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산하기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60bb46 10%, #333132 10%, #333132 90%, #60bb46 90%)" '''{{{+2 서울주택도시공사}}}'''[br]서울住宅都市公社[br]'''S'''eoul '''H'''ousing & Communities Corporation}}} || ||<-2> [[파일:서울주택도시공사 로고.svg|width=80%]] || || '''설립일''' ||[[1989년]] [[2월 1일]] || || '''설립목적''' ||택지의 개발과 공급, 주택의 건설, 개량, 공급 및 관리 등을 통하여 시민의 주거생활 안정과 복지향상에 기여[br][[https://www.law.go.kr/자치법규/서울특별시서울주택도시공사설립및운영에관한조례|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 || '''업종''' ||기타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 || '''전신''' ||'''서울특별시 도시개발공사'''[br]([[1989년]] [[2월 1일]] ~ [[2004년]] [[3월 4일]])[br]'''에스에이치(SH)공사'''[br]([[2004년]] [[3월 5일]] ~ [[2016년]] [[8월 31일]]) || || '''대표자''' ||[[김헌동]] || || '''주무부처''' ||[[서울특별시청]] || || '''주요 주주''' ||'''[[서울특별시]]: 100%'''[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지방공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1,446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정규직 현원 1,285명, 무기계약직 현원 104명, 비정규직 현원 57명.] || || '''자본금''' ||7조 2,982억 3만 7,285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1조 9,135억 6,346만 9,008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1,711억 1,584만 8,301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1,618억 8,724만 7,970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27조 9,625억 1,687만 4,809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18조 1,687억 5,714만 9,746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185.51%'''^^(2022년 기준)^^ || || '''미션''' ||'''천만시민과 함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에 기여''' || || '''비전''' ||'''집 걱정 없는 고품격 도시 건설''' || ||<|2>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 621 ([[개포동]])[* 이쪽은 다른 개포동 지역과 달리 일원2동 관할 지역이다. [[대청역]] 인근에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4-5 서울주택도시공사, 너비=100%, 높이=100%)]}}} || || '''홈페이지''' ||[[https://www.i-sh.co.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 || || '''SNS''' ||[[https://webzine.i-sh.co.kr| 서울주택도시공사 웹진 (SH톡톡)]][br][[https://blog.naver.com/together_sh|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5]]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식 블로그]][br][[https://www.youtube.com/@SHtv_Seoul|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식 유튜브]][br][[https://www.instagram.com/together_sh|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5]]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식 인스타그램]][br][[https://story.kakao.com/ch/together_sh|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15]]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식 카카오스토리]][br][[https://twitter.com/together_sh|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15]]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식 트위터]][br][[https://www.facebook.com/together.sh|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서울주택도시공사 공식 페이스북]] || || '''전화번호''' ||{{{#60bb46 '''1600-3456'''}}}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택지의 개발과 공급, 주택의 건설ㆍ개량ㆍ공급 및 관리 등을 통하여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위하여 「지방 공기업법」 제49조에 따라 서울주택도시공사를 설립하고, 공사의 업무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경영의 기본원칙)''' 서울주택도시공사(이하 "공사"라 한다)는 항상 공사의 경제성과 공공복리를 위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제3조(법인격)''' 공사는 법인으로 한다.|| >'''30년 {{{#58b42f 행복}}}을 짓다''' >'''100년 {{{#005489 도시}}}를 품다''' >---- >서울주택도시공사 창립 30주년 기념 [[슬로건]] 서울특별시 시민의 주거안정과 복지향상을 목적으로 설립된 [[서울특별시]] 산하 [[지방공기업]]. 과거 '''서울시영아파트'''의 계보를 잇는 지방공기업이다. == 상세 == [[1988년]] 서울특별시 도시개발공사 설치조례에 따라 [[1989년]] [[2월 1일]] 서울특별시도시개발공사로 세워진 것이 시초다. [[서울특별시]] 내의 도시계획 택지부지를 개발하여 민간에 분양하거나 무주택자를 위한 분양주택 및 임대주택(과거 서울시영아파트의 후신)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집값과 땅값이 비싼 서울 곳곳에 택지와 주택을 갖고 있어 26조가 넘는 자산을 보유한 공룡 공기업 중 하나로 [[지방공기업]]중에선 당연히 1위이며 전체 공공기관 통틀어서도 6위에 해당한다.(1위는 [[한국토지주택공사]], 2위는 [[한국전력공사]]) [[2004년]]에 'SH공사'(등기상 명칭은 '에스에이치공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2005년]]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서울특별시 SH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통과시킴으로써 2016년 8월까지 이 사명을 사용하였다. 2016년 9월 1일부로 사명을 '서울주택도시공사'로 재변경하였으나 SH공사라는 이름을 2021년 현재에도 상당히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고 대외명칭도 혼용되고 있다. [[2007년]]부터 [[장기전세주택]]이라는 제도[* 시프트, Shift라고도 불린다. 동명의 컴퓨터 키처럼 집에 대한 인식을 '소유'가 아니라 '거주'로 바꾸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를 도입하여, 실수요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중대형 임대주택(59㎡, 84㎡, 114㎡)을 주변 [[전세]] 시세의 80% 이하로 최장 20년까지 임대해주는 사업을 시작하였다. 임대주택 공급은 물론 [[공공분양주택]] 건설이나 도시개발사업도 시행하고 있는데, 준 신도시급의 규모를 가지고 있는 서울시의 [[은평뉴타운]]과 [[마곡지구]]가 대표적인 서울주택도시공사의 자체 도시개발사업이다. 이 외에도 [[위례신도시]](일부), [[고덕강일지구]], [[항동지구]], [[세곡1지구]], [[세곡2지구]], [[내곡지구]], [[문정지구]], [[동남권유통단지]]([[가든파이브]]), [[우면2지구]] 등에서 [[보금자리주택]], [[도시개발사업]] 등 대규모 건설 사업을 자체 시행하고 있지만, 이제 서울시 내에 아파트나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할 만큼의 미개발 토지가 거의 없어서 도시개발, 주택건설 사업은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데 [[서울특별시]]의 땅값이 매우 높고 사회복지 개념으로 임대주택사업을 하는지라 막대한 부채가 필연적이다. [[2010년]]부터 계속 서울주택도시공사에 대한 유동성 우려도 커지고 있고, 이는 지속적으로 [[서울특별시의회]]에서 태클이 걸리는 사안이 되었다. [[2011년]] 연간재무제표([[2012년]] [[3월]] 발표) 기준 서울주택도시공사의 부채는 17조 5000억원을 넘으며, 이 중 [[2012년]] 한 해에 갚아야 하는 유동부채는 7조 6000억에 달했다. 결국 [[서울특별시]] 본청에서 일부 자금을 수혈해주어 유동성 위기를 넘기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여전히 빚은 굉장히 많다. 2017년 말 기준 서울주택도시공사의 부채는 14조8868억원으로 2016년 말 대비 1조 3086억원의 부채를 줄이고 3천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밝혔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8529401|#기사]] 2013년 이후 고강도 구조조정에 따라 흑자기조로 바꾼 후 조금씩 부채를 줄이고 있다. 다만 공기업의 영업이익이 많은 것은 공공성의 약화를 의미하기도 하므로 잘 판단해야 하는 문제기도 하다. == 역대 사장 == [include(틀:역대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 * 이광하 (1989~1992) * 김제량 (1992~1993) * 한명환 (1993) * 김진욱 (1993~1999) * 도명정 (1999~2002) * 김승규 (2002~2005) * 이철수 (2005~2007) * 최영 (2007~2009) * 김효수 사장대행(2009) * 유민근 (2009~2012) * 이용덕 사장대행 (2012) * 이종수 (2012~2014) * 정현규 사장대행 (2014) * [[변창흠]] (2014~2017) * 신범수 사장대행 (2017) * [[김세용(1965)|김세용]] (2018~2021)[* 공식 임기는 [[2020년]] [[12월 31일]]까지였지만 [[박원순]] 전 서울특별시장이 사망한 후 신임사장 선임 절차를 진행할 수 없어 직무대행 자격으로 [[2021년]] [[4월 7일]]까지 업무를 수행한 후 퇴임했다.] * 황상하 사장대행 (2021) * [[김헌동]] (2021~ ) == [[서울에너지공사]](구 집단에너지사업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에너지공사)] == 사업 == 서울주택도시공사는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21조). * 토지의 취득, 개발, 비축, 공급[* 분양 또는 임대] 및 관리 * 주택 등 건축물의 건설, 개량, 공급[* 분양 또는 임대] 및 관리 * 집단적으로 주택을 건설, 개량, 공급 또는 관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복리시설의 건설, 개량, 공급 및 관리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정비사업 *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역세권개발사업]]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 개발사업 및 재생사업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 관리업무 *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상권활성화 사업 및 시장정비사업 *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재정비촉진사업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도시재생사업 * 도시기반시설 등 도시계획사업의 시행 * 주거복지사업 * 「관광진흥법」에 따른 관광지 등의 개발, 운영 및 관리 * 「부동산개발업의 관리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부동산 개발업 * 산업거점개발사업 등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하는 사업 * [[대한민국 정부|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업무 * [[서울특별시장]]의 승인을 받을 해외건설사업 * 이상의 업무에 해당하는 외자유치 및 외국인투자사업 * 이상의 업무에 부대되는 사업[* 설계 및 감리를 포함한다.] * [[주차장]]의 건설 및 관리ㆍ운영사업 *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빈집정비사업 및 소규모주택정비사업 * 그 밖에 도시개발과 관련이 있는 사업 == 논란 == 2020년 4월 29일 보유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반지하 공간에 거주하는 세대를 지상층으로 옮기고, 빈 반지하 공간을 창업교실이나 주민 사회간접자본(SOC) 등 다양한 공간복지시설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공사는 이렇게 바뀔 반지하 공간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영화)|기생충]]에서 따온 것인지 ‘기회가 생기는 층’이라는 뜻의 ‘기생층(機生層)’이라고 이름 붙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366&aid=0000517927|#]]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네티즌 사이에서는 기생층에 관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정책의 취지는 좋으나 반지하 거주민이 모멸감을 느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주택도시공사는 관련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앞으로 이 이름을 쓰지 않겠다고 5월 1일 밝혔다. == 노동조합 현황 == 2022년 12월 기준 * 서울주택도시공사노동조합(제1노조): 미가맹, '''교섭대표노조'''. * SH서울주택도시공사노동조합(제2노조): [[한국노총]] [[전국공공노동조합연맹]] 소속. * 서울주택도시공사통합노동조합(제3노조): [[한국노총]]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 소속. == 관련 문서 == * '''[[SH빌]]''' - SH가 시행하는 아파트에 사용하는 브랜드. 시영아파트의 후신이라고 볼 수 있다. * '''[[가든파이브]]''' * [[은평뉴타운]] * [[위례신도시]] * [[항동지구]] * [[수색역세권개발사업]] * [[마곡도시개발사업]] * [[디지털미디어시티]] == 둘러보기 == [include(틀:강남구 소재 관공서)] [include(틀:부동산)] [include(틀:대한민국 상위 30대 건설사)] [[분류:1989년 설립]][[분류:서울특별시의 지방공기업]][[분류:강남구 소재 관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