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로구의 버스회사)] ||<-2><:> '''{{{+2 서울매일버스 주식회사}}}'''[br]Seoulmaeil Bus Co., Ltd. || || '''설립일''' ||[[1971년]] [[3월 29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정평조 || || '''주요 주주''' ||'''정평조: 60%'''[br]정명희: 28%[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316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16억 2,820만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287억 5,636만 296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3억 1,111만 7,960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4억 141만 2,457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162억 7,417만 8,497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157억 6,860만 4,791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3,118.95%'''^^(2022년 기준)^^ || || '''소재지''' ||'''본사'''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452 ([[비산동(안양)|비산동]])[br]'''일산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경의로]]789번길 3 ([[대화동(고양)|대화동]])[br]'''면허등록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로]] 128 ([[개봉동]])[* 상법상 본점]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안양시]]와 [[고양시]]에 연고를 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차고지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452(舊 [[비산동(안양)|비산동]] 14-8)에 있으며, 면허등록지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로 128(舊 [[개봉동]] 126-32)로 되어 있다. == 특징 == 1963년 [[금호그룹]]이 삼양여객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해서[* 우리가 아는 그 금호 맞다. [[금호타이어]]의 옛 이름인 삼양타이어공업이 삼양여객과 같은 이름이었다.] 1968년 7월 10일에 급행10번(훗날 [[도시형버스]] 26번, 현 [[지선버스]] [[서울 버스 5535|5535번]])을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로, 1969년 [[좌석버스]] 89번(훗날 도시형버스 104번, 현 [[지선버스]] [[서울 버스 5623|5623번]])을 [[유진운수(서울)|유진운수]]로 각각 분리 독립시켰다가 1971년 3월 29일 [[금호그룹]]에서 계열 분리[* 유수현 씨에게 양도했다. [[http://www.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06|#]]]와 동시에 안양교통으로 재창립됐다. [[금호그룹]] 자회사에서 계열분리와 동시에 안양교통으로 변경됐을 당시 면허등록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교북동으로 되어 있었고, 차고지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안양6동]]에 있었다. 1990년에 주사무소를 만안구 안양6동에서 현재의 [[동안구]] [[비산동(안양)|비산3동]]으로 옮겼고, 1992년 10월 1일 면허등록지를 종로구 교북동에서 [[서대문구]] [[충정로|충정로2가]] 113-1번지로 이전한 데 이어, 1993년 3월 4일 [[구로구]] 지역 [[마을버스]]를 [[오봉운수]]로 분리독립시키면서 마을버스 사업에서 철수했다. 2021년 4월 27일 자로 [[대전광역시]] 택시업체인 매일상운에 인수되면서 사명이 안양교통에서 '''서울매일버스'''로 변경했다. 그런데 교체된 사명 글자체가 명조체다 보니, 너무 촌스럽고 어색하다는 평이 많다. 2021년 5월 1일 부로 [[신수교통]]이 운행하던 [[서울 버스 703|9703번]]과 [[서울 버스 9711|9711번]]을 넘겨받았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773788|관련 공문]] 1997년에 703번 좌석버스가 형간 전환된 후로 '''24년'''만에 운행하는 좌석버스다. 물론 당연하게도, '''안양'''이라는 이름을 달고 '''고양''' 지역을 돌아다니면 혼선이 있을 수 있고 회사의 정체성에도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 노선 인수로 인해 이름을 바꾼 것이라고 회사에서도 밝혔다. 특히 이번 사명 및 업체변경은 회사에서도 특별히 공을 들인 것이, 노선변경이 아닌 운행업체 변경을 차내 승객에게 게시하는 경우가 대단히 드문 현상임을 생각하면 이례적인 일이다. 2021년 12월 넷째 주 [[비산동(안양)|비산동]] 본사 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기를 설치했다. 2023년에는 [[서울 버스 703|9703번]]의 간선 전환을 앞두고 [[대화동(고양)|대화동]](덕이)영업소에도 [[전기버스]] 충전기가 설치됐다. [[신인운수]], [[신흥운수(서울)|신흥운수]], [[구의교통]]과 더불어 면허순으로 배차하는 업체다.[* 면허순 배차는 주로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쓰는 방식이며, 신흥운수나 신인운수는 고상:저상 균등배차를 위해 약간의 조정이 있긴 하나 기본적으로 면허순 배차를 유지한다.] 안양에서 출발하는 세 노선 모두 [[비산동(안양)|비산3동]]차고지 ~ 비산사거리, 안양예술공원 ~ 금천우체국까지 공통이다.[* 5626번은 비산사거리 ~ 안양예술공원 구간에서 [[안양1번가]](안양로)를 경유하며 금천우체국 이후 남문시장.청춘삘딩, 독산고개 순으로 가고, 5625번과 5713번은 비산3동차고지 - 우신초등학교까지 공통이지만 5625번은 영등포농협.신길2동새마을금고, 5713은 영등포공원 방향으로 간다. [[서울 버스 5625|5625번]]은 이후 [[영등포역]]으로 가고, [[서울 버스 5713|5713번]]은 여의도와 [[서강대교]]를 거쳐 [[신촌역(경의선)|경의선신촌역]]으로 간다. [[서울 버스 5626|5626번]]은 [[시흥IC(서울)|시흥IC]]에서 구로동, 고척동을 거쳐 [[온수공영차고지]]로 간다.] 모두 지선버스이고 5권역 노선이다. 이 업체의 모든 영업소에는 가스 충전소가 없다. 5625번과 5713번은 [[안양공영차고지]]나 [[서울교통네트웍]] [[소하동]]영업소에서, 5626번은 회차지인 [[온수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한다. 일산의 [[서울 버스 703|703번]](CNG 예비차만)과 [[서울 버스 9711|9711번]]은 [[고양공영차고지]]나 [[동해운수]]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차량 관리가 상당히 미흡하다. 특히 왕복 90.5km의 장거리 노선인 [[서울 버스 9711|9711번]]의 경우 [[신수교통|서울 신성교통]] 시절 과속 및 난폭운전으로 인해 차량을 혹사시킨 데다가[* 서울매일버스로 이관된 이후에도 여전히 속도제한이 60km/h로 설정되어 있어서 급가속 등의 짜잘한 난폭운전이 더 심해졌다.] 이 회사도 차량 관리가 부실해 이 업체 소속 유니버스 차량은 누수가 발생하고 엔진에서 굉음이 나는 건 기본이고 한 달에 몇 번씩 차가 퍼지는게 일상이다. 다른 업체에서 인수받은 NSAC 차량도 엔진에서 굉음이 나고 앞 범퍼 일부가 변색되어 있는 등 상태가 좋지 않다. 2021년 말에는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91737&page=1|노사갈등]][[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truck&No=96304|관련문서]]도 있다.[* 9711번의 장거리 혹사 운행과 출퇴근 시간을 휴식시간으로 지정하는 등 근로기준법 관련한 논란이 일어 여러 뉴스에 보도됐다. [[신수교통]]과 달리 아직 [[경기교통]]의 망령이 약간이나마 남아 있는 셈. 노사갈등과 기사 처우 열악함 등에서 막장성이 서울에서도 끝판왕인 [[선일교통]], [[선진운수]], [[우신운수]], [[태릉교통]], [[범일운수]]나 그나마 막장성이 덜하고 개선 중인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 [[북부운수]], [[동아운수]], [[송파상운]] 정도는 아니지만 서울매일버스도 당분간 웬만해서는 입사를 거르는게 나을 듯. [[선일교통]], [[선진운수]]는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 대표의 관리로 변경되면서 개선되고 있다.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truck/96304|증거자료]]] == 운행 노선 == === 안양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5625|{{{#5bb025 5625}}}]]''' || 비산동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 - [[대림대학교]] - [[양명고등학교]] - 안양예술공원 - [[관악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신풍역]] - 우신초등학교 - [[신길역]] || [[영등포역]] || 9~13 || || '''[[서울 버스 5626|{{{#5bb025 5626}}}]]''' || 비산동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 - [[안양역]] - [[관악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디지털단지오거리 - 구로구청 - [[구로역]] - [[개봉역]] - (← 개봉푸르지오 ←) - [[오류동역]] - [[온수역]] || [[온수공영차고지|온수동종점]] || 8~12 || || '''[[서울 버스 5713|{{{#5bb025 5713}}}]]''' || 비산동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 - [[대림대학교]] - [[양명고등학교]] - 안양예술공원 - [[관악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신풍역]] - 영등포공원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 [[광흥창역]] - 신촌로터리 || [[신촌역(경의선)|신촌기차역]] || 7~11 || === 일산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703|{{{#3d5bab 703}}}]]''' || [[탄현역]] || 탄현마을 - 중산마을 - 하늘마을 - 동국대병원사거리 - 고양시청 - [[원당역]] - 원흥동 - 스타필드 고양 - [[구파발역]]입구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 [[숭례문]] → 서대문경찰서 → [[독립문역]] || [[숭례문]] || 15~25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9711|{{{#f72f08 9711}}}]]'''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 - [[백석역]] - 행신동 - 항공대입구 - DMC첨단산업센터 - [[서울월드컵경기장]] - {{{#aaa (→ 강변북로 →/← 올림픽대로 ←)}}} - [[신사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9~18 || == 차량 관련 == 창립 초기부터 [[현대자동차]] 차량을 주로 출고해왔으며, 1970년대에 아시아 P9AMC와 1980년대에 새한 BF101이 투입됐던 적도 있었다. 2006년 초까지는 디젤 도시저상형 버스만 뽑았다가 천연가스버스 의무화 시행으로 그 해 중반부터 [[천연가스버스]]를 첫 도입했다. 2010년까지 디젤 차량을 모두 조기대차시켜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 SL 디젤 일부는 [[신일여객(파주)|파주 신일여객]]에 중고로 매각했다.] 2011~2014년까지는 자체출고를 한 적이 없었다. [[저상버스]]는 2015년 11월 [[서울 버스 5626|5626번]]에 처음으로 투입됐다. [[자동변속기]]는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ZF]] 에코라이프 6단이다. 2021년에는 [[신수교통]]으로부터 광역버스를 넘겨받으면서 [[고급좌석버스|고급좌석]]인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도 넘겨받아 운행한다. 여담이지만 [[당산철교]]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맞춤버스#s-2|셔틀버스]] 중 유일하게 [[현대 에어로시티|에어로시티]]로 운행한 업체이기도 하다. 2022년 1월 5일에 자사에서 [[전기버스]]로 '''30년'''만에 현대자동차 이외의 브랜드를 출고했으며,[* [[전기버스]]를 뽑기 이전만 해도 현대차 이외 제조사는 [[서울 버스 구로01|구로01번]]에 투입할 코스모스를 뽑은 것이 마지막이었다.] [[CRRC 그린웨이|CRRC 그린웨이1100]]을 도입했다. 또한 [[하이거 하이퍼스16xx 시리즈|하이거 하이퍼스1611 시리즈]]도 도입했다. 2023년 5월에 12년 6개월이라는 오랜 세월 동안 운행하던 유니버스 엘레강스를 대차하기 위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를 도입했다.[* 기존 [[7권역(서울)|7권역]] 옵션이라 불리던 최후방 개폐창이 아닌, [[4권역(서울)|4권역]] 옵션과 같이 전면 개폐창이 적용됐다.] == 면허 체계 == * 서울 '''74'''사 '''6701''' ~ '''6798'''호[* 본 회사 주면허] * 서울 '''74'''사 '''7405''', '''7435''', '''9919''', '''9921''', '''9922'''호[* 구.우성버스 출신 면허로, 모두 5713번에서 운행한다.] * 서울 '''74'''사 '''17##''', '''2424''', '''3302''', '''53##''', '''6282''', '''6285''', '''6372''', '''817#'''호[*신수 [[신수교통]]으로부터 넘어온 면허.] * '''70'''사 '''70##'''호[*신수] * '''75'''사 '''12##''', '''14##''', '''26##'''호[*신수]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중국중차|CRRC]] ==== * [[CRRC 그린웨이|CRRC 그린웨이1100 TEG6110BEVK1 전기버스]] * [[CRRC 그린웨이|CRRC 그린웨이1100A TEG6110BEVK1 전기버스]] ==== [[하이거]] ==== * [[하이거 하이퍼스16xx 시리즈|하이거 하이퍼스1611 KLQ6116GEV 전기버스]] * [[하이거 하이퍼스16xx 시리즈|하이거 하이퍼스1611N KLQ6116GEV2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R버스|현대 R182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70 디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L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기아]] ==== * [[아시아 P버스|아시아 P9AMC 디젤]] * [[기아 코스모스|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정평조 || 60.00%|| 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정명희 || 28.00%||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일개발 || 9.00%||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정한재 || 3.00%|| || == 둘러보기 == [include(틀:안양시·군포시·과천시·의왕시의 버스회사)] [include(틀:고양시의 버스회사)]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관외)] [[분류:버스 회사]][[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71년 설립]][[분류:안양시의 교통]][[분류:동안구]][[분류:서울 구로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