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하위 문서, top1=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현황)]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DefeatedNeedyLushCheese, 합의사항1=전국의 모든 광역·도시철도 중 운영사 혹은 정부 기관\, 시(市) 등의 관공서에서 직접 발표하지 않은 열차의 영문 명칭은 삭제한다. 광역철도나 도시철도가 아닌 경우 해당하지 않는다., 토론주소2=DefeatedNeedyLushCheese, 합의사항2=한문, 중문과 일문 역시 1과 동일한 규칙으로 적용한다., 토론주소3=DefeatedNeedyLushCheese, 합의사항3=단\, 운영사 혹은 정부 기관\, 시(市) 등의 관공서에서 열차의 외국어 명칭을 언급할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한 자료, 혹은 증거를 제시하고 해당한 언어에 한해 명칭을 추가할 수 있다., 토론주소4=DefeatedNeedyLushCheese, 합의사항4=3에 해당한 사례 중 해당 운영자가 다른 열차도 운영할 경우 국문 명칭이 숫자 이외에 모두 동일한 열차 문서에 한해 다른 열차 문서도 해당 언어 명칭을 추가할 수 있다.)] [include(틀:서울 지하철 전동차)] ||<-3>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936fb1 '''서울교통공사 {{{+1 5000호대 전동차}}}'''}}} ||}}} || ||<-3> [[파일:579편성.jpg|width=100%]]|| ||<-3> {{{#996cac 579편성}}}(3차 도입분) || ||<-3> {{{#white '''차량 정보'''}}} || || {{{#996cac '''열차 형식'''}}} ||<-2>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996cac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996cac '''편성'''}}} ||<-2> 8량 1편성 || || {{{#996cac '''생산량'''}}} ||<-2> 640량[* '''[[2020년 5월]]중 {{{#936fb1 518편성}}} 영구휴차'''로 632량 운행중] || || {{{#996cac '''운행 노선'''}}} ||<-2>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5호선|{{{#996cac 수도권 전철 5호선}}}]] || || {{{#996cac '''도입시기'''}}} ||<-2> 1994~1996년 (1~2차) [br] 2018년 (3차) [br] 2021~2023년 (4차) [br] 2024~2025년 (5차) [br] 2026~2027년 (6차) || ||<|4> {{{#996cac '''제작사'''}}} ||<-2> [[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90%]]]] (1~2차분) || ||<-2> [[현대로템|[[파일:현대로템 CI.svg|width=90]]]] (3차분) || ||<-2> [[우진산전|[[파일:우진산전 CI_영문.svg|width=90]]]] (4차분) || ||<-2> [[다원시스|[[파일:다원시스 로고.svg|width=90]]]] (5차분) || || {{{#996cac '''소유기관'''}}} ||<|2><-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50px]]]] || || {{{#996cac '''운영기관'''}}} || || {{{#996cac '''차량기지'''}}} ||<-2>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 {{{#996cac '''501~517, 519~536, 577~580편성'''}}}] ^^중정비^^ [br]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996cac 537~576편성}}}] || || {{{#996cac '''차량번호'''}}} ||<-2> 501~580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19,500㎜ || || '''전폭''' ||<-2> 3,120㎜ || || '''전고''' ||<-2> 4,000㎜ || || '''궤간''' ||<-2> 1,435㎜ || ||<|4> {{{#996cac '''차중'''}}} ||<-2> TC: 30.9t || ||<-2> M1: 37.8t || ||<-2> M2: 33.7t || ||<-2> T: 29t || || {{{#996cac '''대차'''}}} ||<-2> 에어스프링 세브론 대차 || || {{{#996cac '''재질'''}}} ||<-2> 스테인리스 스틸 || || {{{#996cac '''급전방식'''}}} ||<-2> 직류 1500V || || {{{#996cac '''운전보안장치'''}}} ||<-2> [[웨스팅하우스|US&S]] [[열차자동제어장치|ATC]]/[[열차자동운전장치|ATO]] || || {{{#996cac '''제어방식'''}}} ||<-2> [[ABB]] [[VVVF]]-[[GTO(반도체)|GTO]] [br] --[[다원시스]] [[VVVF]]-[[IGBT]][* 502편성]-- [br] [[현대로템]] [[VVVF]]-[[IGBT]](IPM)[* [[미쓰비시그룹|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 [br] [[도시바]] [[VVVF]]-[[IGBT]] || || {{{#996cac '''동력장치'''}}} ||<-2> [[삼상|3상]] [[교류(전기)|교류]] 유도전동기 (1~3차분)[br]도시바제 완전밀폐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4차분) || || {{{#996cac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996cac '''최고속도'''}}} ||<-2> 영업: 80㎞/h[* 유일하게 하저터널 구간의 최고속도가 90km/h 였으나 현재는 안전상의 문제로 80km/h 로 제한.] [br] 설계: 100㎞/h || || {{{#996cac '''가속도'''}}} ||<-2> 3.0 ㎞/h/s || || {{{#996cac '''감속도'''}}} ||<-2> 상용:3.5 ㎞/h/s [br] 비상:4.5 ㎞/h/s || || '''MT 비''' ||<-2> 4M 4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5호선]]에서 운행된 차량. 원래 80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으나, {{{#936fb1 518편성}}}은 차량고장으로 휴차처리되어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에 유치되있으며, 현재 운행중인 열차는 80개 편성이다. 휴차 사유는 아래에서 참조. M1차에 SIV, M2차에 CM(주공기압축기)이 있는게 특징.''' 현재 국내 [[VVVF]] 차량 중 유일하게 1C 8M방식 제어를 사용하는 차량으로써,[* '''단, {{{#936fb1 502편성}}}은 소자교체와 함께''' 1C 4M방식 [[VVVF]]로 개조되었다.] 이와 맞물려 까다로운 인버터 구조와[* 인버터가 모듈 형태로 되어있어 한 모듈에 U, V, W상이 모두 들어있다. 또한 강제냉각 방식을 사용하나 먼지가 끼기 쉬운 구조라 문제가 많다.] 부품 수급문제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차량이다. [[카더라]]처럼 도는 이야기로 검수 시에 도저히 해결책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가 우연히 한국에 체류하던 스위스 기술자를 극적으로 불러 해결했단 일화가 있다. '''5호선의 경우 용어가 다른 노선의 전동차와 상이하다.''' == 편성 == ||<-2> {{{#936fb1 ↑ '''하남검단산, 마천'''}}} || || {{{#936fb1 '''51##'''}}} || Tc(축전지) || || {{{#936fb1 '''52##'''}}} || M1(팬터그래프, ACM, L/B, MIM(주인버터모듈), AIM(보조인버터모듈) || || {{{#936fb1 '''53##'''}}} || M2(CM) || || {{{#936fb1 '''54##'''}}} || T1(무동력객차) || || {{{#936fb1 '''55##'''}}} || T2(무동력객차) || || {{{#936fb1 '''56##'''}}} || M1(팬터그래프, ACM, L/B, MIM(주인버터모듈), AIM(보조인버터모듈) || || {{{#936fb1 '''57##'''}}} || M2(CM) || || {{{#936fb1 '''50##'''}}} || Tc(축전지) || ||<-2> {{{#936fb1 ↓ '''방화'''}}} ||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뀐 경우도 있다.[* 오전, 저녁, 막차시간대에 마천역에 도착 후 고덕기지로 회송 입고하는 일부 열차들 때문이다. 이 열차들은 [[둔촌동역]]에 설치된 [[길동역]]으로 통한 [[길동삼각선]]을 타고 고덕기지로 들어가게 된다. 예를 들어 '''{{{#936fb1 501편성}}} 5101호 운전실'''에서 운전하여 [[마천역]]에서 고덕기지로 출발할 때, 501편성이 연결선을 통과하게 되면 5101호 운전실은 길동역의 하행선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길동역]]에 진입하는 순간 상선 방향 운전실이 5001호 운전실이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5호선 전동차도 앞뒤가 일부 변경된 것이다. 또한, 차륜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덕기지]]의 둘레에 있는 원 모양 레일(루프선)을 이용하여 선두칸의 방향을 바꾸기도 한다. 참고로 방화기지는 루프선이 없어서 방화소속 열차는 방화출고-마천발 고덕입고 다이어로 운행해서 방향전환하거나 방화출고-상일동발 고덕입고 다이어로 운행 후 [[고덕기지]]에 있는 루프선을 이용하여 방향전환 후 고덕출고-방화입고 다이어로 운행한다. 향후 [[하남선]]이 개통하면 고덕기지에서 상일동 본선+[[하남선]]/[[상일동역]] 출고선/[[미사역]] 출고선을 합쳐 삼각선이 이루어진다.] == 상세 == 롤지 방식의 [[행선기|행선지 안내기]]를 채용했던 기존 전동차와는 달리 도입될 당시부터 LED 방식 행선 안내판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한국 도시철도 차량중에선 최초다. [* (구)[[서울메트로]](당시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경우 '''[[1998년]] 반입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1호선 3VF]] 전동차'''부터 LED 행선기를 설치하고 나왔고 [[한국철도공사]](당시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의 경우 계속 롤지 필름을 쓰다가 8년이 지난 [[2003년]]에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분당선용 2세대 전동차]]부터 LED 행선안내기를 채택했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나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및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의 납작이가 안내용 LED 전광판을 천장에 달아 놨던 것과는 달리 출입문 위에 박아넣은 것도 특이한 점.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舊 서울도시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들이 [[서울메트로|舊 서울메트로]]나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보다 차고가 낮아 LED 전광판을 천장에 설치하기 어려운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 LED 전광판은 [[2010년]]부터 LCD 모니터로 교체되기 시작해 현재는 전 편성에 적용되어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로 전 편성의 내장재가 불연재로 개조되었는데, 문제는 (구.서울메트로) 전동차처럼 딱딱한 스테인리스 시트를 적용했단 것. 그러나, [[2010년]]에 전 편성의 안장 부분에 난연재 모켓 천을 덧씌운 작업을 완료하였다.'''[* 등받이 부분은 여전히 스테인리스 재질이다. 그러나 엉덩이가 닿는 안장에만 모켓 천을 씌워줘도 승차감은 하늘과 땅 차이.] == 분류 == === 1차 도입분 ([[1994년|1994.]][[12월 23일|12.23~]][[1995년|1995.]][[10월 12일|10.12]]) === ||<-2> || || [[파일:attachment/SMRT5000.jpg|width=100%]] || [[파일:SMRT5016.jpg|width=440]] || || {{{#white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시절 538편성}}} || {{{#white 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516편성}}} || || [[파일:1579706994008.jpg|width=100%]] || [[파일:1580264456504.jpg|width=100%]] || || {{{#white '''501편성'''}}} (5101호) || {{{#white '''505편성'''}}} (5005호) || ▲서울교통공사 개편 이후 *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 배속: {{{#936fb1 '''501~536편성'''}}} (총 36개 편성) '''[[2023년 5월]] {{{#996cac 501~512, 516, 518, 521~523편성}}}은 퇴역했다.''' *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배속: {{{#936fb1 '''537~546편성'''}}} (10개 편성) * '''제작사: [[현대정공]]''' '''강동 구간(왕십리-상일동), 거여 구간 (마천지선), 강서 구간(방화-까치산)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1994년]] [[12월 23일]] 첫 도입을 시작으로 [[1995년]] [[10월 12일]]까지 반입되었다.''' '''초기 27개 편성의 경우 당시 5호선 전 구간의 노반이 완공되지 않은 상태여서 전동차 반입과정이 다소 까다로웠는데, [[금정역]] - 4호선 - [[충무로역]] 연결선을 거쳐 3호선 [[수서역]]에서 향후 연장을 대비해 탄천까지 건설된 터널구간까지 열차를 끌고온 후, 크레인으로 수직공으로 들어올렸다.''' '''{{{#936fb1 518편성}}}은 [[2017년]] 대차 결함 및 핵심 부품의 중고장으로 인해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에 휴차처리되었으며, [[2020년]] [[5월 24일]]에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에서 정비를 받고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로 가던 중 [[발산역]]에서 [[발산역 전동열차 탈선 사고|큰 규모의 탈선 사고]]'''를 냈다.[*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16, 465편성]]도 같은 사유로 휴차되었으며, 현직자 말씀으론, 대차 프레임 하나하나가 주문제작, 즉 비스포크 형식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전동차 전두부 처럼 다시 찍어낸 만큼 추가 비용이 더 소모되므로 불가피하게 휴차가 결정되었으나, 사실 핵심부품의 문제가 더 크다. 대차는 용접으로 수리해서 운행이 가능하지만 인버터장치 등 중요한 핵심부품도 고장났는데 그 핵심부품 수급이 너무 어려워서 운행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알다시피 5호선 열차의 핵심부품 구하기와 관리법은 까다롭고 매우 어렵다.][* 현재는 '''[[방화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에 유치되어 있다. {{{#936fb1 502편성}}}도 추진제어장치 문제로 방화기지에 유치 이력이 있으나, [[다원시스]] [[IGBT]] 소자 교체 후 운행중이다.'''] '''{{{#936fb1 529편성}}}은 [[2018년 6월]]에 발생한 화재로 5029호가 사용 불능 상태가 되어, 5018호와 트레이드해 정상 운행중이다.''' '''{{{#936fb1 501~521편성}}}의 경우 차체의 옆 부분이 무광으로 되어 반입되었고, {{{#936fb1 522편성}}}'''부터 2차분 차량, 그리고 6~8호선 스테인리스 차량까진 모두 차체 옆 부분이 유광으로 되어 있다.[* [[서울메트로]] 차량 중에서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215편성]]이 최초다.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301편성]]은 비드가 있으면서 옆 부분이 유광으로 되어있는 차량이다. 하지만 한국철도공사는 주둥이에도 측면 무광+비드가 있다.] '''{{{#936fb1 529편성}}}의 5029호(유광)와 {{{#936fb1 518편성}}}의 5018호(무광)'''의 객차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때문에 {{{#936fb1 '''529편성'''}}} 5029호의 측면차호 스티커는 타 편성과 약간 다르게 보라색이 조금 더 진하며, 편성 각인블록 역시 5029의 '29' 부분이 땜질한 흔적이 눈에 띈다.] '''도입 당시엔 반개폐식 창문이 적용됬으나, 후에 통유리로 변경됐다(단, 노약자석은 같은 반개폐식 창문으로 교체). 그래서 외형상으론 2차분과 구별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전면부의 행선 안내기가 2차분에 비해 작고 운전실 출입문 도색이 갈라져 있으며 출입문 내부 무늬가 다이아몬드형 무늬인 것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측면 차호의 각인이 [[보라색]]이고, 5101호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된 {{{#996cac 501편성}}}과, 추진제어장치를 교체한 {{{#996cac 502편성}}}, 그리고 자전거 거치대가 있는 {{{#996cac 536~538편성}}}이 여기에 해당된다. 단, {{{#996cac 506, 509, 513편성}}}의 일부 출입문은 2차분 {{{#996cac 550편성}}}의 것이다.''' [[2022년 2월]], {{{#996cac 501편성}}} [[2022년 3월]], {{{#996cac 502, 504~505편성}}} [[2022년 4월]], {{{#996cac 503편성}}}의 [[폐차]]를 시작으로 점차 [[폐차]]가 진행되고 있다. 단 차량번호 순서가 아닌, 가장 상태가 좋지 못한 순서로 진행된다. 결함으로 인하여 [[폐차]]한 {{{#996cac 518편성}}}을 제외해도 실제로 {{{#996cac 501편성, 502~505편성}}} 이후 다음 [[폐차]] 대상으로 [[2022년 5월]]까지 {{{#996cac 506편성}}}, [[7월]]에 {{{#996cac 507, 509, 511편성}}} -> [[2022년 10월]] {{{#996cac 508, 512편성}}} -> [[2023년 3월]] {{{#996cac 510, 523편성}}} -> [[2023년 4월]] {{{#996cac 522편성}}} -> 516, 521편성이 진행됐다. 이건 7호선 측도 마찬가지다. '''{{{#996cac 538편성}}}은 객실 내부에 [[CCTV|영상보안용 카메라 모듈]]이 시범으로 설치되어 있다.''' || [[파일:KakaoTalk_20200430_190719048_02.jpg|width=100%]] || [[파일:KakaoTalk_20200430_190719048_01.jpg|width=100%]] || || {{{#996cac '''521편성'''}}} (5121호) || {{{#996cac '''536편성'''}}} (5036호) || 일부 차량은 열번안내기나 행선안내기중 하나가 더 밝다. '''{{{#996cac 545편성}}}은 [[2016년]]에 일자리 테마 랩핑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으며, {{{#936fb1 544편성}}} 또한 [[2019년]] 치매예방 랩핑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5544호에 랩핑이 있다.] '''{{{#936fb1 530편성}}}도 [[2002년]]에 복돼지문화 랩핑열차 뿐만 아니라 함께 탄 열차, 봉축열차, 정정당당Korea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youtube(zr8Vj3mRCpk)] '''{{{#996cac 515편성}}} 5115호는 선로검측기를 부착했다. {{{#996cac 517편성}}}의 5117호는 검측장치가 막혀있는데 이는 예비용으로 검측장치를 작동하기 때문이다.''' '''{{{#996cac 539, 545편성}}}은 차호 스티커가 낮게 부착되어 있다.''' '''현존한 [[서울교통공사]] [[VVVF]] 열차들 중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다음으로 오래된 열차다.''' '''{{{#996cac 513~515, 517, 519~520, 524~525편성}}}의 경우 [[2023년]] 초까지 [[폐차]]될 예정이며, {{{#996cac 526~546편성}}}도 [[2025년|2025~]][[2026년]]까지 [[폐차]]예정이다. 5차분 차량의 시운전 기간까지 합치면 늦어도 [[2027년]] 상반기까지 운행할 수도 있다.''' '''{{{#996cac 535편성}}}의 5635호는 제동을 완해할 때 공기음이 다른 차량에 비해 특이하다.''' {{{#996cac 501~512, 516, 518, 512~523편성}}}은 현재 [[폐차]]되었다. || [[파일:SMAT5007.jpg|width=100%]] || [[파일:SMAT5013.jpg|width=100%]] || || {{{#white 507편성 (5007호)}}} || {{{#white 513편성 (5013호)}}} || '''[[2019년 12월]], [[하남선]] 연장 대비 서울 지하철 5호선 1~2차분 전 차량을 개량하였는데, 이중 {{{#996cac 501~510편성}}}의 안테나는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2세대|부산 1호선 신조차량]]과 같은 모델로 개조되었다. {{{#996cac 511편성}}}부터 2차분 {{{#996cac 576편성}}}까진 우측의 안테나([[서울교통공사 2000 VVVF 전동차|2호선의 4차분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호선의 3차분 전동차]]와 같은 모델)로 개조되었다.''' === 2차 도입분 ([[1996년|1996.]][[2월 16일|02.16~]][[8월 7일|08.07]]) === || [[파일:5호선_5055.jpg|width=100%]] || [[파일:kaigainikki9-5.jpg|width=100%]] || || {{{#white '''555편성'''}}} || {{{#white '''내장재 교체 이전 571편성 내부'''}}} || *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배속: {{{#996cac '''547~576편성'''}}} (총 30편성 240량) * '''제작사: [[현대정공]]''' '''2차 개통 구간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1996년]] [[2월 16일]]부터 [[8월 7일]]까지 반입되었다.''' '''전 구간 노반이 완성된 상태라 1차분에 비해'''[* 사실 1차분도 '''{{{#996cac 528편성}}}부턴 [[까치산역]]''' 연결선을 통해 반입되었다.] 차량 반입 과정이 약간 간결해졌으며, 전동차 반입은 국철 선로 - [[신설동역]] 연결선 - 2호선 - [[까치산역]] 연결선을 통하여 유치하였다. 모두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소속이며 [[하남선]] 연장분이 반입돼도 이들의 기지 소속이 바뀔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 1차 도입분과는 달리 처음부터 객실 창문에 통유리가 적용되었다(역시 노약자석 제외).'''[* 여담으로 2차분 도입 당시에도 이미 5호선의 소음 문제가 심각해서, 통유리 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모자라 이중창 유리를 적용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31600329121006&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6-03-16&officeId=00032&pageNo=21&printNo=15711&publishType=00010|1996년 기사]]] 그래서 1차 도입분과 외형상의 차이는 사실상 없다. 전면부의 행선 안내판이 1차 도입분에 비해 크고 출입문 내부 무늬가 전통 창살무늬 형[* 7~8호선 1차 도입분과 같다. 다만 '''{{{#936fb1 550, 573~574편성}}}'''의 경우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5073, 5374호의 출입문 중 하나가 다른 것과는 다르게 1차분 차량의 다이아몬드형 무늬 출입문이 붙어 있다.] 인 정도로 구별이 가능하다. {{{#996cac '''550편성'''}}} 일부 출입문은 1차분 것이고, {{{#936fb1 '''573~574편성'''}}}의 일부 출입문은 신조한 1차분 출입문이다. '''{{{#996cac 555편성}}}은 5555호 칸'''으로 유명하다.[* '{{{#996cac 555편성}}}'이라고 인터넷에 검색하면 대부분의 이미지가 5555호 사진이다.] '''{{{#996cac 560~561편성}}}은 [[자전거]]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다. {{{#996cac 567편성}}}의 5167호는 영문 행선판이 있지만 [[2018년 10월]] 현재 기존 행선판과 같은 것으로 개정되었다.''' '''또한 과거엔 {{{#996cac 574편성}}}의 5074호, {{{#996cac 575편성}}}의 5075호의 전조등'''이 중검수 중 실수가 발생하여[[https://m.blog.naver.com/yoochan_kang/221078320990|거꾸로 부착된 현상이 발생했으나]] 현재는 다시 정상 상태로 개정되었다.[* 위 블로그에서 5131 상일동행 열차의 사진이 당시 '''{{{#996cac 575편성}}}의 사진'''이다.] '''여담으로 내장재 불연재 교체 당시 76편성 모두 [[현대정공]] 패찰을 떼어내고 로템 패찰을 붙였는데, [[1994년|1994~]]1996년산을 구분 못 했는지 전부 1995년산으로 나와있다. 교체 전은 은색 바탕에 한자로 [[현대정공]]이라고 쓰인 패찰이 달려있다.''' '''{{{#996cac 566편성}}}은 [[2017년]]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폭발사고를 일으킨 적이 있지만 고덕기지에 휴차되었다가 또 다시 운행중이다.''' '''{{{#996cac 550, 552, 554, 556~557, 563, 567~568, 572, 574편성}}}은 차호 스티커가 낮게 부착'''되어 있다. '''{{{#996cac 547편성}}}은 [[2000년]]에 산타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996cac 547~551편성}}}이 [[2026년]] [[폐차]]될 예정이다.''' [[2026년|2026~]][[2027년]]까지 신형 전동차로 대체될 예정이다.[* 6차분 시운전 기간까지 합하면 못해도 [[2028년]]까지는 전부 교체될 예정이다.] === 3차 도입분 ([[2018년|2018.]][[4월 30일|04.30~]][[7월 5월|07.05]]) === || || || [[파일:5호선_5077.jpg|width=100%]] || || {{{#white '''577편성'''}}} || *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 배속: {{{#996cac '''R577~R580편성'''}}} (총 4편성 32량) * '''제작사: [[현대로템]]''' '''[[2019년 6월]] 개통한 [[하남선]] 연장 대비 증차분이다. {{{#996cac R577편성}}}부터 {{{#996cac R580편성}}}으로, 제조사는 [[현대로템]]. 1~2차분과 외형이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2기형 또는 2세대로도 불린대, 9호선의 [[서울시메트로 9호선 9000호대 전동차]]와 차량이 디자인의 바탕이 된 듯 하다. 1~2차분(1차분 539, 545편성, 2차분 550. 552, 554, 556, 557, 563, 567, 568, 572, 574편성 제외)에 비해 차호 스티커가 다 낮게 붙여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든 차량이 고덕차량기지 소속이다.''' 차량기지 포화 때문에 [[갑종회송]]이 지연되다가 '''[[2018년]] [[4월 30일]] {{{#996cac R577편성}}}이 도입되었으며,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로 배속 되었다. [[7월 5일]] 마지막 편성인 {{{#996cac R580편성}}}의 갑종회송을 마지막으로 모든 차량'''이 수도권내로 반입되었다. '''추진제어장치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4차분 전동차와 동일한 [[IGBT]]를 탑재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9월 20일]] 이후로 {{{#996cac R577편성}}}이 본선에서 시운전을 시작하여 [[2019년]] [[6월 17일]] [[하남선]] 1단계 개통이후 현재까지 단 1대도 정식 영업에 투입되지 않고 있으나, [[하남선]] 2단계 개통시에 정식 영업운행 투입이 유력하다고 한다.''' '''[[현대로템]]이 개발한 통합 신호 장치가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http://news1.kr/articles/3773638|#]] 이 통합 신호 장치는 [[ATC]]/[[ATO]]와 [[RF-CBTC]]를 모두 지원하여 5호선에 CBTC를 도입할 때 신호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진다. 6~8호선에서 운행도 가능하다. '''기사에서 내부가 공개되었는데 시트 무늬는 기존전동차와 동일하나 난연재 모캣시트로 바뀌어서 기대는 부분도 난연재 모캣 천으로 바뀌었다. 또한 비상사다리 설치와 출입문 위쪽에 달려 있던 LCD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2차분과 같은 천장형 LCD로 바뀌었다. 다만 역 이름, 출입문 안내는 기존의 LCD와 동일하고, 대신 내린 문 안내는 글자에서 화살표로 변경했다.''' [[http://gall.dcinside.com/train/977327|실차 외부 모습]] [[http://gall.dcinside.com/train/954345|실차 내부 모습]] [[http://blog.naver.com/jaddong31/221307319541|578편성 갑종 모습]] [[http://gall.dcinside.com/train/1017741|578편성 내부 모습]]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자''' || '''출발역''' || '''경유역''' || '''도착역''' || || '''R577''' || '''[[2018년]] [[4월 30일]]''' ||<|2> '''[[2021년]] [[3월 31일]]''' ||<|5> '''[[진해선]] [[신창원역]]''' ||<|5> '''[[경부선]] [[의왕역]]''' ||<|5>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 '''R578''' || '''[[2018년]] [[5월 15일]]''' || || '''R579''' || '''[[2018년]] [[6월 5일]]''' || '''[[2021년]] [[3월 30일]]''' || || '''R580''' || '''[[2018년]] [[7월 5일]]''' || '''[[2021년]] [[3월 29일]]''' || === 4차 도입분 ([[2021년|2021.]][[3월 21일|03.21~]][[2023년|2023.]][[2월 12일|02.12]]) === || [[파일:SMRTW5110.jpg|width=100%]] || || {{{#white '''W510편성'''}}} || *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 배속: {{{#996cac '''W501~W525편성'''}}} (총 25편성 200량) * '''제작사: [[우진산전]]''' '''1차 {{{#996cac W501~W525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될 차량이다. 총 25편성이 도입되며, [[우진산전]]에서 제작했다. [[2022년]]부터 투입 중인 [[수도권 전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7호선 전동차]]와 함께 제작되어 기술적 사양도 거의 차이가 없다.''' '''해당 전동차엔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2세대|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 2차분]]에 사용된 [[도시바]]제 [[PMSM]]이 들어갔다.'''[* 참고로 7호선 5차 도입분과 동일 사양이다.] '''특징으로는 출입문 측면에 2호선 3, 4차분처럼 LED 안내등이 달려있으며 기존 5~8호선에서 사용하던 출발 경고음에서 2~4호선에서 쓰인 폐문 경고음으로 변경됐다. 반면 차체 외부엔 도어 램프 없이 차외 스피커만 있다. 손잡이도 시내버스 및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2호선 4차분]]처럼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운행 초반은 출입문이 열릴 때도 경고음이 나온 적이 있으나 수정되어 현재는 송출되지 않는다. 또한 {{{#996cac 501, 507편성}}}의 교통약자석(노약자석)이 [[노란색]]으로, 나머지 편성은 [[하늘색]]으로 도장되어 있으나 현재는 전 편성 [[노란색]]으로 개조됐다.''' '''[[수도권 전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5차분]]처럼 마찬가지 맨끝과 가운데에 두 칸인 T차(TC, T1~T2)엔 노약자석 한 쪽이 휠체어석으로, 의자가 비어있다. 휠체어석 옆은 휴대폰 무선충전기가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객실 내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어 있다.''' '''객실 내부에서 본 출입문 디자인이 화투패 [[7월]]을 연상케 한다.''' '''디자인은 2호선 4차분, GTX A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Buro Staubach가 했다. [[2020년]]에 [[한국디자인진흥원]]으로부터 굿디자인상을 수상했다.''' '''서울 지하철 최초로 [[도시바]]제 PMSM을 수입 및 채용함에 따라 [[도시바]] 공식 홈페이지에 이화 관련한 공문이 업로드했다.''' 4호차와 5호차에 통로문이 설치되어 있지만 평소엔 작동 스위치를 수동에 두고 개방한 상태로 운행한다. {{{#996cac 515편성}}} 5115호와 {{{#996cac 525편성}}} 5125호는 선로검측장비가 탑재되었다. '''{{{#996cac W501편성}}}이 오송종합시험선에서 시운전하다가 [[2021년]] [[3월 21일]] 서울로 갑종회송됐으며, 동시에 {{{#996cac W502편성}}}이 철도종홥시험선으로 반입됐다가 [[4월 12일]] 서울로 갑종회송됐고, 이후 {{{#996cac W525편성}}}까지 반입이 완료됐다.'''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W501''' || '''[[2021년]] [[3월 21일]]''' || '''[[2022년]] [[1월 29일]]''' ||<|7> '''[[충북선]] [[오송역]]''' ||<|25> '''[[경부선]] [[의왕역]]''' ||<|25>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 '''W502''' || '''[[2021년]] [[4월 12일]]''' || '''[[2022년]] [[1월 30일]]''' || || '''W503''' || '''[[2021년]] [[4월 25일]]''' || '''[[2022년]] [[3월 22일]]''' || || '''W504''' || '''[[2021년]] [[5월 18일]]''' ||<|2> '''[[2022년]] [[2월 13일]]''' || || '''W505''' || '''[[2021년]] [[6월 27일]]''' || || '''W506''' || '''[[2021년]] [[7월 17일]]''' || '''[[2022년]] [[4월 26일]]''' || || '''W507''' || '''[[2021년]] [[8월 13일]]''' || '''[[2022년]] [[6월 14일]]''' || || '''W508''' || '''[[2021년]] [[9월 6일]]''' || '''[[2022년]] [[9월 1일]]''' ||<|2> '''[[충북선]] [[도안역]]''' || || '''W509''' || '''[[2021년]] [[11월 23일]]''' || '''[[2022년]] [[10월 4일]]''' || || '''W510''' || '''[[2021년]] [[12월 9일]]''' || '''[[2022년]] [[8월 9일]]''' || '''[[충북선]] [[오송역]]''' || || '''W511''' || '''[[2022년]] [[1월 3일]]''' || '''[[2022년]] [[10월 17일]]''' ||<|9> '''[[충북선]] [[도안역]]''' || || '''W512''' || '''[[2022년]] [[2월 5일]]''' || '''[[2023년]] [[1월 18일]]''' || || '''W513''' || '''[[2022년]] [[3월 14일]]''' || '''[[2023년]] [[2월 15일]]''' || || '''W514''' || '''[[2022년]] [[4월 4일]]''' || '''[[2023년]] [[7월 10일]]''' || || '''W515''' || '''[[2022년]] [[4월 29일]]''' ||<|11> 운행 예정 || || '''W516''' || '''[[2022년]] [[5월 23일]]''' || || '''W517''' || '''[[2022년]] [[6월 15일]]''' || || '''W518''' || '''[[2022년]] [[7월 16일]]''' || || '''W519''' || '''[[2022년]] [[8월 7일]]''' || || '''W520''' || '''[[2022년]] [[9월 25일]]''' ||<|3> '''[[충북선]] [[오송역]]''' || || '''W521''' || '''[[2022년]] [[10월 23일]]''' || || '''W522''' || '''[[2022년]] [[11월 15일]]''' || || '''W523''' || '''[[2022년]] [[12월 5일]]''' ||<|2> '''[[충북선]] [[도안역]]''' || || '''W524''' || '''[[2022년]] [[12월 12일]]''' || || '''W525''' || '''[[2023년]] [[2월 12일|2월 12~]]13일''' || '''[[충북선]] [[오송역]]''' || === 5차 도입분 ([[2024년|2024.]]~[[2025년|2025.]]) === || [[파일:5호선 5차 도입분 외부 선정작.jpg|width=100%]] || [[파일:5호선 5차 도입분 내부 선정작.jpg|width=100%]] || || 외부 최다투표작 || 내부 최다투표작 || *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 배속: {{{#996cac '''D526~D536편성'''}}} (총 11편성 88량) *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배속: {{{#996cac '''D537~D551편성'''}}} (총 15편성 120량) * '''제작사: [[다원시스]]''' '''{{{#996cac D526~D551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될 차량이다. [[2021년]] 8호선 90량과 동시에 발주하여 12월에 진행했고, 입찰 결과 [[다원시스]]가 납찰됐다.''' [[2022년]] [[9월 16일]]부터 22일까지 디자인 투표가 이루어졌다. 외내부 모두 3안으로 확정됐다. '''[[다원시스]]에서 제작하지만 8호선 4차분과 더 불어 [[도시바]]제 PMSM이 들어간다고 한다. [[우진산전]] 차량과 부품이 호환되도록 하여 정비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2023년]] [[3월 21일]], 이 차량의 목업 차량이 공개되었다.[* [[https://gall.dcinside.cpm/mgallery/board/view/?id=monorail/371136|관련 게시글]]]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D526''' || '''[[2024년]] 예정''' ||<|26> 도입 예정 ||<|26> 미정 ||<|26> 미정 ||<|11> '''[[고덕차량사업소|고덕차량기지]]''' || || '''D527''' ||<|24> '''[[2024년]][br][[2025년]] 예정''' || || '''D528''' || || '''D529''' || || '''D530''' || || '''D531''' || || '''D532''' || || '''D533''' || || '''D534''' || || '''D535''' || || '''D536''' || || '''D537''' ||<|15>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 || '''D538''' || || '''D539''' || || '''D540''' || || '''D541''' || || '''D542''' || || '''D543''' || || '''D544''' || || '''D545''' || || '''D546''' || || '''D547''' || || '''D548''' || || '''D549''' || || '''D550''' || || '''D551''' || '''[[2025년]] 예정''' || === 6차 도입분 ([[2026년|2026.]]~[[2027년|2027.]]) === *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배속: {{{#936fb1 '''552~576편성'''}}} (총 25편성 200량) * 제작사: 미정 '''2차 도입분의 {{{#936fb1 552~576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생산될 차량으로, 구매 계획만 수립'''되어 있는 상태다.[[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109298|#]]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에 발주되었다.[[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113142|#]] 이들의 도입이 완료되면 그와 동시에 2차분은 모두 [[현역]]에서 물러나게 된다. || '''편성''' || '''갑종회송일자''' || '''운행개시일''' || '''출발지''' || '''경유지''' || '''도착지''' || || {{{#996cac '''552'''}}} || '''[[2026년]] 예정''' ||<|25> 도입 예정 ||<|25> 미정 ||<|25> '''[[경부선]] [[의왕역]]''' ||<|25> '''[[방화차량사업소|방화차량기지]]''' || || {{{#936fb1 '''553'''}}} ||<|23> '''[[2026년]][br][[2027년]] 예정''' || || {{{#936fb1 '''554'''}}} || || {{{#936fb1 '''555'''}}} || || {{{#936fb1 '''556'''}}} || || {{{#936fb1 '''557'''}}} || || {{{#936fb1 '''558'''}}} || || {{{#936fb1 '''559'''}}} || || {{{#936fb1 '''560'''}}} || || {{{#936fb1 '''561'''}}} || || {{{#936fb1 '''562'''}}} || || {{{#936fb1 '''563'''}}} || || {{{#936fb1 '''564'''}}} || || {{{#936fb1 '''565'''}}} || || {{{#936fb1 '''566'''}}} || || {{{#936fb1 '''567'''}}} || || {{{#936fb1 '''568'''}}} || || {{{#936fb1 '''569'''}}} || || {{{#936fb1 '''570'''}}} || || {{{#936fb1 '''571'''}}} || || {{{#936fb1 '''572'''}}} || || {{{#936fb1 '''573'''}}} || || {{{#936fb1 '''574'''}}} || || {{{#936fb1 '''575'''}}} || || {{{#936fb1 '''576'''}}} || '''[[2027년]] 예정''' || '''[[2026년|2026~]][[2027년]] 이 차량들까지 교체되면, 5호선에서 [[ABB]] [[GTO(반도체)|GTO]] [[구동음]]은 더 이상 들을 수 없게 되고, [[2027년]]에 볼 수 없게 된다.''' == 기타 == [[1990년대]] 초반 당시 차량 디자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52100329213001&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05-21&officeId=00032&pageNo=13&printNo=13738&publishType=00020|#]] '''{{{#936fb1 506편성}}}은 [[2009년]] [[무한도전]]''' 지못미특집에 박명수와 정준하, [[정형돈]]이 [[여의도역|여의도]]에서 탑승한 모습으로 나온 적이 있다. '''{{{#936fb1 512편성}}}과 {{{#936fb1 574편성}}}은 영화 [[경의선(영화)|경의선]]'''에 등장했다. '''[[2012년]] [[1월 13일]] {{{#936fb1 502편성}}}에 한해 시범적으로 독일 인피니온 사의 [[IGBT]]를 이용하여 [[다원시스]]가 제작한 [[VVVF]]-[[IGBT]]''' 2레벨 인버터로 교체했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의 '''{{{#00a4e3 451편성}}}과 동일한 [[구동음]]'''을 낸다. 추가로 한 소음 하기로 유명한 또 다른 소자인 '''[[알스톰]] [[GTO(반도체)|GTO]]를 사용하였던 차량인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 중 {{{#00a4e3 466, 470~471편성}}}은 [[우진산전]] [[IGBT]]'''로,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중 201~210편성의 인버터가 인피니온 '''[[IGBT]]를 이용하여 [[우진산전]]'''이 제작한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여담이지만 이 특유의 [[구동음]] 탓인지 영상물에서 타 노선 전동차가 나와도 이 열차 또는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6호선 열차]]의 구동음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영화 [[튜브(영화)|튜브]]. 7호선이 나오는 장면에서 5호선 [[구동음]]이 나온다. 근데 반대로 영화 [[경의선(영화)|경의선]]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kIYGAZU9yzg|5호선에서 7호선 소리가...]] '''[[2021년]]''' 기준으로 차령이 25년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겉은 멀쩡하고 차량 상태도 깨끗한 축에 속한 등[*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신저항 차량이 퇴역 전까지 도색이 다 까진 상태로 운행했는 것을 보면 이 차량이 상당히 관리가 잘 돼 있단 걸 느낄 수 있을 정도.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하기 전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에서는 열차 관리를 정규직이 맡아왔기 때문에 관리가 잘 되어 있다.] 이같이 겉은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속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교통공사 4호선 전 차량]]'''과 마찬가지로 차체 프레임에서 슬슬 균열이 발견된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견되거나, 추진장치 또한 핵심 부품마저도 단종되었고, 특히 5호선 차량의 경우 추진장치가 타 노선에 비해 독특한 구조라 정비사들이 기피한 대상이라고 불릴 정도로 여러모로 문제가 많다. '''[[미쓰비시]]나 [[도시바]], [[알스톰]] 등의 인버터가 주류였던 한국 전동차 중, 최초(이자 최후)로 스위스 [[ABB]] 제작 인버터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원래 5호선 전동차 제작 단계에선 [[미쓰비시]] [[GTO(반도체)|GTO]] 소자가 납품되고 장착된 게 맞았다. 제작사인 [[현대정공]]에선 [[미쓰비시]]와의 협력관계로 인해 [[미쓰비시]]''' 인버터를 주로 사용했는데, 5000호대보다 1년 앞서 제작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93년) 및 이후 제작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98년)들은 전부 '''[[미쓰비시]] [[GTO(반도체)|GTO]] 인버터가 장착되었다. 이런 와중에 갑자기 [[ABB]] [[GTO(반도체)|GTO]] 인버터'''를 왜 들고 나왔는 진 지금으로써도 매우 의문인 점이다.[* 코레일 1, 4호선, 분당선 '''[[납작이]]들은 [[현대정공]] 제작이라도 [[도시바]] [[GTO(반도체)|GTO]]를 장착'''했으나, 이 경우는 코레일이 제작사가 달라도 동일한 사양의 전동차로 도입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납작이들은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3사 제작 모두 [[도시바]] [[GTO(반도체)|GTO]]를 장착'''했다.][* [[알스톰]] [[GTO(반도체)|GTO]] 소자가 장착되는 게 맞았단 의견도 있지만 그 쪽은 '''[[대우중공업]]이다. 4호선 및 7/8호선에서 운행중인 대우산 전동차들은 전부 [[알스톰]] [[GTO(반도체)|GTO]] 인버터를 장착'''했다.] '''[[2027년]]까지 모두 신형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부품 수급이 어려운 [[ABB]], [[알스톰]] [[GTO(반도체)|GTO]]'''인 것도 있고 특히 5호선의 경우 인버터의 구조가 꽤 특이하여 [[IGBT]]로 교체하기도 어려워서,[* 모터와 대차를 제외한 하부기기 대다수를 갈아엎는 수준이라 보면 된다.] [[폐차]]한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교통공사]] 5~8호선 노선 중 '''8호선 2차분 {{{#f16b66 816~820편성}}}과 같이 전면부 LED 행선 표출이 맑은 고딕체로 변경'''되지 않았으나, [[2020년]] 5호선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41924&page=3|하남선 연장으로 기존 전동차들이 개량]]됨과 동시에 [[하남풍산역|하남풍산행]] 한정으로 맑은고딕체로 글씨체가 표출되고 있다.[* 하남풍산행은 [[2021년]]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까지 연장개통되면 사라지게 된다.] '''이 차량은 [[2020년]] [[6월|6~]][[9월]]경'''에 출입문 열림 안내방송이 은영선 성우에서 강희선 성우로 개정되었다.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 시리즈]]의 오프닝의 등장 [[전동차]]의 색상 또한 이 5000호대 차량의 도색과 유사하다. == 소음 == [youtube(C0csARddvIE)] 특유의 우렁찬(?) [[구동음]]으로 5호선을 소음선으로 만들고 있는 전동차기도 하다. '''전 구간이 [[소음]] 흡수가 잘 안 된 콘크리트 도상으로 설계돼 있고, 노선상에 곡선 구간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한 5호선의 터널은 다른노선들보다 좁기에 소리가 더 울린다. [[ABB]]가 지상철용 인버터를 납품해서 소음이 더 커졌단 이야기도 있지만, 인버터 자체엔 지상철/지하철용이 따로 없다. 정확히는 지상철에서 주로 사용한 강제냉각방식을 채택해서 그런 것이다. 이 방식은 [[GTO(반도체)|GTO]] 전동차들이 주로 사용하는데, 인버터 함 내 송풍기를 따로 두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킨 방식이다. 주로 [[IGBT]]''' 전동차들이 사용한, 냉각팬이 아예 없는 자연냉각방식에 비해 소음이 더 클 수밖에 없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101766&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C%8B%A0%EC%B0%A8&page=1|#]] '''이 밖에도 인버터의 냉각방식 문제에 더해, 콘크리트 도상의 부족한 소음 흡수력과 노후화가 5호선 소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5호선#s-8.2|해당 문단]] 참조.''' ==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1~2차분인 경우, 내장재를 교체했다.''' * 흥일기업: {{{#996cac 501~530, 539, 543, 547~562편성}}} - [[2005년]] 개조 * SLS중공업: {{{#996cac 561~538, 540~542, 544~546, 563~576편성}}} - [[2006년]] 개조 == 조성 변경 == ||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 '''529''' || 5018 || 5029 || ||<-10> '''기존 운행 중인 차량 조성'''[br]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볼드체''' 및 색깔 표시했다. || || '''편성/호차''' || '''1호차[br](Tc)''' || '''2호차[br](M')''' || '''3호차[br](M)''' || '''4호차[br](T)''' || '''5호차[br](T)''' || '''6호차[br](M')''' || '''7호차[br](M)''' || '''8호차[br](Tc)''' || '''비고''' || || '''529편성''' || 5129 || 5229 || 5329 || 5429 || 5529 || 5629 || 5729 || {{{#996cac '''5018'''}}} || [* 8호차: 518편성]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수도권 전철 5호선]][[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구간]][[분류:1994년 출시]][[분류:전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