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지방우정청의 우체국]][[분류:중구(서울) 소재 관공서]] [include(틀:서울지방우정청 소속 우체국)]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서울중앙우체국'''}}}[br]서울中央郵遞局 | Seoul Central Post Office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스트타워.jpg|width=100%]]}}} || || '''개국일''' ||[[1884년]] [[12월 6일]][* [[우정총국]] 설치([[견지동]])]|| || {{{#fff '''우체국장'''}}} ||박태희||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중앙우체국, 너비=100%)]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소공로]] 70 ([[충무로]] 1가) || || '''소속''' ||[[서울지방우정청]]|| || '''링크''' ||[[http://www.koreapost.go.kr/se/10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facebook.com/pg/post10015/pos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1884년]] [[11월 18일]]에 설치된 우정총국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현재의 건물은 [[1905년]] [[7월 1일]] 경성우편국(京城郵便局)으로 명칭이 바뀌어 이전하였다. [[1939년]] [[10월 1일]]에는 경성중앙우편국(京城中央郵便局)으로, [[1949년]] [[8월 13일]]에는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 우체국장은 제59대 박태희 우체국장이다. == 관할 우편구역 == |||||| '''서울중앙우체국 관할 우편구역''' || ||<#EE2722> {{{#FFF '''배달국'''}}} ||<#EE2722> {{{#fff '''배달구역'''}}} ||<#EE2722> {{{#fff '''구역번호'''}}} || || '''서울중앙우체국''' || '''중구 전지역''' || 04500 ~ 04637 || == 역대 우체국장 == |||||| '''역대 우체국장''' || ||<#EE2722> {{{#FFF '''재임'''}}} ||<#EE2722> {{{#fff '''성명'''}}} ||<#EE2722> {{{#fff '''재임기간'''}}} || || 59대 || 박태희 || 2022. 01. 01. ~  현재 || == 교통 == ||<-2> {{{#fff '''서울중앙우체국에서 가까운 교통'''}}} || ||<-2> [[서울 지하철 3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5]]]] [[명동역|{{{#00a4e3 '''명동역'''}}}]][* [[명동역]]과 [[회현역]]에서 도보 5분] || || 롯데영프라자/신세계앞/롯데백화점/명동국민은행 || [[서울 버스 100|{{{#3d5dab '''100'''}}}]], [[서울 버스 103|{{{#3d5dab '''103'''}}}]], [[서울 버스 105|{{{#3d5dab '''105(상계7단지)'''}}}]], [[서울 버스 143|{{{#3d5dab '''143'''}}}]], [[서울 버스 151|{{{#3d5dab '''151'''}}}]], [[서울 버스 152|{{{#3d5dab '''152'''}}}]], [[서울 버스 162|{{{#3d5dab '''162'''}}}]], [[서울 버스 173|{{{#3d5dab '''173'''}}}]], [[서울 버스 201|{{{#3d5dab '''201'''}}}]], [[서울 버스 202|{{{#3d5dab '''202'''}}}]], [[서울 버스 261|{{{#3d5dab '''261'''}}}]], [[서울 버스 262|{{{#3d5dab '''262'''}}}]], [[서울 버스 400|{{{#3d5dab '''400'''}}}]], [[서울 버스 401|{{{#3d5dab '''401'''}}}]], [[서울 버스 405|{{{#3d5dab '''405'''}}}]], [[서울 버스 406|{{{#3d5dab '''406'''}}}]], [[서울 버스 500|{{{#3d5dab '''500'''}}}]], [[서울 버스 501|{{{#3d5dab '''501'''}}}]], [[서울 버스 502|{{{#3d5dab '''502'''}}}]], [[서울 버스 504|{{{#3d5dab '''504'''}}}]], [[서울 버스 506|{{{#3d5dab '''506'''}}}]], [[서울 버스 701|{{{#3d5dab '''701'''}}}]], [[서울 버스 702|{{{#3d5dab '''702'''}}}]], [[서울 버스 704|{{{#3d5dab '''704'''}}}]], [[서울 버스 705|{{{#3d5dab '''705'''}}}]], [[양주 버스 1101|{{{#red '''1101'''}}}]], [[용인 버스 1150|{{{#red '''1150'''}}}]], [[경기광주 버스 3201|{{{#red '''3201'''}}}]], [[용인 버스 4101|{{{#red '''4101'''}}}]], [[화성 버스 4108|{{{#red '''4108'''}}}]], [[용인 버스 5000|{{{#red '''5000'''}}}]], [[용인 버스 5007|{{{#red '''5007'''}}}]], [[용인 버스 5500-2|{{{#red '''5500-2'''}}}]], [[서울 버스 7017|{{{#5bb025 '''7017'''}}}]], [[서울 버스 7021|{{{#5bb025 '''7021'''}}}]], [[서울 버스 7022|{{{#5bb025 '''7022'''}}}]], [[용인 버스 8100|{{{#red '''8100'''}}}]], [[수원 버스 8800|{{{#red '''8800'''}}}]], [[성남 버스 9000|{{{#red '''9000(-1)'''}}}]], [[성남 버스 9003|{{{#red '''9003'''}}}]], [[성남 버스 9007|{{{#red '''9007'''}}}]], [[성남 버스 9200|{{{#red '''9200'''}}}]], [[성남 버스 9300|{{{#red '''9300'''}}}]], [[하남 버스 9301|{{{#red '''9301'''}}}]], [[서울 버스 9401|{{{#f72f08 '''9401'''}}}]], [[서울 버스 9701|{{{#f72f08 '''9701'''}}}]], [[광역급행버스 M4101|{{{#0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000" '''M4101'''}}}}}}]], [[광역급행버스 M4102|{{{#0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000" '''M4102'''}}}}}}]], [[광역급행버스 M4108|{{{#0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000" '''M4108'''}}}}}}]], [[광역급행버스 M4130|{{{#0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000" '''M4130'''}}}}}}]], [[광역급행버스 M4137|{{{#0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000" '''M4137'''}}}}}}]], [[광역급행버스 M5107|{{{#0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000" '''M5107'''}}}}}}]], [[광역급행버스 M5121|{{{#0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color: #000" '''M5121'''}}}}}}]] || || 퇴계로2가.명동역 || [[서울 버스 104|{{{#3d5dab '''104'''}}}]], [[서울 버스 105|{{{#3d5dab '''105(숭례문)'''}}}]], [[서울 버스 421|{{{#3d5dab '''421'''}}}]], [[서울 버스 463|{{{#3d5dab '''463'''}}}]], [[서울 버스 507|{{{#3d5dab '''507'''}}}]], [[서울 버스 604|{{{#3d5dab '''604'''}}}]], [[서울 버스 7011|{{{#5bb025 '''7011'''}}}]] || == 서울중앙우체국의 개칭 연혁 == * [[1884년]] [[11월 18일]]: 우정총국 설치([[종로구]] [[견지동]]) * [[1895년]] [[7월 22일]]: 한성우체사(종로구 [[세종로]] 위치)설치로 업무 재개 * [[1905년]] [[7월 1일]]: 경성우편국으로 개칭(현위치) * [[1939년]] [[10월 1일]]: 경성중앙우편국으로 개칭 * [[1949년]] [[8월 13일]]: 서울중앙우체국으로 개칭 == [[관광우편날짜도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관광우편날짜도장'''}}}[br]서울 숭례문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숭례문날짜도장.jpg|width=100%]]}}} || || '''디자인''' ||[[숭례문]]|| || {{{#fff '''디자이너'''}}} ||유지형|| || '''발행일''' ||[[2020년]] [[9월 18일]]|| || '''사용기간''' ||[[2020년]] [[9월 18일]] ~ 0000. 0. 0.|| == 우표박물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111_150126.jpg|width=100%]]}}} || || {{{#683235 '''[[https://stampmuseum.kr|우표박물관]]'''}}} || 서울중앙우체국 건물 내부에 우표박물관이 존재한다. == 여담 == 여담으로 [[기념우표]] 발행일에 이 우체국 우표창구에는 초일봉투 등을 제작하려고 [[기념우편날짜도장]]을 소인하려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또한 [[보통우표]] 전지를 쉽게 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