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 [include(틀:폐선)]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목차] [clearfix] == 개요 == 600번대는 [[공항버스(서울)|공항버스]]로 도색 및 요금이 일반 버스와 달랐다. 현재는 [[공항리무진]] 및 [[서울버스]]에서 6000번대 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지금은 별개의 번호로 운영 중이지만, 과거에는 시내버스와 같은 번호대를 공유하였기 때문에 여기에 함께 기재한다.(2004년 개편 전에 존재했던 공항버스만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 |||| 범례 || || 링크 || 2004년 이후 지금도 운행하고 있는 노선 || || (★) || 2004년 개편 전에 이미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 || || 둘 다 없음 || 2004년 개편 때나 그 이후에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 || == [[공항버스 6000|600]] (공항리무진)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600a.jpg]]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 - 공항로(현 공항대로) - 노들길 - 흑석동 - 고속터미널 - 잠실종합운동장 - 잠실(롯데월드) [[공항리무진#s-2|공항리무진]] 6000번의 전신으로, 1977년 11월 25일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워커힐교통에서 운행했으며, 기점은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 호텔]]이었다. 1981년 9월 3일 워커힐호텔에서 잠실종합운동장 구간이 단축되었고, 이후 1993년 2월 27일에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잠실롯데월드까지 연장되었다. 김포공항까지만 운행하다가 2001년 3월 29일에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인천국제공항까지 연장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공항버스 6000]] 문서 참고. == [[공항버스 6001|601]] (공항리무진) == [[파일:IMG_1989.jpg]] [[http://nozomi7383.tistory.com/35|사진]] 운행구간 : 방화동 - 김포공항 - 공항전화국 - 발산동 - 88체육관(현 KBS 스포츠월드) - 등촌동 - 염창동 - 성산대교 남단 - 양화대교 남단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아현역 - 염천교 - 서울역 - 시청 - ''광화문(공항 방면 운행 시 경유)'' - 종로 - 동대문 - 신설동 - 마장동 - 답십리 - 장한평 - 어린이대공원후문 - 광장사거리 - 워커힐호텔 600번과 함께 공항버스의 효시가 되는 노선이었다. 이후 동대문으로 단축되었으며, 인천공항 개항 후 신설된 602번에 밀려 없는 노선 취급을 받게 된다. 현 [[공항버스 6001|6001번]]. == [[공항버스 6002|602]] (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합정역 - 광화문 - 동대문 - 청량리역 현 [[공항버스 6002|6002번]]. == [[공항버스 6011|602-1]] (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마포구청 - 연대앞 - 혜화동로터리 현 [[공항버스 6011|6011번]]. == [[공항버스 6012|602-2]](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상암동 - 증산역 - 새절역 - 응암역 - 불광동 - 구파발 현 [[공항버스 6012|6012번]]. == [[공항버스 6013|602-3]](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건대입구역 - 군자교 - 장안동 - 면목동 - 사가정역 현 [[공항버스 6013|6013번]]. == 603(좌석) (상마운수 → 화곡교통) (★) == [[파일:1989_603.jpg]] 운행구간 : 신월동 - 신정네거리 - 목동4거리 - 등촌동 - 염창동 - 마포구청 - 연세대 - 사직동 - 광화문 - 시청앞 - 서소문 - 이대입구 - 신촌기차역 1980년에 신설된 노선. 303번의 좌석형 번호로 700번대가 부여되어야 했으나, 안양교통 703번이 있는 관계로 603번으로 되었다. 631번을 인수한 1997년에 폐선 해당 노선 인가 분 대부분을 631번에 투입했다.[* 화곡교통이 신원교통 부도로 운행 중단된 631번의 노선만 인수했고 기존 면허는 모두 면허 취소 되었다.] == [[공항버스 6003|603]] (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공항 - 김포공항 - 송정역 - 발산역 - 목동오거리 - 구로역 - 구로구청 현 [[공항버스 6003|6003번]]. == [[공항버스 6004|604]] (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공항 - 김포공항 - 서부트럭터미널 - 개봉역 - 가산동 현 [[공항버스 6004|6004번]]. 이후 2009년에 김포공항 경유에서 광명역 경유로 바뀌고 노선도 석수역 ~ 시흥사거리 ~ 노보텔독산(홈플러스) ~ 구로호텔(구로디지털단지역) ~ 구로디지털1단지 ~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변경된다. == [[공항버스 6014|604-1]] (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공항 - 김포공항 - 서부트럭터미널 - 개봉역 - 광명사거리 - 철산역 - 광명우체국 - 고속철도광명역 현 [[공항버스 6014|6014번]]. == [[공항버스 6005|605]] (공항버스 → 공항리무진)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605.jpg]] 운행구간 : 인천공항 - 무정차 - 마포 - 공덕역 - 충정로 - 광화문 - 시청 - 숭례문 - 서울역 601번이 서울역으로 회차하게 된 이후로는 시청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현 [[공항버스 6005|6005번]]. == [[공항버스 6015|605-1]] (공항버스 → 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마포 - 공덕로터리 - 명동 - 남대문시장 [[파일:20010913_605-1.jpg]] [[파일:20010913_605-1_1.jpg]] 2001년에 신설. 현재는 [[공항버스 6015|6015번]]이 되었다. == [[공항버스 6006|606]] (서울버스) ==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압구정동 - 삼성역(코엑스) - 잠실역(롯데월드) - 천호역 이후 잠실역으로 단축되고 2006년에 신차가 대거 투입되었다가 이후 상일동까지 연장되지만 6200번 분리로 장미아파트으로 단축된다. 현 [[공항버스 6006|6006번]]. == [[공항버스 6007(폐선)|607]] (공항리무진) ==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화물청사 - 삼목선착장 - 김포공항 - 송정역 [[공항버스 6007(폐선)]] 참조. == [[공항버스 6008|608]] (공항리무진) ==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608.jpg|width=750]] 운행구간 : 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 - 공항로 - 당산역 - 영등포역 현 [[공항버스 6008|6008번.]] 참고로 사진의 차량은 넘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위 605번의 차량과 같은 차량이다. 공항리무진으로 넘어가 재도색한 이후. == [[공항버스 6009|609]] (서울버스) == [[공항버스 6009]] 문서 참조. == [[공항버스 6500|609-1]] (서울버스) == [[공항버스 6500]] 문서 참조. == 631(좌석) (남도운수 → 흥기운수 → 신원교통 → 범양여객 → 중부운수, 화곡교통 → 화곡교통) (★) == [[파일:631버스.png|width=700]] ▲ 참고로 이 사진은 631-1번이 흡수되고 631번으로 바뀌고 난 이후다. 운행구간 : 화곡전화국 - 곰달래길 - 홍익병원 - 오목교 - 양남로터리 - 경방필백화점 - 여의도광장(서울역 방면)/국회의사당(신월동 방면) - 지적공사 - KBS별관 - 원효대교 - 용산전자상가 - 남영역 - 서울역 → 숭례문 → 시청 → 청계천로 → 광교 → 미도파 → 숭례문 → 이하 역순 31번의 좌석형 번호로 700번대가 부여되어야 했으나, 한성버스 731번이 있는 관계로 631번으로 되었다. 이후 631-1번에 흡수되었다. 이 때 631-1번이 631번으로 번호가 변경된다. 이는 61-1번, 64-1번, 1003번과 더불어서 강서양천 지역을 대표하는 네임드 좌석버스 노선 중 하나였다. 김포운수 631번이 이걸 노리고 번호를 땄다는 것이 정설이다(...) == 631-1 (좌석) (신원교통 → 범양여객 → 중부운수, 화곡교통 → 공항교통 → 풍양운수) (★) == 운행구간 : 화곡전화국 - 신정사거리 - 양천구청 - 목동로 - 목동아파트단지 - 목동교 - 영등포경찰서 - 여의2교 - 국회의사당 - 지적공사 - KBS별관 - 원효대교 - 용산전자상가 - 남영역 - 서울역 → 숭례문 → 시청 → 청계천로 → 광교 → 미도파 → 숭례문 → 이하 역순 목동이 개발되면서 신설된 노선. 구 631번을 흡수하면서 번호만 631번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에 도시형으로 변경되면서 번호가 325번으로 변경되었다. == 666 (서울버스 → 성동여객) (★) == 운행구간 : 망우리 - 상봉동 - 화양리 - 한양대 - 왕십리역 - 신당동 - 버티고개 - 한남대교 - 고속터미널 - 사당동 1979년 555번으로 노선변경. == 666-1 (서울버스 → 성동여객) (★) == [[파일:666-1.jpg]] 운행구간 : 망우리 - 상봉동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역 - 노룬산시장 - 영동대교 - 청담역 - 삼성역 - 잠실종합운동장 1979년 555-1번으로 노선변경.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FFFFFF 이전 문서로[br](500번대)}}}]]'''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700번대|다음 문서로[br](700번대)]]'''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 version=1234)]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