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시의 로)] [목차] == 개요 == {{{+1 西海岸路 / Seohaean-ro}}} 제주시의 '''북쪽''' 해안을 지나는 해안 도로. [[제주도]]가 아닌 [[제주시]]를 기준으로 서쪽의 해안을 지나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 제주시의 정서쪽에는 바다가 없고 북쪽에만 바다가 있기 때문. 제주도의 도로이므로 당연히 [[서해]]와도 관련이 없다. '[[서해]]-안+로'가 아니라 '서+(해-안)+로'인 셈이다. 길이는 약 6.93km이다. [[제주공항]] 북쪽을 지나는 도로로 이호1동, 도두1동, 도두2동, 용담3동(제주사대부중까지)을 잇는다. 새주소 개편 전에는 내도동에서부터 시작했으나 중간에 이호해수욕장이 자리잡고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이호해수욕장까지만 갈 수 있었다. 이호해수욕장 서쪽에서 내도동까지는 "테우해안로"로 개편되었다. 제주공항 북쪽에 바로 인접해있어서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소리는 흔하게 들을 수 있지만 공항 건물이 남쪽으로 지어져있는 탓에 공항까지의 실질적인 거리는 꽤 먼 편이다. 가장 가까운 용담동 쪽이 2km, 최대로 멀리 떨어진 곳은 약 5~6km 가량. 특히 도두1동, 도두2동의 경우 공항 남북으로 동 영역이 이어져있지만 실제로 이어지는 길은 도두1동과 이호2동의 경계인 [[도공로]]뿐이다. 사실상 [[월경지|실질월경지]]. [[제주시/행정#s-1.1.3|도두동]] 문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공항 이북의 도두동을 도두동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특히 380~440번 구간까지는 북서방향의 제2활주로가 있어서 도로 바로 옆의 공항 초소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380번대 [[버스 정류장]]은 정류장 이름이 아예 '공항초소'일 정도. 인근의 [[도리로]] 역시 경유 구간은 비슷한데 도리로 쪽이 약간 더 짧다. 도리로(일주서로~서해안로)는 약간 더 공항에 붙어서 진행된다. 여기에 정수장이 있다. 제주시에는 '동해안로', '남해안로' 등의 도로는 없다. 각 지역의 이름을 따서 '애월해안로', '한림해안로' 등으로 이름이 붙어있다. 각각의 해안로는 기본적으로 [[일주서로]]와 [[일주동로]]에서 더욱 해안을 낀 지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서로 이어지지는 않고 일주서로/일주동로를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이어진다. 이 길 동쪽으로는 시가지가 이어져서 해안 길들이 단일한 도로명을 지니지 않고, 서쪽에는 [[테우해안로]]가 이어진다. 테우해안로와는 서해안로의 길 서쪽 이호천(梨湖川)으로 차도로는 분리되어있고 인도로만 이어져있다. 길 대부분이 [[올레길]] 17코스로 지정되어있다. == 구간 == ||<-8> '''서쪽 기점 ([[도리로]] 43)''' || ||<-3> '''소재지''' || '''교차로명''' || '''번호''' || '''교차하는 도로''' || '''국도/지방도''' || ||<#FFA07A><|14><-2> '''[[제주시|제[br]주[br]시]]''' ||<#FDF5E6><|5> '''이호1동''' || || 0번 || __[[도리로]]__[br][[일주서로]][br]([[1132번 지방도]])[br](인근) || || || 25번 || 항골북길 || ||<|3> 동마을 || 45번 || 45[br](올레길 17코스)[br]백포서3길 || || 65번 || __백포북길__[br]백포서길[br]백포중길 || || 100번 || __백포북길__[br]백포동길 || ||<#FDF5E6><|6> '''도두1동''' ||<|4> 도두동 || 130번 || __도두항서길__ || || 160번 || [[도공로]][br]도두3길 || || 170번 || __도두항서길__ || || 180번 || 도두항길[br]도두1길 || ||<|2> [[오름/목록#s-3|도두봉]][br](도돌[[오름]]) || 195번 || 도두봉2길 || || 250번 || 도두봉6길 || ||<#FDF5E6><|3> '''도두2동''' ||<|2> 신(新)사수마을[br][* 본래의 사수촌은 [[제주공항]] 건설로 사라졌다.] || 275번 || 신사수2길[br]신사수4길 || || 285번 || __[[도리로]]__ || || 신사구포구 || 295번 || 291[br]297[br]301 || ||<-100> '''제3사수교 (흘천)''' || ||<#FFA07A><|13><-2>'''[[제주시|제[br]주[br]시]]''' ||<#FDF5E6><|1> || 하수처리장[br][* 본래 도리로 254로만 진입할 수 있었으나 서해안로쪽으로도 다리가 놓였다.] || 350번 || 346 || ||<#FDF5E6><|12> '''용담3동'''[br][* 행정동으로는 용담3동 전체가 용담2동에 속해있다.]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ejupr&logNo=220988031483|엉물[br]용다리물[br][몰래물(沙水)\]]] || 370번 || 368 || ||<|3> 어영마을 || 440번 || 442[br](~어영길 64) || || 470번 || 456[br]478 || || 515번 || __어영길__ || || 용담포구[br](다끄네포구)[* 다끄내라고도 한다.] || 590번 || __어영길__[br]용마서길 || || || 610번 || [[용해로]] || || || 620번 || 620 || || || 645번 || 용마서1길 || || || 650번 || [[용마로(제주)|용마로]] || ||<|2> 용두암[br]현대1차[br]아파트 || 660번 || [[용담로(제주)|용담로]]1길 || || 670번 || [[용담로(제주)|용담로]]5길 || || [[용두암]] || 690번 || [[용담로(제주)|용담로]]7길[br]687[br](~흥운길) || ||<-8> '''동쪽 종점 (용두암, 흥운길 99)''' || [[분류:제주시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