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정주)] [목차] == 개요 == 이 문서의 목록은 2015년 발간된 '미당 [[서정주]] 전집 - 시'의 '작품연보'를 기초로 하고 있다. == 시 == === 화사집 (1941) === ||<-2><#FFFFFF>[[파일:hwasajib.jpg|width=100%]]|| 1930년대 후반의 시들을 주로 묶은 첫 번째 시집. [[화사집]] 문서 참고. === 귀촉도 (1948) === ||<-2><#FFFFFF>
[[파일:gwichokdo.jpg|width=100%]]|| 1940년대의 시들을 주로 묶은 두 번째 시집. [[귀촉도]] 문서 참고. === 서정주시선 (1956) === ||<-2><#FFFFFF>
[[파일:sjjsiseon.jpg|width=100%]]|| 1940년대 후반에서 1950년대 중반까지의 시들을 주로 묶은 세 번째 시집. [[서정주시선]] 문서 참고. === 신라초 (1961) === ||<-2><#FFFFFF>
[[파일:sillacho.jpg|width=100%]]|| 1950년대 후반의 시들을 주로 묶은 네 번째 시집. [[신라초]] 문서 참고. === 동천 (1968) === ||<-2><#FFFFFF>
[[파일:dongcheonsjj.jpg|width=100%]]|| 1960년대의 시들을 주로 묶은 다섯 번째 시집. [[동천(시집)|동천]] 문서 참고. === 서정주문학전집 (1972) === 1972년 일지사에서 출간된 <서정주문학전집>의 1권 '시'에서 추가적으로 수록된 시편들. 일종의 행사시에 속하는 '예시',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까지 쓴 시들을 묶은 '근작시편', 그리고 당시 집필하고 있던 '질마재 신화'의 일부 작품을 수록하였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예시(禮詩)|| || ||<:>1||부처님 오신 날||예술원보 12호 (1968.11.)|| || ||<:>2||조국||-|| || ||<:>3||3.1아, 네 해일 그리며 살았었느니||-|| || ||<:>4||쉰세 돌 3.1절에||-|| || ||<:>5||어머니||한국일보 1966.5.8.|| || ||<:>6||신년 유감||-|| || ||<:>7||바닷물은 반참 때||한국일보 1968.1.5.|| || ||<:>8||찬가||-|| || ||<:>9||이 신문에서는||-|| || ||<:>10||영령들이여||-|| || ||<:>11||범산 선생 추도시||-|| || ||<:>12||4.19혁명에 순국한 소년시인 고 안종길 군의 영전에||예술원보 4호 (1960.9.)|| || ||<:>13||찬성||-|| || ||<:>14||말에게 부쳐||-|| || ||<:>15||다시 비정의 산하에||-|| || ||<:>16||8.15의 은어||-|| || || ||<-2>근작시편|| || ||<:>17||사경||세대 1969년 3월호|| || ||<:>18||방한암 선사||세대 1969년 3월호|| || ||<:>19||단상||월간중앙 1969년 4월호|| || ||<:>20||모란 그늘의 돌||신동아 1969년 6월호|| || ||<:>21||백일홍 필 무렵||서라벌문학 6집 (1970.8.)||[* 원제는 '목백일홍 피는 날']|| ||<:>22||서경||신동아 1970년 10월호|| || ||<:>23||역사여 한국 역사여||한국일보 1967.6.9.|| || ||<:>24||이런 나라를 아시나요||-|| || ||<:>25||한라산 산신녀 인상||예술원보 15호 (1971.11.)||[* 원제는 '한라산']|| ||<:>26||우리 데이트는||-|| || ||<:>27||무궁화 같은 내 아이야||자유공론 1966년 4월호|| || ||<:>28||내 아내||예술원보 13호 (1969.11.)|| || ||<:>29||뻐꾸기는 섬을 만들고||예술원보 13호 (1969.11.)|| || ||<:>30||춘궁||예술원보 13호 (1969.11.)|| || ||<:>31||꽃||예술원보 13호 (1969.11.)|| || ||<:>32||음력 설의 영상||세대 1969년 3월호|| || ||<:>33||나릿목의 설날||-|| || ||<:>34||보릿고개||서라벌문학 5집 (1969.8.)|| || ||<:>35||백월산찬||-|| || ||<:>36||내 데이트 시간||-|| || ||<:>37||할머니의 인상||-|| || ||<:>38||남해 보타낙가 산정||-|| || ||<:>39||소연가||-|| || ||<:>40||애기의 웃음||-|| || ||<:>41||기억||현대문학 1971년 5월호|| || ||<:>42||이조백자를 보며||월간문학 1970년 9월호|| || ||<:>43||겨울 황해||-|| || ||<:>44||석공 1||월간문학 1970년 1월호|| || ||<:>45||무제||-|| || ||<:>46||첫 벌 울음소리 바윗가에 들려서||예술원보 15호 (1971.11.)||[* 원제는 '발견']|| ||<:>47||어느 신라승이 말하기를||자유공론 1966년 9월호|| || ||<:>48||초파일 해프닝||-|| || ||<:>49||추운 겨울에 흰 무명 손수건으로 하는 기술||세대 1969년 3월호|| || ||<:>50||내가 심은 개나리||-|| || ||<:>51||무제||지성 1971년 12월호|| || ||<:>52||남은 돌||지성 1971년 12월호|| || ||<:>53||바위옷||지성 1971년 12월호|| || ||<:>54||싸락눈 내리어 눈썹 때리니||지성 1971년 12월호|| || || ||<-2>(질마재 신화)|| || ||<:>55||밤에 핀 난초꽃||-|| || === 질마재 신화 (1975) === ||<-2><#FFFFFF>
[[파일:jilmajae.jpg|width=100%]]|| 1970년대 초반에 쓰인 시들을 묶은 여섯 번째 시집. [[질마재 신화]] 문서 참고. === 떠돌이의 시 (1976) === ||<-2><#FFFFFF>
[[파일:tteodori.jpg|width=100%]]|| 1970년대 초반에서 중반까지의 시들을 주로 묶은 일곱 번째 시집. [[떠돌이의 시]] 문서 참고. === 서으로 가는 달처럼... (1980) === ||<-2><#FFFFFF>
[[파일:seoeuro.jpg|width=100%]]|| ||<:>출판사||<:>문학사상사|| ||<:>출간일||<:>1980년 5월 25일|| ||<:>수록 편수||<:>116편|| 여덟 번째 시집. 1970년대 후반 세계여행을 다녀온 뒤 '문학사상'에 1979년 한 해 동안 기행시 형식으로 연재되었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미국 편|| || ||<:>1||카우아이 섬에서||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2||네바다 사막||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3||라스베가스||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4||콜로라도 강가의 인디언처럼||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5||요세미테 산중에서||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6||쌘프란시스코||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7||샌디애고의 한국 금잔디||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8||케네디 기념관의 흑인들을 보고||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9||루이지애나 밀림 속의 외론 고양이||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10||노드 캐롤라이나의 노처녀 미스 팍스||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11||워싱턴 DC||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12||텐 달라 모어!||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13||시카고의 나의 친구 미스 티클||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14||링컨 선생 묘지에서||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15||폭풍설 속 버팔로행 비행편||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16||나이아가라 폭포 옆에서||문학사상 1979년 5월호|| || || ||<-2>캐나다 편|| || ||<:>17||오타와 60리 링크의 엄마와 애기의 스케이팅||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18||<거위가 황제인 나라>라는 그림을 보고||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19||몬트리얼의 북극풍설||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 ||<-2>중남미 편|| || ||<:>20||멕시코에 와서||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1||태양과 처녀심장||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2||쿠에르나바카||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3||멕시코에서의 수혈||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4||파나마의 시||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5||싼부라스 섬에서||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6||페루의 당나귀 웃음||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7||잉카 문명시절 여자들이 손가락 끝마다 끼었던 순금 골무들을 보고||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8||천국으로 가는 입구-발파라이소 항에서||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29||부에노스아이레스의 주정뱅이 꽃나무||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30||아르헨티나 농촌 근처||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31||쌍파울루의 히피 시장 유감||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32||모레나 여인송||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33||쌈바춤에 말려서||문학사상 1979년 6월호|| || || ||<-2>아프리카 편|| || ||<:>34||나이로비 시장의 매물||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35||킬리만자로의 해돋이 때||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36||킬리만자로의 신화 1||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37||킬리만자로의 신화 2||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38||나이로비의 두견새 소리||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39||호박을 파는 암보쎌리의 검어진 비너스||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40||아프리카 흑인들의 근일의 자신만만||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41||상아해안국 아비장의 내 깜둥이 친구 아자메||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42||띠아싸레 감옥의 검은 죄수들||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43||술 나와라 뚝딱, 술나무 수풀||문학사상 1979년 7월호|| || || ||<-2>유럽 편|| || ||<:>44||인심 좋은 또레도||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45||마드릿드의 인상||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46||서반아의 가가대소||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47||파리의 노래||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48||보들레에르 묘에서||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49||까르띠에 라뗑||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50||로뎅의 손||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51||나뽈레옹 장군의 무덤 앞에서||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52||몽블랑의 신화||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53||취리히의 새벽 인상||문학사상 1979년 8월호|| || ||<:>54||"꼬끼오!" 우는 스위스 회중시계||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55||아펜젤 산상의 세계고아원에서||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56||서서 목동의 각적||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57||비엔나||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58||쾨른 성당에서||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59||괴테 생가의 청마루를 보고||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0||라인 강가에서||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1||도이체 이데올로기||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2||백이의 사내의 솜씨||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3||마네켄 소년이 오줌을 잘 깔기고 있는 걸 보고||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4||화란풍||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5||암스테르담에서 스피노자를 생각하며||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6||덴 하그의 이준 선생 묘지에서||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7||덴마크의 공기 속에서는||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8||달밤 랑겔리니 바닷가의 인어상을 보고||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69||밀레스의 조각 <신의 손>을 보고||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70||스웨덴, 노르웨이의 여름 남녀들||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71||노르웨이 미녀||문학사상 1979년 9월호|| || ||<:>72||베르겐 쪽의 노르웨이 산중을 오르내리고 가며||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73||스코틀랜드의 담요||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74||에든버러 성에서||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75||런던 탑의 수수께끼||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76||아일랜드의 두 사랑||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77||바티칸 궁 피에트로 성당의 조상 <피에타>를 보고||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78||필요한 피살||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79||로마 근교 수풀가의 님프들의 모닥불||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80||쏘렌토 쪽||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81||베네챠의 인상||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82||휘렌체, 아르노 강 다리 옆의 단상||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83||파르테논 신전 앞에서||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84||아테네 뒷골목에서||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85||이오니아 바닷가에서||문학사상 1979년 10월호|| || || ||<-2>중근동/호주 편|| || ||<:>86||예루살렘의 아이들과 소고와 향풀||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87||나자렛 마을의 인사말||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88||예수가 빵과 물고기를 몽땅 만드신 자리의 교회에서||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89||이스라엘제의 옷단추 단 것을 보며||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0||예루살렘의 통곡의 벽 앞에서||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1||토이기 신사의 지혜||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2||기자의 피라믿들을 보고||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3||밤 카이로의 뱃살춤 집에서||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4||에짚트의 하녀||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5||아라비아 사막도||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6||젯다의 석유졸부||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7||루나파크에서 오페라좌를 바라보며||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98||방랑하는 한 젊은 벽안 여인과의 대화||문학사상 1979년 11월호|| || || ||<-2>동남아 편|| || ||<:>99||겁의 때||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0||에베레스트 대웅봉이 말씀하기를||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1||살아 있는 여신 앞에서||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2||히말라야 산 석류||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3||인도 떠돌이의 노래||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4||인도의 여인||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5||우중 캘커타의 자이나교 사원||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6||간디 선생 기념박물관 유감||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7||태국 여자들의 춤을 보고||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8||악어를 타는 기사||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09||태국 코끼리||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10||장개석 선생의 능을 다녀오며||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11||오래의 고사족 여상||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12||중국의 자유시인 주몽접 씨||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13||나라의 동대사 대불전 지붕을 보며||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14||교오또 용안사 석정의 돌 배치를 보고||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15||도오꾜 아사꾸사||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116||오사까 역 화장실에서 보니||문학사상 1979년 12월호|| || ===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 (1982) === ||<-2><#FFFFFF>
[[파일:hak.jpg|width=100%]]|| ||<:>출판사||<:>소설문학사|| ||<:>출간일||<:>1982년 2월 10일|| ||<:>수록 편수||<:>113편|| 아홉 번째 시집. 고조선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한국의 역사를 소재로 '문학사상'에 1980년부터 1981년까지 연재되었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고조선시대 편|| || ||<:>1||하느님의 생각||문학사상 1980년 2월호|| || ||<:>2||환웅의 생각||문학사상 1980년 2월호|| || ||<:>3||곰 색시||문학사상 1980년 2월호|| || ||<:>4||단군||문학사상 1980년 3월호|| || ||<:>5||조선||문학사상 1980년 3월호|| || ||<:>6||흰옷의 빛깔과 버선코의 곡선 이야기||문학사상 1980년 3월호|| || ||<:>7||신시와 선경||문학사상 1980년 3월호|| || ||<:>8||풍류||문학사상 1980년 3월호|| || ||<:>9||고인돌 무덤||문학사상 1980년 4월호|| || ||<:>10||동이||문학사상 1980년 4월호|| || ||<:>11||영고||문학사상 1980년 5월호|| || ||<:>12||무천||문학사상 1980년 5월호|| || ||<:>13||동맹||문학사상 1980년 5월호|| || ||<:>14||북부여의 풍류남아 해모수 가로대||문학사상 1980년 6월호|| || ||<:>15||왕 금와의 사주팔자||문학사상 1980년 6월호|| || ||<:>16||박혁거세왕의 자당 사소 선녀의 자기소개||문학사상 1980년 6월호|| || ||<:>17||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고주몽의 사주팔자||문학사상 1980년 6월호|| || || ||<-2>삼국시대 편|| || ||<:>18||팔월이라 한가윗날 달이 뜨걸랑||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19||가야국 김수로왕 때||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20||처녀가 시집갈 때||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21||고구려 민중왕의 마지막 3년간||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22||도미네의 떠돌잇길의 노래||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23||술통촌 마을의 경사||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24||일곱 겹으로 소나무 숲 만들아||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25||백제의 피리||문학사상 1980년 7월호|| || ||<:>26||이름||문학사상 1980년 8월호|| || ||<:>27||애를 밸 때, 낳을 때||문학사상 1980년 8월호|| || ||<:>28||갈대에 보이는 핏방울 흔적||문학사상 1980년 8월호|| || ||<:>29||신라 풍류 1||문학사상 1980년 8월호|| || ||<:>30||신라 풍류 2||문학사상 1980년 8월호|| || ||<:>31||지대로왕 부부의 힘||문학사상 1980년 8월호|| || ||<:>32||이차돈의 목 베기 놀이||문학사상 1980년 9월호|| || ||<:>33||신라의 연애상||문학사상 1980년 9월호|| || ||<:>34||황룡사 큰 부처님상이 되기까지||문학사상 1980년 9월호|| || ||<:>35||신라 사람들의 미래통||문학사상 1980년 9월호|| || ||<:>36||바보 온달 대형의 죽엄을 보고||문학사상 1980년 9월호|| || ||<:>37||원광 스님의 고 여우||문학사상 1980년 9월호|| || ||<:>38||검군||문학사상 1980년 9월호|| || ||<:>39||혜현의 정적의 빛깔||문학사상 1981년 2월호||[* 연재 당시에는 통일신라시대 편에 수록되어 있었으나 책으로 출간되면서 옮겨졌다.]|| ||<:>40||지귀와 선덕여왕의 염사||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41||신라 유가의 제일 문사 강수 선생 소전||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42||김유신 장군 1||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43||김유신 장군 2||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44||대나무 통 속에다 넣어 둔 애인의 넋에||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45||태종무열왕 김춘추가 꾸던 꿈||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46||우리 문무대황제 폐하의 호국룡에 대한 소감||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47||삼국 통일의 후렴||문학사상 1980년 10월호|| || || ||<-2>통일신라시대 편|| || ||<:>48||만파식적이란 피리가 생겨나는 이얘기 (소창극)||문학사상 1980년 11월호|| || ||<:>49||만파식적의 피리 소리가 긴히 쓰인 이얘기||문학사상 1980년 11월호|| || ||<:>50||만파식적의 합죽 얘기에서 전주 합죽선이 생겨난 이얘기||문학사상 1980년 11월호|| || ||<:>51||원효가 겪은 일 중의 한 가지||문학사상 1980년 12월호|| || ||<:>52||의상의 생과 사||문학사상 1980년 12월호|| || ||<:>53||신라 최후의 성인 표훈 대덕||문학사상 1980년 12월호|| || ||<:>54||천하복인 경문왕 김응렴 씨||문학사상 1980년 12월호|| || ||<:>55||저 거시기||문학사상 1980년 12월호|| || ||<:>56||수로부인은 얼마나 이뻤는가?||문학사상 1981년 1월호|| || ||<:>57||큰비에 불은 물은 불운인가? 행운인가?||문학사상 1981년 1월호|| || ||<:>58||처용훈||문학사상 1981년 1월호|| || ||<:>59||백월산의 힘||문학사상 1981년 1월호|| || ||<:>60||신효의 옷||문학사상 1981년 2월호|| || ||<:>61||암호랑이와 함께 탑돌이를 하다가||문학사상 1981년 2월호|| || ||<:>62||월명 스님||문학사상 1981년 2월호|| || ||<:>63||소슬산 두 도인의 상봉 시간||문학사상 1981년 2월호|| || ||<:>64||토함산 석굴암불 보살상의 선물||문학사상 1981년 2월호|| || || ||<-2>고려시대 편|| || ||<:>65||왕건의 힘||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66||현종의 가가대소||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67||강감찬 장군||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68||덕종 경강대왕의 심판||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69||땅에 돋은 풀을 경축하는 역사||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70||고려호일||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71||옥색과 홍색||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72||예종의 감각||문학사상 1981년 3월호|| || ||<:>73||매사는 철저하게||문학사상 1981년 4월호|| || ||<:>74||노극청 씨의 집값||문학사상 1981년 4월호|| || ||<:>75||유월 유둣날의 고려조||문학사상 1981년 4월호|| || ||<:>76||고종 일행과 곰들의 피난||문학사상 1981년 4월호|| || ||<:>77||고려 고종 소묘||문학사상 1981년 4월호|| || ||<:>78||충렬왕의 마지막 남은 힘||문학사상 1981년 4월호|| || ||<:>79||고려적 쇄설일석||문학사상 1981년 4월호|| || ||<:>80||셈은 바르게||문학사상 1981년 5월호|| || ||<:>81||기황후 완자홀도의 내심의 독백||문학사상 1981년 5월호|| || ||<:>82||노나 가진 금일랑은 강물에 집어넣고||문학사상 1981년 5월호|| || ||<:>83||상부의 곡성||문학사상 1981년 5월호|| || ||<:>84||권금 씨의 허리와 그 아내||문학사상 1981년 5월호|| || ||<:>85||정몽주 선생의 죽을 때 모양||문학사상 1981년 5월호|| || || ||<-2>이조시대 편|| || ||<:>86||이성계의 하눌||문학사상 1981년 6월호|| || ||<:>87||세종과 두 형||문학사상 1981년 6월호|| || ||<:>88||황희||문학사상 1981년 6월호|| || ||<:>89||유비공소||문학사상 1981년 6월호|| || ||<:>90||소년왕 단종의 마지막 모습||문학사상 1981년 6월호|| || ||<:>91||매월당 김시습 1||문학사상 1981년 7월호|| || ||<:>92||매월당 김시습 2||문학사상 1981년 7월호|| || ||<:>93||매월당 김시습 3||문학사상 1981년 7월호|| || ||<:>94||칠휴거사 손무효의 편모||문학사상 1981년 7월호|| || ||<:>95||돼지머리 쌍통 장순손의 운수||문학사상 1981년 7월호|| || ||<:>96||정암 조광조론||문학사상 1981년 8월호|| || ||<:>97||황진이||문학사상 1981년 8월호|| || ||<:>98||하서 김인후 소전||문학사상 1981년 8월호|| || ||<:>99||산적 두목 임꺽정의 편모||문학사상 1981년 8월호|| || ||<:>100||홍의장군 곽재우 소묘||문학사상 1981년 8월호|| || ||<:>101||기허 스님||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2||죽음은 산 것으로||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3||백사 이항복||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4||율곡과 송강||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5||논개의 풍류 역학||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6||점잔한 예모||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7||새벽 닭 소리||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8||학자 오달제의 유시||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09||백파와 추사와 석전||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10||추사 김정희||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11||석전 스님||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12||이조 무문백자송||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113||단군의 약밥||문학사상 1981년 9월호|| || === 안 잊히는 일들 (1983) === ||<-2><#FFFFFF>
[[파일:anichineun.jpg|width=100%]]|| ||<:>출판사||<:>현대문학사|| ||<:>출간일||<:>1983년 5월 16일|| ||<:>수록 편수||<:>92편|| 열 번째 시집. 자신의 생애에서 인상 깊었던 일들을 소재로 '현대문학'에 1981년에서 1982년까지 연재되었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유년 시절|| || ||<:>1||마당||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2||개울 건너 부안댁 감나무||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3||어린 집지기||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4||백학명 스님||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5||꾸어 온 남의 첩의 권주가||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6||당음||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7||내 할머니||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8||처음 본 꽃상여의 인상||현대문학 1981년 11월호|| || || ||<-2>만 아홉 살에서 열두 살까지|| || ||<:>9||용샘 옆의 남의 대갓집에서||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10||만 십 세||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11||국화와 산돌||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12||서리 오는 달밤 길||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13||첫 질투||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14||첫 이별 공부||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15||어린 눈에 비친 줄포라는 곳||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16||반공일날 할머니집 찾아가는 길||현대문학 1981년 12월호|| || || ||<-2>만 열세 살에서 열여섯 살까지|| || ||<:>17||중국인 우동집 갈보 금순이||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18||광주학생사건에 1||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19||염병||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20||광주학생사건에 2||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21||아버지의 밥숟갈||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22||광주학생사건에 3||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23||동정상실||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24||혁명가냐? 배우냐? 또 무엇이냐?||현대문학 1982년 1월호|| || || ||<-2>만 열여덟 살에서 스무 살까지|| || ||<:>25||얼어붙는 한밤에||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26||미사와 나와 창경원 잉어||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27||넝마주이가 되어||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28||석전 박한영 대종사의 곁에서 1||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29||석전 박한영 대종사의 곁에서 2||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30||금강산으로 가는 길 1||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31||단발령에서 장안사로||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32||내금강산의 영원암 작약 꽃밭 속의 송만공 대선사||현대문학 1982년 2월호|| || || ||<-2>이십대 시편 1|| || ||<:>33||성인 선언||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34||시인 당선||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35||ㅎ양||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36||해인사, 1936년 여름||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37||우리 시인부락파 일당||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38||제주도의 한여름||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39||나의 결혼||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40||『화사집』 초판본||현대문학 1982년 3월호|| || || ||<-2>이십대 시편 2|| || ||<:>41||조선일보 폐간 기념시||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42||장남 승해의 이름에 부쳐서||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43||만주에 와서||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44||동대문여학교의 운동장에서||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45||불더미 마을의 깐돌 영감과 함께||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46||진지리꽃 피걸랑은 또 오소 또 오소||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47||학질 다섯 직 끝에 본 이조백자의 빛||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48||기우는 피사탑 위에서||현대문학 1982년 4월호|| || || ||<-2>삼십대 시편 1|| || ||<:>49||해방||현대문학 1982년 5월호|| || ||<:>50||반공운동과 밥||현대문학 1982년 5월호|| || ||<:>51||대학의 전임강사로||현대문학 1982년 5월호|| || ||<:>52||인촌 어른과 동아일보와 나||현대문학 1982년 5월호|| || ||<:>53||이승만 박사의 곁에서||현대문학 1982년 5월호|| || ||<:>54||3급 갑류의 행정서기관이 되어서||현대문학 1982년 5월호|| || || ||<-2>삼십대 시편 2|| || ||<:>55||1949년 가을, 플라워 다방||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56||1950년 6월 28일 아침 한강의 다이빙||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57||청산가리밖에는 안 남아서요||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58||생불여사||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59||자살미수||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60||조화연습||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61||막걸리송(頌)||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62||명동 명천옥 친구들||현대문학 1982년 6월호|| || || ||<-2>사십대 시편 1|| || ||<:>63||미국 아세아재단의 자유문학상||현대문학 1982년 7월호|| || ||<:>64||2차 단식||현대문학 1982년 7월호|| || ||<:>65||졸도||현대문학 1982년 7월호|| || ||<:>66||미아리 서라벌 시절||현대문학 1982년 7월호|| || ||<:>67||불혹 때의 혹||현대문학 1982년 7월호|| || || ||<-2>사십대 시편 2|| || ||<:>68||1960년 4월 19일||현대문학 1982년 8월호|| || ||<:>69||4.19 (2)||현대문학 1982년 8월호|| || ||<:>70||횡액||현대문학 1982년 8월호|| || ||<:>71||중년 사나이의 연정 해결책||현대문학 1982년 8월호|| || ||<:>72||하눌이 싫어할 일을 내가 설마 했겠나?||현대문학 1982년 8월호|| || ||<:>73||만득지자와 수의 계산||현대문학 1982년 8월호|| || ||<:>74||경춘선의 5년 세월||현대문학 1982년 8월호|| || || ||<-2>오십대 시편 1|| || ||<:>75||공덕동 살구나뭇집과 택호-청서당||현대문학 1982년 9월호|| || ||<:>76||주붕 야청 박기원||현대문학 1982년 9월호|| || ||<:>77||울산바위 이얘기||현대문학 1982년 9월호|| || ||<:>78||김칫국만 또 마셔보기||현대문학 1982년 9월호|| || ||<:>79||여자들의 손톱 들여다보기||현대문학 1982년 9월호|| || ||<:>80||또 한 개의 전화위복||현대문학 1982년 9월호|| || || ||<-2>오십대 시편 2|| || ||<:>81||사당동과 봉천동의 힘||현대문학 1982년 10월호|| || ||<:>82||자유중국의 시인 종정문이가 찾아와서||현대문학 1982년 10월호|| || ||<:>83||선덕여왕의 돌||현대문학 1982년 10월호|| || ||<:>84||꿩 대신에 닭||현대문학 1982년 10월호|| || ||<:>85||내 뜰에 와서 살게 된 개나리 꽃나무 귀신||현대문학 1982년 10월호|| || ||<:>86||내 시의 영역자 데이빗 맥캔과 경상도 안동||현대문학 1982년 10월호|| || || ||<-2>육십대 시편|| || ||<:>87||회갑 1||현대문학 1982년 11월호|| || ||<:>88||회갑 2||현대문학 1982년 11월호|| || ||<:>89||먼 세계 방랑의 길||현대문학 1982년 11월호|| || ||<:>90||진갑의 박사학위와 노모||현대문학 1982년 11월호|| || ||<:>91||지손란||현대문학 1982년 11월호|| || ||<:>92||명예교수||현대문학 1982년 11월호|| || === 노래 (1984) === ||<-2><#FFFFFF>
[[파일:norae.jpg|width=100%]]|| ||<:>출판사||<:>정음문화사|| ||<:>출간일||<:>1984년 3월|| ||<:>수록 편수||<:>56편|| 열한 번째 시집. '현대문학'에 1983년 한 해 동안 연재되었다. 책으로 묶으면서 <[[질마재 신화]]>에 수록돼 있던 '노래' 부분을 일부 재수록하였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봄 노래|| || ||<:>1||봄눈 오는 골목에서||현대문학 1983년 3월호|| || ||<:>2||밤에 핀 난초꽃||현대문학 1983년 3월호|| || ||<:>3||상사초||현대문학 1983년 3월호|| || ||<:>4||매화꽃 필 때||현대문학 1983년 3월호|| || ||<:>5||매화에 봄 사랑이||월간중앙 1973년 3월호|| || ||<:>6||동백꽃 타령||현대문학 1983년 3월호|| || ||<:>7||삼월이라 한식날은||현대문학 1983년 4월호|| || ||<:>8||동백꽃 제사||현대문학 1983년 6월호|| || ||<:>9||두견새와 종달새||현대문학 1983년 4월호|| || ||<:>10||촌사람으로!||현대문학 1983년 6월호|| || ||<:>11||진달래와 갈매기||현대문학 1983년 4월호|| || ||<:>12||늙은 농부의 자탄가||현대문학 1983년 6월호|| || ||<:>13||초파일의 신발코||월간중앙 1973년 5월호|| || ||<:>14||노자 없는 나그넷길||월간중앙 1973년 4월호|| || ||<:>15||검은머리 아가씨||현대문학 1983년 4월호|| || ||<:>16||돼지 뒷다리를 잘 붙들어 잡은 처녀||현대문학 1983년 6월호||[* 원제는 '돼지해의 돼지 이얘기']|| ||<:>17||산그늘||현대문학 1983년 5월호|| || ||<:>18||진부령의 처가집||현대문학 1983년 6월호|| || ||<:>19||쑥국새 타령||현대문학 1983년 4월호|| || || ||<-2>여름 노래|| || ||<:>20||비 오시는 날||현대문학 1983년 8월호|| || ||<:>21||찔레꽃 필 때||현대문학 1983년 5월호|| || ||<:>22||구약||현대문학 1983년 7월호|| || ||<:>23||우리나라 백자 그릇||현대문학 1983년 5월호|| || ||<:>24||석류꽃이 피었네||현대문학 1983년 8월호|| || ||<:>25||땡감||현대문학 1983년 8월호|| || ||<:>26||장미||현대문학 1983년 9월호|| || ||<:>27||질마재의 노래||현대문학 1983년 5월호|| || ||<:>28||열무김치||현대문학 1983년 7월호|| || ||<:>29||해당화밭 아가씨||현대문학 1983년 9월호|| || ||<:>30||불볕더위||현대문학 1983년 9월호|| || ||<:>31||대구 미인||현대문학 1983년 9월호|| || ||<:>32||박꽃이 피는 시간||현대문학 1983년 10월호|| || ||<:>33||칠석||월간중앙 1973년 8월호|| || || ||<-2>가을 노래|| || ||<:>34||가는 구름||현대문학 1983년 11월호|| || ||<:>35||무궁화에 추석 달||월간중앙 1973년 9월호|| || ||<:>36||지금도 황진이는||현대문학 1983년 10월호|| || ||<:>37||우리나라 소나무||현대문학 1983년 10월호|| || ||<:>38||이 가을에 오신 손님||현대문학 1983년 11월호|| || ||<:>39||대추 붉은 골에||현대문학 1983년 11월호|| || ||<:>40||고구마 타령||현대문학 1983년 11월호|| || ||<:>41||우체부 아저씨||현대문학 1983년 11월호|| || ||<:>42||시월이라 상달 되니||월간중앙 1973년 11월호|| || || ||<-2>겨울 노래|| || ||<:>43||눈이 오면||현대문학 1983년 1월호|| || ||<:>44||까치야||현대문학 1983년 1월호|| || ||<:>45||기럭아 기럭아||현대문학 1983년 1월호|| || ||<:>46||겨울 여자 나그네||현대문학 1983년 1월호|| || ||<:>47||겨울 소나무||현대문학 1983년 1월호|| || ||<:>48||동지 날||현대문학 1983년 12월호|| || ||<:>49||오동지 할아버님||월간중앙 1973년 12월호|| || ||<:>50||섣달 그믐||현대문학 1983년 12월호|| || ||<:>51||설날의 노래||현대문학 1983년 2월호|| || ||<:>52||새벽 애솔나무||월간중앙 1973년 1월호|| || ||<:>53||연날리기||현대문학 1983년 2월호|| || ||<:>54||돌미륵에 눈 내리네||현대문학 1983년 2월호|| || ||<:>55||총각김치||현대문학 1983년 2월호|| || ||<:>56||총각김치타령||현대문학 1983년 12월호|| || === 팔할이 바람 (1988) === ||<-2><#FFFFFF>
[[파일:palhari.jpg|width=100%]]|| ||<:>출판사||<:>혜원출판사|| ||<:>출간일||<:>1988년 5월 30일|| ||<:>수록 편수||<:>52편|| 열두 번째 시집. 서정주 자신의 자서전적 사건을 담시 형식으로 풀어낸 시들로 '일간스포츠'에 1987년 한 해 동안 연재되었다. 시집 말미에는 시인 박재삼의 해설이 실려 있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1||사내자식 길들이기 1||일간스포츠 1987.7.6.|| || ||<:>2||사내자식 길들이기 2||일간스포츠 1987.7.9.|| || ||<:>3||사내자식 길들이기 3||일간스포츠 1987.7.13.|| || ||<:>4||심사숙고||일간스포츠 1987.7.16.|| || ||<:>5||줄포 1||일간스포츠 1987.7.20.|| || ||<:>6||줄포 2||일간스포츠 1987.7.23.|| || ||<:>7||줄포 3||일간스포츠 1987.7.27.|| || ||<:>8||광주학생사건||일간스포츠 1987.7.30.|| || ||<:>9||사회주의병||일간스포츠 1987.8.3.|| || ||<:>10||제2차년도의 광주학생사건||일간스포츠 1987.8.6.|| || ||<:>11||고창고보, 기타||일간스포츠 1987.8.10.|| || ||<:>12||사회주의를 회의하게 되었음||일간스포츠 1987.8.13.|| || ||<:>13||노초산방||일간스포츠 1987.8.17.|| || ||<:>14||넝마주이가 되어||일간스포츠 1987.8.20.|| || ||<:>15||영호종정 스님의 대원암강원||일간스포츠 1987.8.24.|| || ||<:>16||금강산행||일간스포츠 1987.8.27.|| || ||<:>17||중앙 불교전문학교 문과에서||일간스포츠 1987.8.31.|| || ||<:>18||해인사에서||일간스포츠 1987.9.3.|| || ||<:>19||시인부락 일파 사이에서||일간스포츠 1987.9.7.|| || ||<:>20||제주도에서||일간스포츠 1987.9.10.|| || ||<:>21||구식의 결혼||일간스포츠 1987.9.14.|| || ||<:>22||큰아들을 낳던 해||일간스포츠 1987.9.16.|| || ||<:>23||만주에서||일간스포츠 1987.9.21.|| || ||<:>24||뜻 아니한 인기와 밥||일간스포츠 1987.9.24.|| || ||<:>25||사립국민학교 교사||일간스포츠 1987.9.29.|| || ||<:>26||아버지 돌아가시고||일간스포츠 1987.10.1.|| || ||<:>27||이조백자의 재발견||일간스포츠 1987.10.5.|| || ||<:>28||종천순일파?||일간스포츠 1987.10.9.|| || ||<:>29||다시 걸린 독립운동 혐의||일간스포츠 1987.10.12.|| || ||<:>30||일정치하의 막바지 때||일간스포츠 1987.10.15.|| || ||<:>31||해방 바람에||일간스포츠 1987.10.19.|| || ||<:>32||동아대학교의 전임강사 시절||일간스포츠 1987.10.22.|| || ||<:>33||이승만 박사와 함께||일간스포츠 1987.10.26.|| || ||<:>34||동아일보 사회부장, 문교부 초대 예술과장||일간스포츠 1987.10.29.|| || ||<:>35||6.25 민족상잔의 때를 만나서||일간스포츠 1987.11.2.|| || ||<:>36||6.25 남북전쟁 속의 한여름||일간스포츠 1987.11.5.|| || ||<:>37||청산가리와 함께||일간스포츠 1987.11.9.|| || ||<:>38||1950년 겨울 북괴와 중공 연합군 대거 침략의 때까지||일간스포츠 1987.11.12.|| || ||<:>39||전주 풍류 일 년간 1||일간스포츠 1987.11.16.|| || ||<:>40||전주 풍류 일 년간 2||일간스포츠 1987.11.19.|| || ||<:>41||광주에서 1||일간스포츠 1987.11.23.|| || ||<:>42||광주에서 2||일간스포츠 1987.11.26.|| || ||<:>43||전후 서울의 폐허에서||일간스포츠 1987.11.30.|| || ||<:>44||차남 윤 출생의 힘을 입어||일간스포츠 1987.12.3.|| || ||<:>45||4.19 바람||일간스포츠 1987.12.10.|| || ||<:>46||5.16 군사혁명과 나||일간스포츠 1987.12.14.|| || ||<:>47||춘천행 시절||일간스포츠 1987.12.16.|| || ||<:>48||관악산 봉산산방||일간스포츠 1987.12.18.|| || ||<:>49||환갑의 떠돌이길에서||일간스포츠 1987.12.21.|| || ||<:>50||제1차 세계일주 여행 1||일간스포츠 1987.12.24.|| || ||<:>51||제1차 세계일주 여행 2||일간스포츠 1987.12.25.|| || ||<:>52||제2차 세계 여행||일간스포츠 1987.12.28.|| || === 산시 (1991) === ||<-2><#FFFFFF>
[[파일:sansi.jpg|width=100%]]|| ||<:>출판사||<:>민음사|| ||<:>출간일||<:>1991년 1월 30일|| ||<:>수록 편수||<:>91편|| 열세 번째 시집. 노년기에 외웠던 세계의 산 이름과 산들에 얽힌 내력을 바탕으로 씌어진 시들을 묶었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아시아 편|| || ||<:>1||한국의 산시||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2||일본 산들의 의미||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3||몽고 산의 점쟁이새||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4||어느 맑은 날에 에베레스트 산이 하신 이야기||-|| || ||<:>5||어느 흐린 날에 에베레스트 영봉이 하신 이야기||-|| || ||<:>6||히말라야의 하느님과 나||-|| || ||<:>7||히말라야의 흰 표범||-|| || ||<:>8||히말라야 산사람의 운명||월간문학 1990년 2월호|| || ||<:>9||인도의 명산 난다데비에서 어느 선녀님이 속삭이신 이야기||-|| || ||<:>10||인도네시아의 산들의 소리||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11||한국사람 귀에 들리는 이란의 산 이름들||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12||한국사람 귀에 들리는 터키의 산 이름들||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13||신 아라비안나이트 서||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 ||<-2>유럽 편|| || ||<:>14||그리스의 파르나소스 산과 나의 대응||-|| || ||<:>15||이탈리아의 산들이 하시는 말씀||-|| || ||<:>16||프랑스 오베르뉴 지방의 산 '쁘롱 뒤 깡딸'의 속삭임||-|| || ||<:>17||서반아의 산 '몽까요'의 잠언||-|| || ||<:>18||포르투갈의 '에스트렐라' 산의 선녀께서 나오시어 말씀하기를||-|| || ||<:>19||스위스의 산들의 말씀||-|| || ||<:>20||독일 산들 이야기||-|| || ||<:>21||오스트리아의 산들에는||-|| || ||<:>22||영국의 주봉 벤네비스가 어느 날 하신 이야기||-|| || ||<:>23||웨일스 지방의 제일봉 스노우든이 말씀하기를||-|| || ||<:>24||아일랜드의 훤칠한 색시들의 산||-|| || ||<:>25||스웨덴의 주봉 '케브네카이세'와의 대화||-|| || ||<:>26||노르웨이의 그리테르틴덴 산 쪽에서||-|| || ||<:>27||핀란드의 할티아 산의 밀어||-|| || ||<:>28||러시아의 까즈베크 봉이 어느 날 하신 이야기||-|| || ||<:>29||1990년 초여름 폴란드의 리씨 산과의 대화||-|| || ||<:>30||헝가리의 케케스 산이 말씀하기를||-|| || ||<:>31||체코슬로바키아의 산 게를라코프카가 늘 늘 하시는 이야기||-|| || ||<:>32||유고의 산 색시 '비라'에 대해서||-|| || ||<:>33||불가리아의 주봉 무살라에 떠오른 해의 여신과의 대화||-|| || ||<:>34||루마니아의 몰도베아누 산에서||-|| || || ||<-2>오세아니아 편|| || ||<:>35||호주 남오스트레일리아 주의 우우드로프 산에서 한 초기이민의 넋이 말씀하기를||-|| || ||<:>36||호주령 파푸아뉴기니의 산들의 속삭임||-|| || ||<:>37||뉴질랜드 산들의 말씀||-|| || || ||<-2>북아메리카 편|| || ||<:>38||유콘, 노스웨스트 테리트리스 지방의 산들에서는||-|| || ||<:>39||브리티쉬 콜롬비아 지방의 산들의 농담일석||-|| || ||<:>40||새스카치원 지방에서 뉴화운드랜드 지방까지의 산들이 무심코 소근대는 이야기||-|| || ||<:>41||알래스카 산들의 암시||-|| || ||<:>42||하와이 주, 오아후 섬의 푸우카레나 산의 산신녀의 시||-|| || ||<:>43||워싱턴 주의 다이아몬드 산이 말씀하기를||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44||오리간 주 산들의 시||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45||아이다호 주의 주봉 '보라'가 하시는 이야기||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46||몬타나 주의 산중인상||-|| || ||<:>47||와이오밍 산중||-|| || ||<:>48||콜로라도 산들의 이미지초(抄)||-|| || ||<:>49||캘리포니아 산들의 동향||-|| || ||<:>50||네바다 사막의 산들 이야기||-|| || ||<:>51||유타 주 산들의 구성||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52||애리조나 산봉우리들의 말씀||-|| || ||<:>53||뉴멕시코 산들의 인상||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54||남북 다코타 산들 이야기||-|| || ||<:>55||네브라스카 산들에서 나는 소리||-|| || ||<:>56||캔자스 주의 두 산이 빚는 이미지||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57||오클라호마 산들의 선포||-|| || ||<:>58||텍사스 산들의 구성||-|| || ||<:>59||미네소타 주의 산들||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60||아이오아의 유일한 산||-|| || ||<:>61||아캔서스 산들이 하시는 말씀||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62||위스콘신의 산에서는||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63||인디애나 산들의 기원||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64||오하이오의 세 개의 산 이름이 유도하는 시청각||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65||켄터키 산들의 인상||-|| || ||<:>66||테네시의 산들||-|| || ||<:>67||미시시피 주의 우드올 산에서||-|| || ||<:>68||메인 산악지대 소묘||-|| || ||<:>69||뉴욕 주의 산들에서는||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70||코네티컷 산들의 말씀||-|| || ||<:>71||매사추세츠 산들에서 오는 이미지||세계의문학 1990년 봄호|| || ||<:>72||펜실베니아의 산들에서는||-|| || ||<:>73||웨스트버지니아 산에서는||-|| || ||<:>74||버지니아 산에서는||-|| || ||<:>75||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산들이 빚는 이야기||-|| || ||<:>76||멕시코의 영봉 '씨트랄테페틀'이 어느 날 하신 이야기||-|| || ||<:>77||서인도제도의 산들의 속삭임||-|| || || ||<-2>남아메리카 편|| || ||<:>78||에콰도르의 코토팍시 산이 어느 날 하신 말씀||-|| || ||<:>79||콜롬비아의 주봉 크리스토발 콜론의 회고담||-|| || ||<:>80||베네수엘라의 주봉 볼리바르의 어느 날의 넋두리||-|| || ||<:>81||페루의 산들의 의미||-|| || ||<:>82||칠레, 라스카르 산의 회고담||-|| || ||<:>83||아르헨티나의 보네테 산이 어느 날 귀띔해 주신 말씀||-|| || ||<:>84||브라질의 태양산의 신령께서 하소연하시기를||-|| || || ||<-2>아프리카 편|| || ||<:>85||이집트 사막의 다섯 개의 산에서 나는 소리||-|| || ||<:>86||모로코의 아틀라스 산맥의 주봉 투브칼에게||-|| || ||<:>87||에티오피아의 주봉 라스다센테라라 산이 말씀하기를||-|| || ||<:>88||카메룬 나라의 카메룬 산이 어느 날 하신 이야기||-|| || ||<:>89||카메룬 나라의 카메룬 산이 두 번째로 하신 이야기||-|| || ||<:>90||카메룬 산이 세 번째로 하신 이야기||-|| || ||<:>91||킬리만자로 산의 자기소개||-|| || === 늙은 떠돌이의 시 (1993) === ||<-2><#FFFFFF>
[[파일:oldtteodori.jpg|width=100%]]|| ||<:>출판사||<:>민음사|| ||<:>출간일||<:>1993년 11월 10일|| ||<:>수록 편수||<:>72편|| 열네 번째 시집.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반 사이에 씌어진 시들을 묶었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내 어렸을 적의 시간들|| || ||<:>1||내가 천자책을 다 배웠을 때||시와시학 1993년 여름호||[* 원제는 '내가 처음 겪은 국선의 시간']|| ||<:>2||쑥국새 소리 시간||시와시학 1993년 여름호||[* 원제는 '쑥국새 울음 속에서']|| ||<:>3||감꽃 질 때||-|| || ||<:>4||개울 건너 부안댁의 풋감 때 세월||시와시학 1993년 여름호|| || ||<:>5||초가지붕에 박꽃이 필 때||시와시학 1993년 가을호|| || ||<:>6||맑은 여름밤의 별하늘 밑을 아버지 등에 업히어서||시와시학 1993년 여름호|| || ||<:>7||여름밤 소쩍새와 개구리가 만들던 시간||시와시학 1993년 여름호|| || ||<:>8||뻐꾹새 소리뿐||시와시학 1993년 가을호|| || ||<:>9||추석 전날 달밤에 송편 빚을 때||시와시학 1993년 가을호|| || ||<:>10||최노적 씨||시와시학 1993년 가을호|| || || ||<-2>구 만주제국 체류시|| || ||<:>11||만주제국 국자가(연길)의 1940년 가을||시와시학 1992년 봄호|| || ||<:>12||일본 헌병 고 쌍놈의 새끼||시와시학 1992년 봄호|| || ||<:>13||간도 용정촌의 1941년 1월의 어느 날||시와시학 1992년 봄호|| || ||<:>14||북간도의 청년 영어교사 김진수 옹||시와시학 1992년 봄호|| || ||<:>15||시인 함형수 소전||시와시학 1992년 봄호|| || || ||<-2>에짚트의 시|| || ||<:>16||나일강엔 연사흘 비만 내리어||현대시학 1991년 10월호|| || ||<:>17||에짚트의 연꽃||현대시학 1991년 10월호|| || ||<:>18||에짚트의 모래밭을 가노라||-|| || ||<:>19||에짚트의 어떤 저승의 문 앞||현대시학 1991년 10월호|| || ||<:>20||에짚트의 저승의 수염 좋은 뱀||-|| || || ||<-2>1988ㆍ1989년의 시들|| || ||<:>21||낙락장송의 솔잎송이들||세계의문학 1989년 겨울호|| || ||<:>22||이런 여자가 있었지||-|| || ||<:>23||포르투갈의 불꽃||세계의문학 1989년 겨울호|| || ||<:>24||비밀한 내 사랑이||세계의문학 1989년 겨울호|| || || ||<-2>노처의 병상 옆에서|| || ||<:>25||노처의 병상 옆에서||-|| || ||<:>26||계피||-|| || ||<:>27||부산의 해물잡탕||-|| || ||<:>28||범어사의 새벽 종소리||-|| || || ||<-2>1990년의 구 공산권 기행시|| || ||<:>29||유고슬라비아의 밀밭 사잇길에서||-|| || ||<:>30||항가리의 시||-|| || ||<:>31||부다페스트에서 모스코로 날아가는 러시아 여객기 화장실 속의 그 찐한 찌린내||자유공론 1991년 7월호|| || ||<:>32||마스끄바 서쪽 하늘의 선지핏빛 덩어리 구름||-|| || ||<:>33||시베리아 항공편||-|| || ||<:>34||북경 벽운사의 대나무 지팽이||-|| || ||<:>35||코끼리 어금니를 실로 뽑아 만든 발||-|| || ||<:>36||중공 인민복 대열의 그 유지들의 얼굴들||문학사상 1991년 11월호|| || ||<:>37||1989년 6월 3일의 북경 천안문 광장 대학살 1주년 기념일에, 그곳에서||-|| || || ||<-2>해방된 러시아에서의 시|| || ||<:>38||레오 톨스토이의 무덤 앞에서||문학사상 1993년 1월호|| || ||<:>39||1992년 여름의 페테르부르크에서||세계의문학 1992년 겨울호|| || ||<:>40||1992년 여름의 러시아 황소||세계의문학 1992년 겨울호|| || ||<:>41||러시아 미녀찬||세계의문학 1992년 겨울호|| || ||<:>42||마스끄바에 안개 자욱한 날||세계의문학 1992년 겨울호|| || ||<:>43||러시아의 암무당||문학사상 1993년 1월호|| || ||<:>44||에또 푸로스토 말리나!||문학사상 1993년 1월호|| || ||<:>45||페테르부르크의 우리 된장국||세계의문학 1992년 겨울호|| || || ||<-2>1991, 1992, 1993년의 기타 시들|| || ||<:>46||무제||-|| || ||<:>47||시월상달||문학사상 1991년 11월호|| || ||<:>48||요즘의 나의 시||문학사상 1991년 11월호|| || ||<:>49||가을비 소리||-|| || ||<:>50||기러기 소리||-|| || ||<:>51||매화에 산새 한 쌍||-|| || ||<:>52||방랑에의 유혹||-|| || ||<:>53||오동 꽃나무||-|| || ||<:>54||지리산 산청||-|| || ||<:>55||노스 캐롤라이나의 수풀 속에서||현대시학 1993년 1월호|| || ||<:>56||썬 댄스라는 곳에서||현대시학 1993년 1월호||[* 이하 두 편은 '와이오밍 시 2편'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57||와이오밍의 기러기 소리||현대시학 1993년 1월호|| || ||<:>58||한솥에 밥을 먹고||현대문학 1993년 4월호|| || ||<:>59||쬐끔밖엔 내릴 줄 모르는 아조 독한 눈||현대문학 1993년 4월호|| || ||<:>60||봄 가까운 날||현대문학 1993년 4월호|| || ||<:>61||우리나라의 열두 발 상무||현대문학 1993년 4월호|| || ||<:>62||비가 내린다||동서문학 1993년 6월호|| || ||<:>63||기러기 울음 속에는||-|| || ||<:>64||메소포타미아(이라크) 신화를 읽고||자유공론 1993년 5월호|| || ||<:>65||티베트 이야기||-|| || ||<:>66||범부채꽃||-|| || ||<:>67||이슬비 속 창포꽃||-|| || ||<:>68||낭디의 황혼의 산맥들의 주름살||현대시 1993년 12월호|| || ||<:>69||실제||-|| || ||<:>70||페르샤 신화풍||-|| || ||<:>71||눈물 나네||-|| || ||<:>72||이 세상에서 제일로 좋은 것||-|| || === 80소년 떠돌이의 시 (1997) === ||<-2><#FFFFFF>
[[파일:80boytteodori.jpg|width=100%]]|| ||<:>출판사||<:>시와시학사|| ||<:>출간일||<:>1997년 11월 1일|| ||<:>수록 편수||<:>47편 (2판 기준)|| 열다섯 번째 시집이자 생전에 출간된 마지막 시집. 1990년대 중후반에 씌어진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뒷부분에는 서정주의 산문 <나의 문학인생 7장>과 함께 시인 오세영과 평론가 김재홍의 해설이 실려 있다. 서정주 사후인 2000년 2판을 내면서 시인 생전에 마지막으로 발표된 작품인 <겨울 어느 날의 늙은 아내와 나>를 비롯해 98년 이후에 씌어진 시 3편이 추가되었다.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 ||<-2><늙은 떠돌이의 시> 이후의 1993년 시편|| || ||<:>1||당명왕과 양귀비와 모란꽃이||현대시학 1996년 1월호|| || ||<:>2||우리 집의 큰 황소||-|| || ||<:>3||일곱 살 때 할머니에게 들은 흰 암여우 이얘기||-|| || ||<:>4||논가의 가을||-|| || ||<:>5||서지월이의 홍시||-|| || || ||<-2>1994년 시편|| || ||<:>6||고창 선운사의 동백꽃 제사||작가세계 1994년 봄호|| || ||<:>7||첫사랑의 시||-|| || ||<:>8||쿨란다 산의 '나비의 성역'에서||-|| || ||<:>9||쿨란다 산골||-|| || ||<:>10||콩꽃 웃음||작가세계 1994년 봄호|| || ||<:>11||안동 소주||-|| || ||<:>12||충청도라 속리산 화양골의||작가세계 1994년 봄호|| || ||<:>13||이화중선이 이얘기||작가세계 1994년 봄호|| || ||<:>14||폭설||-|| || ||<:>15||야채 장사 김종갑 씨||월간조선 1994년 7월호|| || ||<:>16||시베리아 미인들의 황금이빨 웃음||-|| || ||<:>17||1994년 7월 바이칼 호수를 다녀와서 우리 집 감나무에게 드리는 인사||-|| || ||<:>18||어린 집지기||시와시학 1994년 가을호|| || ||<:>19||어린 집지기의 구름||시와시학 1994년 가을호|| || ||<:>20||80세의 추석날 달밤에||-|| || ||<:>21||손바닥을 보며||-|| || ||<:>22||열두 살 때의 중굿날||-|| || ||<:>23||요즘 소식||월간에세이 1995년 1월호||[* 원제는 '근황-1995년 새해를 맞이하며']|| ||<:>24||보세-묵란||문학사상 1995년 1월호||[* 원제는 '보세 '묵란'꽃 핀 걸 보고 맡으며']|| || ||<-2>1995년 시편|| || ||<:>25||한란세배||현대문학 1995년 3월호|| || ||<:>26||지난해와 새해 사이||문학사상 1996년 1월호||[* 원제는 '1996년 새해 첫 아침에']|| ||<:>27||늙은 사내의 시||현대문학 1995년 3월호||[* 원제는 '늙은 아내의 손톱 깎아주기']|| ||<:>28||나는 아침마다 이 세계의 산 1628개의 이름들을 불러서 왼다||현대문학 1995년 3월호||[* 원제는 '지구 위의 산 이름들 세기']|| ||<:>29||에짚트의 햇님||-|| || ||<:>30||바이칼 호숫가의 비취의 돌칼||시와시학 1996년 봄/여름호|| || ||<:>31||질마재의 내 생가||현대문학 1995년 3월호||[* 원제는 '생가복원']|| || ||<-2>1996~1997년 시편|| || ||<:>32||1996년 음력 설날에||문학사상 1997년 1월호||[* 원제는 '1997년 설날에']|| ||<:>33||한란 너는||현대문학 1997년 1월호|| || ||<:>34||쏠로몬 왕의 애인의 이빨||현대문학 1996년 8월호|| || ||<:>35||쏠로몬 왕의 바다||현대문학 1996년 8월호|| || ||<:>36||어느 날의 까치||-|| || ||<:>37||38선 따라지보다 한끗 더 팔자 세게||-|| || ||<:>38||도로아미타불의 내 햇살||시와시학 1997년 봄/여름호|| || ||<:>39||무주공산||현대문학 1995년 7월호|| || ||<:>40||석류열매와 종소리||21세기문학 1997년 봄호|| || ||<:>41||벵상 방 고의 그림 <씨 뿌리는 사람>을 보고||시와반시 1996년 여름호|| || ||<:>42||벵상 방 고의 그림 <감자를 먹고 있는 식구들>을 보고||-|| || ||<:>43||캄차카의 좋은 운수||-|| || ||<:>44||서울의 겨울 참새들에게||시와시학 1997년 봄/여름호|| || || ||<-2>그 이후ㆍ미발표|| || ||<:>45||우리나라 아버지||시와시학 1998년 봄호|| || ||<:>46||우리나라 어머니||시와시학 1998년 봄호|| || ||<:>47||겨울 어느 날의 늙은 아내와 나||시와시학 2000년 봄호|| || === 시집 미수록 작품 === ==== 1933~1945년 ====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1||그 어머니의 부탁||동아일보 1933.12.24.|| || ||<:>2||서울 가는 순이에게||동아일보 1934.5.8.|| || ||<:>3||동백||학등 1934년 6월호|| || ||<:>4||어촌의 등불||학등 1934년 6월호|| || ||<:>5||님||학등 1934년 8월호|| || ||<:>6||서쪽 하늘을 맡겨두고 왔건만||학등 1934년 9월호|| || ||<:>7||가을||동아일보 1934.11.3.|| || ||<:>8||비나리는 밤||동아일보 1934.11.23.|| || ||<:>9||생각이여||학등 1935년 1월호|| || ||<:>10||새벽 송주||동아일보 1935.3.30.|| || ||<:>11||수집은 누의야||매일신보 1936.1.29.|| || ||<:>12||감꽃||동아일보 1936.8.9.|| || ||<:>13||옥야||시인부락 1집 (1936.11.)|| || ||<:>14||절망의 노래||시건설 1936년 11월호|| || ||<:>15||달밤||시인부락 2집 (1937.1.)|| || ||<:>16||방||시인부락 2집 (1937.1.)|| || ||<:>17||안즌뱅이의 노래||자오선 1937년 1월호|| || ||<:>18||안압지||사해공론 1937년 4월호||[* 이하 5편은 '경주시(기행시)'라는 제목으로 묶여서 발표되었다.]|| ||<:>19||시림||사해공론 1937년 4월호|| || ||<:>20||석빙고||사해공론 1937년 4월호|| || ||<:>21||첨성대 1||사해공론 1937년 4월호|| || ||<:>22||첨성대 2||사해공론 1937년 4월호|| || ||<:>23||흐르는 불||시건설 1937년 9월호|| || ||<:>24||모||맥 1938년 10월호|| || ||<:>25||여름밤||시건설 1938년 12월호|| || ||<:>26||풀밭에 누어서||비판 1939년 6월호|| || ||<:>27||살구꽃 필 때||문장 1941년 4월호|| || ||<:>28||항공일에||국민문학 1943년 10월호||일어시|| ||<:>29||헌시||매일신보 1943.11.16.|| || ||<:>30||무제||국민문학 1944년 8월호||일어시|| ||<:>31||송정오장 송가||매일신보 1944.12.9.|| || ==== 1945~1960년 ====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32||밤||개벽 1946년 1월호|| || ||<:>33||피||동아일보 1946.4.30.|| || ||<:>34||백옥루부||수산경제신문 1946.6.10.|| || ||<:>35||통곡||해동공론 1946년 12월호|| || ||<:>36||춘향옥중가||대조 1947년 5월호|| || ||<:>37||춘향옥중가 3||대조 1947년 11월호|| || ||<:>38||그날||예술조선 1948년 2월호|| || ||<:>39||곰||새한민보 1948.2.15.|| || ||<:>40||깐듸 송가||평화일보 1948.2.17.|| || ||<:>41||눈||평화일보 1948.2.24.|| || ||<:>42||저녁노을처럼||백민 1948년 4,5월호|| || ||<:>43||8월 15일에||경향신문 1949.8.15.|| || ||<:>44||선덕여왕찬||문예 1950년 6월호|| || ||<:>45||일선행차 중에서||전선문학 1950년 10월호|| || ||<:>46||영도일지 (1)||문예 1950년 12월호|| || ||<:>47||산중문답||현대문학 1955년 1월호|| || ||<:>48||우일즉흥||해군 44호 (1956.8.)|| || ||<:>49||오히려 사랑할 줄 아는||경향신문 1956.9.12.|| || ||<:>50||어떤 새벽에||현대문학 1956년 11월호|| || ||<:>51||씨받을 열매와 우리 지도자는||자유세계 1956년 12월호|| || ||<:>52||Triolet 시작||지성 1958년 9월호|| || ||<:>53||석굴암 본존||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이하 11편은 '민족예술의 정화-한국의 탑, 불상'이라는 제목으로 묶여서 발표되었다.]|| ||<:>54||경주박물관 소재 석불||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55||은진미륵보살||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56||안동 제비연 석불||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57||대흥사 천불||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58||원각사지 석탑||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59||법주사 팔상전||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60||다보탑||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61||월정사 구층 석탑||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62||화엄사 삼층 사사자탑||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63||경주 분황사 석탑||자유공론 1958년 12월호|| || ||<:>64||서민의 호수||신문예 1959년 3월호|| || ||<:>65||애가||신태양 1959년 3월호|| || ||<:>66||송년음||코메트 41호 (1959.10.)|| || ==== 1961~1970년 ====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67||신라인의 통화||현대문학 1961년 1월호|| || ||<:>68||혁명찬||경향신문 1961.8.24.|| || ||<:>69||그대는||여원 1961년 10월호|| || ||<:>70||추분 가까운 날||여원 1962년 11월호|| || ||<:>71||미인을 찬양하는 신라적 어법||사상계 1962년 11월호|| || ||<:>72||이 피의 정적 속에||경향신문 1962.2.1.|| || ||<:>73||리라꽃 그늘||동아일보 1962.4.30.|| || ||<:>74||여원에 주는 시||여원 1963년 12월호|| || ||<:>75||여기는||신동아 1964년 9월호|| || ||<:>76||인촌선생 생각||동아일보 1965.2.16.|| || ||<:>77||축시||시문학 1966년 4월호|| || ||<:>78||여행가 (2)||문학 1966년 5월호|| || ||<:>79||토함산우중||현대문학 1967년 1월호|| || ||<:>80||가을 손톱||경향신문 1967.10.9.|| || ||<:>81||마지막 그들의 무덤을 파고||자유공론 1968년 2월호|| || ||<:>82||새 인사||현대문학 1968년 6월호|| || ||<:>83||산나리꽃||예술원보 12호 (1968.11.)|| || ||<:>84||이십대의 요술||세대 1969년 3월호|| || ||<:>85||불교도의 노래||법륜 1969년 4월호||[* 작사]|| ||<:>86||설날의 영상||경향신문 1970.1.1.|| || ||<:>87||비는 마음||현대시조 1970년 7월호|| || ==== 1971~1980년 ====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88||새해의 소원||법륜 1971년 1월호|| || ||<:>89||무제||월간문학 1971년 11월호|| || ||<:>90||호남 광주||예술원보 15호 (1971.11.)|| || ||<:>91||곡 중화민국 여공사||월간문학 1972년 8월호|| || ||<:>92||숨쉬는 손톱||문학사상 1972년 10월호|| || ||<:>93||석남꽃||수필문학 1972년 10월호|| || ||<:>94||무애선생 고희유감||동악어문논집 (1972.12.)|| || ||<:>95||동일우음||동국 9호 (1973.7.)|| || ||<:>96||없어진 목침 하나||문학과지성 1974년 가을호||[* 이하 3편은 '내소사 근처'라는 제목으로 묶여서 발표되었다.]|| ||<:>97||바닷가에 내다버린 놈||문학과지성 1974년 가을호|| || ||<:>98||청련암 곡차 노화상||문학과지성 1974년 가을호|| || ||<:>99||1천자 축사||현대문학 1975년 1월호|| || ||<:>100||군자일언||시문학 1975년 6월호||[* <질마재 신화> 연작의 한 편으로 발표되었으나, 시집에는 수록되지 못했다.]|| ||<:>101||이마의 상흔||세대 1975년 7월호|| || ||<:>102||통영의 미더덕찜||문학사상 1976년 7월호|| || ||<:>103||개나리 유감||한국문학 1976년 7월호|| || ||<:>104||댑싸릿잎 오손도손||신협 1976년 8월호|| || ||<:>105||노처소묘||세계의문학 1976년 가을호|| || ||<:>106||1976년 여름의 목백일홍||세계의문학 1976년 가을호|| || ||<:>107||동국고희의 해에||동국 12호 (1976.9.)|| || ||<:>108||내 새 주민등록증||문학사상 1976년 12월호||[* 이하 5편은 '홍도풍류초'라는 제목으로 묶여서 발표되었다.]|| ||<:>109||내 새로운 은사 사공부시 양에게||문학사상 1976년 12월호|| || ||<:>110||홍도 물나무||문학사상 1976년 12월호|| || ||<:>111||홍도 시간||문학사상 1976년 12월호|| || ||<:>112||늦가을 홍도||문학사상 1976년 12월호|| || ||<:>113||내가 숙소에서 하룻밤동안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br]지리산 호랑이가 만들어놓은 계율이야기||은혜로운 햇빛 속에[br](지인사, 1976)|| || ||<:>114||메이드 인 코리아||심상 1977년 1월호|| || ||<:>115||전단향에 부쳐||법륜 1977년 1월호|| || ||<:>116||홍시||월간대화 1977년 2월호||[* 이하 2편은 '동정이제'라는 제목으로 묶여서 발표되었다.] || ||<:>117||아송||월간대화 1977년 2월호|| || ||<:>118||옛 성현들의 말씀대로||월간문학 1977년 5월호|| || ||<:>119||보리고비||한국문학 1977년 6월호|| || ||<:>120||궂은 날, 개인 날||신동아 1977년 6월호|| || ||<:>121||적멸위락||법륜 1977년 6월호|| || ||<:>122||우리나라 돌무늬||시문학 1977년 7월호|| || ||<:>123||효부||세계의문학 1977년 가을호|| || ||<:>124||고려청자||세계의문학 1977년 가을호|| || ||<:>125||성봉 아우님 환갑날에||새국어교육 25-26호 (1977)|| || ||<:>126||잔||문학사상 1977년 12월호|| || ||<:>127||세계 떠돌잇길에 나서며||한국문학 1978년 1월호|| || ||<:>128||아무렴, 그런 학두루미 그림이 있었네||경향신문 1978.11.1.|| || ||<:>129||연오 세오의 바른씨||신영 1979년 1월호|| || ||<:>130||새해의 금성에 부쳐||금성가족 1979년 2월호|| || ||<:>131||내 손자 거인이의 또 하나의 조부||문학사상 1979년 5월호||[* <서으로 가는 달처럼...> 연작의 한 편으로 발표되었으나, 시집에는 수록되지 못했다.]|| ||<:>132||나의 시||한국문학 1979년 7월호|| || ||<:>133||기자의 내력||문학사상 1980년 4월호||[* 이하 문학사상에서 발표된 3편은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 연작으로 발표되었으나, 시집에는 수록되지 못했다.]|| ||<:>134||왕 금와부부의 첫날밤 사설||문학사상 1980년 6월호|| || ||<:>135||우거지 쌍판으로||세계의문학 1980년 여름호|| || ||<:>136||마음에 든 여자의 손톱의 반달처럼만 하고||세계의문학 1980년 여름호|| || ||<:>137||대한민국 GNP가 억딸라가 되건 말건||세계의문학 1980년 여름호|| || ||<:>138||신라 풍류 3||문학사상 1980년 8월호|| || ==== 1981~1990년 ====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139||백여우꼬리꽃||심상 1981년 9월호|| || ||<:>140||히말라야 산중소감||심상 1981년 9월호|| || ||<:>141||화개라는 곳||소설문학 1982년 1월호|| || ||<:>142||조화치 나룻목에서||소설문학 1982년 1월호|| || ||<:>143||지리산 청학동에서||소설문학 1982년 1월호|| || ||<:>144||내 아내 2||한국문학 1982년 3월호|| || ||<:>145||되돌아온 내 시||현대문학 1982년 7월호||[* <안 잊히는 일들> 연작의 한 편으로 발표되었으나, 시집에는 수록되지 못했다.]|| ||<:>146||여자||문학사상 1983년 10월호|| || ||<:>147||이뿐 이빨||문학사상 1983년 10월호|| || ||<:>148||찬양 동국대 학우들에게||동국 19호 (1983)|| || ||<:>149||예수가 기술로 빵과 물고기를 몽땅 만들던 자리||문학사상 1984년 9월호|| || ||<:>150||점||월간조선 1985년 1월호|| || ||<:>151||구산스님 가신 날||불일회보 1985.1.1.|| || ||<:>152||가을 벌판에 서면||문학사상 1985년 10월호|| || ||<:>153||노처와 수련과 나||문학사상 1986년 1월호|| || ||<:>154||하늘의 눈동자||동서문학 1986년 1월호|| || ||<:>155||공무원이 어디 따로 있는가?||지방행정 1987년 3월호|| || ||<:>156||잠의 찬미||문학사상 1989년 10월호|| || ==== 1991~2000년 ==== ||
<:>번호||<:>제목||<:>발표지면||<:>비고|| ||<:>157||부다페스트의 호텔 로비에서||문학사상 1991년 11월호|| || ||<:>158||에짚트의 사막에서||문학사상 1991년 11월호|| || ||<:>159||나의 목적지||자유공론 1991년 12월호|| || ||<:>160||여행에의 유혹||현대문학 1992년 6월호|| || ||<:>161||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선생 댁에서||문학사상 1993년 1월호|| || ||<:>162||러시아에 살고지고||문학사상 1993년 1월호|| || ||<:>163||부는 바람 따라서||현대문학 1993년 4월호|| || ||<:>164||니르바나 이야기||현대시학 1994년 1월호|| || ||<:>165||박동숙이의 꽃과 그네||시와시학 1994년 봄호|| || ||<:>166||갈대밭 머리에서||시와시학 1994년 봄호|| || ||<:>167||꽃상여||시와시학 1994년 여름호|| || ||<:>168||홍시||시와시학 1994년 여름호|| || ||<:>169||콩을 볶아 먹으면서||시와시학 1994년 여름호|| || ||<:>170||개울물 건네기와 떨어진 홍시 주워서 먹기||시와시학 1994년 가을호|| || ||<:>171||우리나라 미인||신동아 1994년 12월호|| || ||<:>172||축시||현대문학 1995년 1월호|| || ||<:>173||축시||문학아카데미 1995.1.15.|| || ||<:>174||'샘터' 300호를 맞이하여||샘터 1995년 2월호|| || ||<:>175||도로아미타불||현대문학 1995년 7월호|| || ||<:>176||무제||월간에세이 1996년 5월호|| || ||<:>177||관악구에 새해가 오면||현대문학 1998년 1월호|| || ||<:>178||결국은||현대문학 1998년 1월호|| || ||<:>179||여든 세 살 때의 추석 명월||현대문학 1998년 1월호|| || ||<:>180||내 늙은 아내||현대문학 1998년 1월호|| || ||<:>181||페르시아 문명에서 제일 좋은 것||현대문학 1998년 1월호|| || ||<:>182||이 세상에서 제일 키 큰 나무들의 수풀||문예중앙 1998년 봄/여름호|| || ||<:>183||미국의 껌정 사자 '퓨우마'||문예중앙 1998년 봄/여름호|| || ||<:>184||미국의 가마귀와 한국 가마귀||문예중앙 1998년 봄/여름호|| || ||<:>185||내 고향 선운리의 하늘||시안 1998년 가을호|| || ||<:>186||2000년 첫날을 위한 시||중앙일보 2000.1.1.|| || == 산문집 == ||
<:>번호||<:>연도||<:>제목||<:>출판사||<:>비고|| ||<:>1||<:>1977||천지유정||동원각||자서전[* 1968년에서 1971년까지 '월간문학'에서 연재되었다. 1975년 '나의 문학적 자서전'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으며 1972년의 서정주문학전집과 1994년의 '미당 자서전'의 한 권으로 묶였다.]|| ||<:>2||<:>1976||미당 수상록||민음사|| || ||<:>3||<:>1977||도깨비 난 마을 이야기||백만사||자서전[* 1960년 '세계일보'에서 연재되었다. 1972년의 서정주문학전집과 1994년의 '미당 자서전'의 한 권으로 묶였다.]|| ||<:>4||<:>1977||내 영원은 물빛 라일락||갑인출판사|| || ||<:>5||<:>1977||나의 문학, 나의 인생||세종출판공사|| || ||<:>6||<:>1977||하느님의 에누리||문음사|| || ||<:>7||<:>1980||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민예사|| || ||<:>8||<:>1985||육자배기 가락에 타는 진달래||예전사|| || ||<:>9||<:>1987||시인과 국화||갑인출판사|| || ||<:>10||<:>1987||한 사발의 냉수||자유문학사|| || ||<:>11||<:>1992||노자 없는 나그네길||신원문화사|| || ||<:>12||<:>1993||미당 산문||민음사|| || == 기타 == ||
<:>번호||<:>연도||<:>제목||<:>출판사||<:>비고|| ||<:>1||<:>1948||김좌진 장군전||을유문화사||전기|| ||<:>2||<:>1949||이승만 박사전||삼팔사||전기[* 1995년 '우남 이승만전'이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었다.]|| ||<:>3||<:>1949||시창작법 (서정주, 조지훈, 박목월 공저)||선문사||논저|| ||<:>4||<:>1956||시창작교실||인간사||논저|| ||<:>5||<:>1959||시문학개론||정음사||논저|| ||<:>6||<:>1969||한국의 현대시||일지사||논저|| ||<:>7||<:>1969||시문학원론||정음사||논저|| ||<:>8||<:>1977||석사 장이소의 산책||삼중당||소설[* 1973년에서 1974년까지 '현대문학'에서 연재되었다.]|| ||<:>9||<:>1980||떠돌며 머흘며 무엇을 보려느뇨||동화출판사||방랑기[* 1978년에서 1979년까지 '경향신문'에서 연재되었다. 1994년 '미당 세계 방랑기'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었다.]|| ||<:>10||<:>1991||세계 민화집 (전5권)||민음사||민화집|| ||<:>11||<:>1993||영원의 미소/석사 장이소의 산책||명문당||희곡[* 1974년 '문학사상'에서 연재되었다.]/소설|| ||<:>12||<:>1993||우리나라 신선 선녀 이야기||민음사||그림동화|| ||<:>13||<:>1993||서정주 문학앨범||웅진출판|| || [[분류:서정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