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특별시의 특수학교]][[분류:1913년 개교]][[분류:장애인]][[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대한민국의 국립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모체가 같은 학교, rd1=서울맹학교)] ||<-2>
{{{+2 '''서울농학교'''}}}[br]'''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Deaf[br]서울聾學校''' || ||<-2> [[파일:서울농학교 교표.png|width=80%]] || || '''설립 연도''' || [[1913년]] [[4월 1일]][* '''제생원 맹아부'''] || || '''교장''' || 제27대 김은숙 || || '''유형''' || [[청각장애인]](농아) 특수학교 || || '''운영 형태''' || [[국립]] || || '''성별''' || [[남녀공학]] || || '''학급 수''' || || || '''학생 수''' || 96명 (남 47명 , 여 49명)[br]2023.05 || || ''' 교원 수 ''' || 53명[br]2023.05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103([[신교동]] 1-1) || || '''홈페이지''' || [[https://seoulnong.sen.sc.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eDqtJ-7-irN8BPTxvHJQcg?app=desktop|[[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서울학교, 너비=100%, 높이=100%)]}}} || ||<-2> '''서울농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농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비.jpg|width=100%]]}}}|| || '''서울농학교 100주년 기념비''' || 서울농학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에 위치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교육시설으로, 1913년 제생원 맹아부가 학교의 뿌리이다. == 연혁 == * 1913.4.1. 제생원 맹아부(盲啞部) 설치(서대문구 천연동 98) *1931.4.1. 신교동으로 이전 * 1945.10.1. 국립맹아학교로 개명(6년제 초등교육 실시) * 1947.9.1. 중학교과정 설치(3년제) * 1947. 교장 윤백원이 지문자를 창안 * 1950.12.25. 한국전쟁으로 학교를 부산 및 제주도로 이전(피난지 학교가 부산배화학교 및 제주영지학교 개교) * 1952.6.1.서울맹아학교로 개명 * 1954.4.1.농아부 사범과(3년제) 및 보통 사범과 신설 * 1959.4.1. 서울농아학교와 서울맹학교 분리 * 1964.1.1. 고등학교과정(3년제) 신설(사범과 1965학년도까지 존속, 보통 사범과 폐지) * 1968.7.30. 도서관 및 과학 실험실, 시청각 교실 준공 * 1968.9.15. 강당 준공 * 1969.9.20. 신축교사(5교실), 기숙사 준공 * 1970.9.1. 후관 신관교실(5교실), 가사실, 음악실, 미술실 준공 * 1971.9.30.기숙사 신관 준공 * 1977.12.18.기숙사 식당 개축 * 1980.4.2.유치원과정 1학급 신설 * 1981.3.5.유치원과정 2학급 증설 * 1982.7.10.직업교육관 신축 이전 * 1983.12.30.남자 기숙사 개축 * 1985.9.26.요육실(2개 교실) 준공 * 1986.12.2.여자 기숙사 개축 * 1987.5.25.학교 신문 '선희' 창간 * 1987.12.17.회지 '조기교육' 창간 * 1988.3.1.서울선희학교로 개명 * 1988.9.20.본관 준공 * 1989.12.21.강당 겸 체육관 준공 * 1990.12.6.유치(아)원 과정 3학급 증설 * 1992.10.19.초등학교과정 교사 준공 * 1993.4.10.체육시설 및 교내 환경 조성공사 준공 * 1993.9.20.직업교육관 개수 * 1995.1.27.전공과 설치(2년제) * 1996.12.21.조기교육관 개축 * 2000.12.15.전공과 폐지 * 2002.3.1.서울농학교로 개명 * 2005.6.15. 체육시설 착공 및 준공(다목적 구장 및 농구장 우레탄 설비) * 2007.10.11.청각언어 훈련센터 개관 * 2013.10.25.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 2018.3.1. 공과 2개 과정 재설치(바리스타과정, 제과?제빵과정) * 2020.2.14. 2019학년도 유치원과정 40회, 초등학교과정 99회, 중학교과정 69회, 고등학교과정 54회, 전공과과정 5회 졸업 * 2020.9.1. 제27대 김은숙 교장 취임 == 국립청각장애교육지원센터 == 지도기관은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로 2019년에 서울농학교에서 설립한 센터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립청각장애교육지원센터 전경.jpg|width=100%]]}}} || || '''국립청각장애교육지원센터 전경''' || {{{+1 <'''주요사업'''>}}} || '''사업명''' || '''세부 내용''' || '''대상''' || '''일정''' || || 치료지원 || 교내 언어재활·감각통합·외부 바우처 치료비 지원(택1) || 교내 유초중고학생 ||<|15> 연중 || || 청능훈련 || 개별 청능훈련 프로그램 || 교내 유초중고학생 || || 청능평가 || 청력 및 말지각 검사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3> 특성화프로그램 || 청각 맞춤형 프로그램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 학습 신장 프로그램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 역량 강화 아카데미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 전국청각장애학생대회 || 재능 발표 대회 || 전국 청각장애학생 || || 장애이해교육 || 청각장애이해교육 || 통합학급 청각장애 학생 및 교원 || || 예술·심리지원 || 지역주민과 학부모를 위한 예술·심리 프로그램 || 청각장애학생 학부모 및 지역주민 || || 청각보장구 || 외부 후원 청각보장구 지원 || 교내 재학생 || ||<|2> 연수 || 청각장애교육지도 관련 교원 연수 || 교직원 및 전국특수교육담당자 || || 학부모 연수 및 아카데미 || 교내외 학부모 || ||<|3> 수어 || 시민수어 교실 || 학부모 및 지역주민 || || 수어 직무연수 || 교직원 및 전국특수교육담당자 || || 수어연수 || 교직원/신임교사 || == 논란 및 사건사고 == === 수업시 수어 미사용 논란 === 2019년 [[한국일보]]에서 서울농학교 당시 재학생들이 수어로 수업을 원한다는 내용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0011502091887|기사]]를 냈다. 바로 서울농학교에선 유튜브로 반박하는 내용의 영상을 올렸다.[* 현재는 내려간 상태이다.] 하지만, 교원과 학생 그 누구도 수지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지 [[수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다.[* 말과 동시에 하고있는데 한국어 대응식 수화(수지한국어)이지 심컴통역을 하고 있지않는다.] == 교통 == === 지하철 === || '''호선''' || '''역명''' || || [[수도권 전철 3호선|{{{#white 수도권 전철 3호선}}}]] || [[경복궁역|{{{#black 경복궁역}}}]] || === 시내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신교동(01102), 효자동(10112)'''}}} }}}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20|{{{#ffffff 1020(광화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711|{{{#ffffff 1711(공덕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6|{{{#ffffff 7016(은평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8|{{{#ffffff 7018(종로1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22|{{{#ffffff 7022(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2|{{{#ffffff 7212(은평차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