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건담 W 주요 기체)] || [[파일:10939957.jpg|width=100%]] || || '''MMS-01 Serpent'''[* 표기상으로는 [[서펀트]]가 맞으나, 일본어를 번역하면서 서펜트로 굳어져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의 한국어판에서도 '''서펜트'''라는 표기를 사용 중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OVA, 극장판 애니메이션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에 등장하는 [[양산형]] [[모빌슈트]]. 구 지구연합에서 리오의 후계기로 개발하던 MS로, 건담들의 성능에 주목한 연합과 OZ가 X-18999 콜로니를 생산거점으로 삼고 개발, A.C.195년 배치를 앞두고 있었다. 지구권통일국가가 MS를 폐기한 뒤에는 마리메이어군에 의해서 비밀리에 양산, A.C.196년 쿠데타에 투입되었다. 사실 본 기체의 개발에는 바톤 재단의 자금지원이 있었다는 추측이 있다. == 제원 == ||<-3>
MMS-01 Serpent Profile || ||<-3> {{{#!folding [접기 / 펼치기] ||
번호 ||<-2> MMS-01 || ||<|4> 명칭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45]]]] || 서펜트 ||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45]]]] || サーペント ||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45]]]] || 沙貝特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45]]]] || Serpent || || 형식 ||<-2> [[모빌슈트]] || || 설계 ||<-2> [[세계 국가 연합]] || || 제작 ||<-2> 바톤 재단 || || 오퍼레이터 ||<|2><-2> 마리메이아 군 || || 소속 || || 파일럿 ||<-2> [[트로와 바톤]] [br] 마리메이아 군 병사 || || 최초 배치 ||<-2> AC 196. 12. 24 || || 최종 배치 ||<-2> AC 196. 12. 27 || ||<-3> MMS-01 Serpent General Characteristics || || 조종 ||<-2> 흉부 콕핏에 파일럿 위치 || || 전고 ||<-2> 16.6m || || 중량 ||<-2> 8.6t[* 자체중량 기준] || || 출력 ||<-2> 2,998 kW || || 추력 ||<-2> 72,030 kg || || 장갑 ||<-2> 네오 티타늄 합금[* 설정상 [[건다늄 합금]]과 비슷한 방어력을 가졌다.] || ||<-3> MMS-01 Serpent General Armaments || || 센서 ||<-2> 탐지 범위 불명 || || 패러슈트 팩 ||<-2> 강하시 등부분 장비 || || 8연장 미사일 발사기 X2 ||<-2> 양쪽 어깨부분 내장 || || 더블 개틀링 건 ||<-2> 제식 무장 [br] 미사용시 양쪽 어깨 장비 || || 빔 캐논 ||<-2> 옵션 무장 [br] 미사용시 백팩 장비 || || 바주카 ||<-2> 원거리 지원 포지션 무장 [br] 미사용시 백팩 장비 || ||<-3> MMS-01 Serpent Developed From || ||<-3> XXXG-01H2 Gundam Heavyarms Kai || ||<-3> MMS-01 Serpent Mechanical Designer || ||<-3> [[카토키 하지메]] || ||<-3> MMS-01 Serpent Picture || ||<-2>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erpent_Art.gif|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erpent_Art0.gif|width=100%]] || ||<-2> 더블 개틀링 건 장비 설정화 || 바주카 장비 설정화 || ||<-2>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erpent_Art1.gif|width=100%]] || [[파일:external/cfs6.blog.daum.net/47d3f708f269f&filename=307.jpg|width=100%]] || ||<-2> 빔 캐논 장비 설정화 || 극중 모습 || }}} || == 특징 == 마리메이어군이 투입한 서펜트는 MMS-01이라는 형식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주무장으로 더블 [[개틀링 기관총]]과 [[바주카]], 빔 캐논을 장비, 양 어깨에 8연장 미사일 포드가 장착되어 화력이 우수한 편이다. 더블 개틀링 건은 [[건담 헤비암즈 改(EW)|헤비암즈 改(EW)]]가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고 바주카는 실탄계열 무기중 가장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는 무기이다. 빔 캐논의 경우에는 [[바이에이트]]의 기술을 응용하여 만든 것으로 위력은 도버 건과 빔 캐논의 중간쯤이지만 최대 출력은 빔 캐논의 출력과 엇비슷한, 대량생산형 빔 무기로는 최강급이다. 장갑 재질도 네오 티타늄 합금의 사용으로 리오에 비해서 방어력도 크게 강화되었다. 하지만 근접전에 대응할 무기가 전혀 없다[* 리오가 기본으로 빔 사벨을 장비하여 근접전에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었던 것과 대비된다. 빔 사벨로 갈 출력을 모두 화력으로 돌리게 되면서 자연스레 배제된 것으로 추정된다.]. 적이 다가오기 전에 화력으로 압살하는 것 외에 대처법이 없는 셈. 사실상 건담 헤비암즈 改(EW)의 양산형 모델이라 봐도 될 정도다. 명칭은 건담 윙 시리즈의 다른 양산형 모빌슈트들처럼 황도의 13번째 별자리인 [[땅꾼자리]]에서 유래했다. 그래서 '13번째의 별자리(성좌)'라는 암호를 본 [[프리벤터]] 멤버들은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알아챘다. == 작중 활약 ==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 마리메이아 군의 주력 모빌슈트로[* 마리메이아 군은 서펜트외에 토라스, 리오등도 보유.] [[마리메이아 사변]]에 사용되어 데킴 바톤의 연설장면에서 처음 등장한다. 마리메이아 군에 잠입한 [[트로와 바톤]]이 탑승한다. 침입한 [[듀오 맥스웰]]과 전투에 들어가는데 그가 탑승한 [[리오(MS)|리오]]와의 성능 차이로 듀오에게 죽을 각오까지 할 정도로 몰아 붙힌다. 이 후에는 [[데킴 바톤]]의 [[오퍼레이션 메테오]]를 시행하기 위해 지구 강하를 준비하지만 [[톨기스 III]]를 몰고 나온 [[젝스 마키스]]의 기습으로 다수가 총 한 번 못 쏴보고 불덩어리가 돼버렸다. 데킴이 콜로니를 앞세우지 않았다면 젝스의 손에 서펜트들은 몰살당할뻔 했다. 대통령 관저의 전투에서도 화력과 머릿수로 4+2의 건담 팀을 고전시켰으나, 고작 6기에게 수백 대가 썰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게다가 듀오는 '''지는 싸움에는 익숙해져 있으니까.''' 라고 말하며 4인 모두 동력부나 관절부[* 콕핏 바로 위를 찌르니까 폭발없이 전원만 나가고 어쩔수 없이 파일럿이 탈출한다. 노인은 총을 주로 사용하는지라 관절계 위주로 파괴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지상인지라 이 경우에도 적 파일럿이 무사히 탈출했다]만 노리고 살상을 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카토르가 "목숨을 빼앗으면서 싸웠으면 진작에 정리가 가능했다"고 할 정도. 게다가 결과적으로는 시민의 참여를 유도해서, 건담 파일럿들은 졌지만, 사망자를 최소한으로 줄였고,[* 윙 제로가 마리메이아 군이 장악한 관저를 향해 마지막 트윈 버스터 라이플을 쐈을 때, 관저 상공에서 이를 저지하려는 서펜트들이 여럿 이에 휘말린 듯한 폭발 연출이 나온다. 이 때 휘말린 서펜트 파일럿들은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역시 망설임없는 남자 히이로~~.] 사변은 시민들의 시위로 인해 장병들이 혼란에 빠지며[* 알트론 건담과 함께 나타난 시위대에게 압도 당해서 서펜트들이 뒷걸음질 치는 장면도 나올 정도], 상황을 받아 들이지 못한 데킴이 무심결에 자폭성 발언을 해 버려서 바로 근처에 있던 마리메이어 병사에게 사살당하고 주모자도, 싸울 이유도 잃은 마리메이어 군사들이 무기를 버리고 투항하면서 끝난다. === [[건프라 배틀#건담 빌드 파이터즈 시리즈|건담 빌드 파이터즈 시리즈]] === ==== [[건담 빌드 파이터즈]] ==== 11화에서 우승 후보중 하나인 [[리카르도 페리니]]를 없애고자 협력한 파이터중 하나의 기체로 EW에서 처럼 낙하산으로 강하하며 등장한다. ====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iantmusha.jpg]] 1화 초반 [[호시노 후미나]]의 건프라 배틀 회상씬 마지막 부분에서 [[월터 건담]]과 함께 [[진 무사 건담]]을 호위하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SD건담 삼국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황 서펜트)] == 모형화 == === [[건프라]] === 둘 다 '서펜트 커스텀' 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는데, 사실 서펜트는 작중에서 커스텀 기체 같은건 등장도 하지 않는 그냥 양산기다. 어째서 커스텀이라고 이름이 붙었는지는 불명. EW 리파인 건담들이 당시엔 ~커스텀 하는 이름을 붙여 발매됐던것과 깔맞춤을 위해? === [[하이 그레이드|HG]] === ==== [[하이 그레이드/리스트#건담 W EW HGFA 1/144, HG 1/100|HG]] ==== ||<-2>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erpent_CUSTOM.jpg|width=100%]] || || {{{#white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리스트#건담 W EW HGFA 1/144, HG 1/100|High Grade]] || || {{{#white 스케일}}} || 1/100 || || {{{#white 발매}}} || 1998년 7월 || || {{{#white 가격}}} || 2,000엔 || || {{{#white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www.dalong.net/reviews/old/ewh7/ewh7.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br][include(틀:해외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www.youtube.com/watch?v=KFlIZbcL7Rg|#]] || 엔들리스 왈츠의 인기에 힘입어서인지 W 세계관에 등장한 양산기들 중 유일하게 정식 일반판으로 1998년 7월 HG 1/100 스케일 프라모델이 2,000엔에 발매되었다. 구판치곤 상당히 괜찮은 제품으로 바주카/빔 캐논/더블 개틀링 건 등 설정무장 구현도 충실하고 어깨의 미사일 런처 전개기믹도 구현되어 있다. ==== [[하이 그레이드/리스트#건담 W EW HGFA 1/144, HG 1/100|HGFA]] ==== ||
박스아트 || [[파일:external/e6aeb8e8e1393f38a768ae2938c8bd7ac039f37dbd6f0408928b74e969e92991.jpg|width=100%]]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상품구분 || 일반판 || 메탈 클리어 스페셜 Ver. || || {{{#white 브랜드}}} ||<-2> [[하이 그레이드/리스트#건담 W EW HGFA 1/144, HG 1/100|High Grade Fighting Action]] || || {{{#white 스케일}}} ||<-2> 1/144 || || {{{#white 발매}}} ||<-2> 1998년 4월 || || {{{#white 가격}}} || 800엔 || 1,200엔 || || {{{#white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www.dalong.net/reviews/old/ew04/ew04.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www.youtube.com/watch?v=80ZGWxw_tn8|[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www.dalong.net/reviews/old/ewmc4/ewmc4.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엔들리스 왈츠의 인기에 힘입어서인지 W 세계관에 등장한 양산기들 중 유일하게 정식 일반판으로 1998년 4월 HG 1/144 스케일 일반판이 800엔 & 메탈릭 클리어가 1,200엔에 발매되었다. == 게임상에서의 서펜트 ==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는 엔들리스 왈츠가 들어간 알파 외전과 A/AP, R, W, 시옥, X 등에 등장했다. [[파일:178e916f1e5530a87.jpg]] [[슈퍼로봇대전 알파 외전]]의 서펜트는 그저그런 잔챙이에 지나지 않지만 '''빔 사벨'''을 가지고 나온다. 그 뒤에는 원작을 반영해서 꽤 강한 잡졸에 속하지만 '''근접전용 무기가 없다'''는 약점이 구현된 덕분에 바짝 붙어서 두들겨 패거나 썰면 된다. 시옥편에서 숨겨진 기체로 등장한다. P병기가 없지만 개조효율이 좋아서 나쁘지 않다. W에서는 1부에서 마리메이어군,테러조직A21이 주력으로 운용하고 2부에선 [[지구연방군]]이 2선급 기체로 운용한다. ===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 ====# 서펜트 #==== [[파일:external/pds20.egloos.com/d0000801_4e0b00ebbf616.jpg]] * 랭크: C * 속성: 원거리형 * 무장일람 1. 격투 2. 더블 개틀링건 3. 빔 캐논 4. 맵병기형 필살기 * 스킬구성 1.정밀 저격: 저격 모드 시 항상 크리티컬 + 3번 무기 재장전 시간이 빨라짐 + 서치 거리 증가 2.내구력 보강: 데스매치에서 최종 리스폰시 체력 증가 (상시 발동) * 유닛설명 1.격투 - 1타 다운형 무기. '''어쩌면 이기체의 최종병기''' 데미지가 무지막지하다. 심지어 정밀저격뜬 상태로 저격하는것보다 더 쎄다. 발동도 빠르고 범위도 나쁘지는 않으니 다가오는 묵기에게 강렬한 카운터를 선사해주자. 2.더블 개틀링건 - 헤비암즈의 빔개틀링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며 개틀링 패치전에 사용이 까다로웠지만 개틀링 패치로 인해 사용하기가 쉬워졌다. 기본적으로 마우스 클릭을 유지하고 있으면 충공깽의 연사속도를 자랑한다. 다만, 데미지가 '''없다.''' 농담이 아니고, 진짜 최악의 수준. '''묵기'''를 상대로 타 기체의 헤드발칸 수준이니 말 다했다. 탄창 자체도 작은 편이라, 자주 딸깍거리게 될 것이다. 이 막장 2번으로 서펜트는 중거리 견제가 불가능하다. 억지로 장점을 꼽자면, 위에서 말했듯이 미친 듯한 연사속도, 광속의 리로드, 정도가 되겠다. 사거리는 의외로 큰 편. 그래봤자 기총급이지만. 여담이지만, 탄창 1개를 비워봤자 나오는 데미지는 타 기체가 '''빔짤 2번'''한 것과 맞먹는다. 버려라. 3.빔 캐논 - 빔계열 저격형 무기로 사거리는 저격무기의 일반적인 사거리. 정밀 저격이 떠도 1번 무기보다 데미지가 낮다고 전해진다. 장거리 지원용 기체인 주제에 2,3번 무장이 다 부실한데다 스킬 "내구력 보강"은 별 효용도 없다. 사실상 유일한 5목숨 기체라는게 그나마 유니크한 포인트지만 그러느니 차라리 부족한 화력을 보충해줄 스킬이 더 절실하다. [[파일:external/pds18.egloos.com/d0000801_4e0b00ed32e97.jpg]] CU랭크 서펜트가 나오면서 내구력보강 → 공격력 업으로 변경되 개념찬 유닛이 될 것이라 예상했지만... 예상은 예상에서 그쳤다. 결국 상향패치로 2번 개틀링 공속이 빨라졌다. * 획득방법 캡슐머신 23호기 가격 1,600포인트 ====# 서펜트(미사일 런처) #==== [[파일:external/pds18.egloos.com/d0000801_4e0b00ef0dae5.jpg]] * 랭크: C * 속성: 중거리형 * 스킬 1.철벽수비 2.장갑관통 * 무장 1. 어깨치기 2. 개틀링 3. 미사일 (직선화기) * 유닛설명 서펜트의 바리에이션 유닛인데 어째서인지 CR이 아닌 그냥 C로 나왔다. 기존 서펜트의 빔캐논이 아닌 미사일 런쳐를 장착하고 등장한 유닛. 원작에서 서펜트의 미사일은 유도 기능이 있었기 때문에 유도미사일로 나올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현실은 그냥 직사화기... 덤으로 특수기능은 리로드 다운. 하지만 이와 별개로 C랭크 중에서 성능은 꽤 좋은 편이다. 직사화기 위주이긴 하지만 높은 화력으로 잘만 쓰면 C랭전을 지배하는 것도 가능했다. 1번은 숄더태클로 단타다운이다. 원본 서펜트의 어깨치기보다는 좀 느린 편으로, 다른 무장들이 제법 쓸만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호신용으로나 쓸 만한 무장. 2번 개틀링건은 원거리형 서펜트와 비슷한 개틀링건. 원판의 가장 큰 문제였던 화력이 크게 증가했고, 리로드 속도도 우수하다. 3번 미사일과의 연계를 통해 무한 사격에 준하는 지속화력을 뽑아낼 수 있다. 장갑관통과의 시너지 효과도 좋다. 게다가 C랭크에는 실탄내성을 가진 기체가 없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걱정을 안 해도 된다. 3번 미사일은 어깨에서 무유도 미사일을 2발씩 3번 연사하는 무장이다. 성능 자체는 2번이 리로드중일때 휘갈겨주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어쨌든 리로드는 좋고 어떻게든 다 맞추기만 하면 화력도 우수하기 때문에 2번 개틀링건의 재장전 시간 동안 사용하게 된다. 필살기는 진리의 '''전탄필'''이다. 발동이 제법 빠른 편이다. 철벽으로 버티다가 전탄필을 쏘는 전술이 유용하다. 철벽이 첫번째 스킬이라 발동이 빠르고 장갑관통은 없어도 플레이자체에 지장이 가는 스킬은 아니니 이런 전술이 유효하다. 의외로 전탄필치고 발동이 꽤 빠른 편이다. 판넬 필보다 약간 느린 정도. 스텟상으로는 체방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방어력면에서는 C랭크중에서 서펜트를 뛰어넘는 기체가 많지 않으며 체력도 꽤 높은 편이다. 이론상으로는 철벽과의 시너지효과를 노리기 좋은 스텟 구성이다. 또한 하나의 장점으로는 커스텀 파츠와의 궁합이 매우 좋다. 주력무장이 사격에 둘다 중거리 속성이며 서치거리는 짧아도 문제없고 칼질은 사실상 봉인, 이처럼 기체의 컨셉이 명확하기 때문에 커스텀파츠의 효과를 누리기 좋다. 커스텀 파츠 도입 초기에는 장갑형 파츠나 사격형 파츠와의 궁합이 매우 좋았으나 해당 파츠에 대한 대대적인 너프 이후 돌격형파츠와의 조합을 해봄 직하다. 결국 상향패치로 2번 개틀링의 공속이 빨라졌다. 위 항목의 서펜트는 그래도 보이지 않지만 이 기체는 이제 공방에서 슬슬 모습을 드러내는 편. * 획득방법 캡슐머신 56번 가격 1600포인트 == 둘러보기 == [include(틀: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최종보스)] [[분류: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등장 메카닉]][[분류:1998년 HG 건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