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북한 함선)] ||
[[파일:Soho_class_frigate.jpg|width=100%]] || || {{{#ffffff '''서호급 호위함'''}}} || [목차] == 제원 == || 기준 배수량 || 1,640t || || 만재 배수량 || 1,845t || || 길이 || 73.6m || || 폭 || 15.5 m || || 흘수 || 3.8m || || 항행거리 || 미상 || || 기관 || 디젤엔진 2기, 2축, 15,000bhp || || 전탐체계 || MR-104 Rys(NATO code:Drum tTilt) 사격통제 레이더x1 || || 속력 || 23 ~ 27 노트 || |||| 무장 || || [[대함 미사일]] || [[P-15 테르밋|CSS-N-2 SSM]]발사기x4 || ||<|2> [[함포]] || 100mm B-34 다목적 함포x1 || || 37mm 63구경장 2연장포x4 || || [[기관포]] || 30mm 2연장 [[AK-230]] CIWSx4 || || 대잠로켓 || [[RBU-1200 우라간]] 5연장 발사관x2 || == 개요 == || [[파일:서호급 그림.jpg|width=100%]] || || '''북한 선전화에 등장한 서호급''' || 서호급은 [[조선인민군 해군]]이 나진 조선소에서 건조하여 1983년에 취역, 2009년 까지 운영중이었던 [[호위함]]이자 실질적인 조선인민군 해군의 '''[[구축함]]'''으로, 크리박급을 제외하고 각각 서해함대와 동해 함대의 기함을 맡고있는 [[나진급 구축함]] 보다 배수량면에서 큰, 조선인민군 해군 최대 군함이었다. || [[파일:Figure2-frigates-051514-990x663.jpg|width=100%]]|| || '''서호급 위성사진''' || [[북한]]에서는 잘 쓰지 않는 쌍동선 형태의 동체로 설계가 이루어져있는것이 특징으로, 이 함급에는 단 한척의 배만 있기에 실험적 용도의 호위함으로 추측되고 있다.[* [[http://cafe.naver.com/nuke928/201516|참조]]] 유류문제도 있겠지만, 그나마 근해에나가서 정박이라도 하고온다는 증언이 있는 나진급에 비해, 항행을 하는게 거의 식별된적이 없다는 점에서현재는 사실상 도크에만 박혀있는 신세라는것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북한은 이후 서호급에 쓰인 쌍동선 설계가 쓸만하다고 판단한 것인지, 같은 쌍동선 설계인 [[농어급 초계함|농어급]]과 그 파생형인 해삼급을 건조했다. 그렇게 잉여함으로 남아있나 싶었지만 2009년 라진조선소에서 스크랩 처리 되었다고 정보가 나왔다.[[https://www.38north.org/2014/05/jbermudez051514/|#]] 어찌나 배일에 감싸여져 있었는지 소리소문없이 사라진거다.[* 북한 해군 특성상 사실상 서호급도 굉장한 전력인데 왜 스크랩 처리를 했는지 의문이들수도 있지만, 나진급 만큼이나 상당히 노후화 되었는데다가 실험용 목적으로 만든 군함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장기간 운용이란 힘들수도 있을수 있는데다가, 현재 남포급 후기형도 헬기가 없어 헬기 운용도 포기한 마당에 서호급을 제대로 굴릴리가 없다. 그 때문에 아마도 북한 해군 입장 에서는 애물단지나 다름 없었을테고 그렇게 스크랩 처리를 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호위함]][[분류:구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