 인하여 전소될 위기를 맞은 적이 있다. 초동 대처가 잘 된 덕에 인명피해도 없었고 차량 피해도 크지 않았다. * 314편성과 330편성은 특이하게 바깥쪽 스피커 중 한쪽 면이 음질이 타 편성과 다르다. 두 번째 "출입문 닫습니다" 소리가 다른 편성에서는 바깥에서 크게 나면서 안으로 울리는 형태의 소리라면, 314편성, 330편성은 그냥 안에서 바깥으로 쫙 내뱉는 느낌이 난다. 특히 3514호와 3830호가 이렇게 소리가 난다. * 313편성은 [[2020년 3월]]에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001506|지축차량기지에서 궤도 이탈 사고를 겪었다.]] 약 1개월간 휴차 후, 2020년 4월 말부터 다시 본선운행에 복귀하였다. * 302편성은 [[2021년 5월]]에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3051923|3902호가 지축차량기지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하였다.]] 그 후 2개월만인 [[2021년 7월]] 중순, 3002호 또한 지축차량기지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했다. 시운전 도중 선로차단막을 뚫고 계속 운행했다고 한다. 사고 피해는 3902호 보다 더 심했다. --운전실을 2개 해먹다.-- === 특이사항 === * 349편성은 2012년 중반기에 3549호 내부에 [[AOA(아이돌)|AOA]]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정확히는 2012년 7월 말 이후 AOA가 첫 데뷔를 했을 때였다.] * 321편성은 2015년 중반기에 3921호 내부에 펀펀아트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 321편성은 2016년 중반기에 3521호 내부에 [[코카콜라]]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 321편성은 2018년 하반기에 3421호 내부에 [[요기요]]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 302편성은 2018년 하반기에 3002~3302호 내부에 [[워너원]]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 308편성은 2018년 하반기에 3408호 내부에 [[서울 우리카드 위비]] 랩핑 열차로 운행되었다. * 2010년 영화 [[부당거래]]에서 초반부 지하철씬이 1차분 VVVF 내부에서 촬영되었다. * 2019년 영화 [[기생충(영화)|기생충]]에 [[김기우]]([[최우식]])이 후반부에 전철을 탔을때 타던 차량이 1차분 VVVF 차량이다. 몇 편성인지는 불명. [각주][include(틀:표절, version=159, source=위키백과)]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전동차]][[분류:2009년 출시]] [include(틀:포크됨2, title=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d=2022-07-07 20: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