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2 이 교통 시설의 명칭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에 임의로 붙혀진 명칭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역명심의위원회에서 선정한 정식 역명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 ||<-3> {{{+2 '''서화성남양역'''}}} || ||<-3> [[수도권 전철 서해선|[[파일:SeohaeLine_icon.svg|width=30]]]]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파일:SinansanLine_icon.svg|width=30]]]] || || --[[일산역|{{{#!html
일산 방면}}}]][[원시역|원 시]][*B [[국제테마파크역]]은 2027년 개업하며 사실상 그 전까지 전역은 [[원시역]]이다.]--[br]← 6.1 ㎞--[*추정 구글 어스로 측정한 추정 역간거리]-- || [[수도권 전철 서해선|{{{#!html
서해선
(S30)
}}}]]{{{#ffffff (공사중)}}} || {{{#!html
시종착}}} || || --[[여의도역|{{{#!html
여의도 방면}}}]][[국제테마파크역|국제테마파크]]--[br]← 2.8 ㎞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html
신안산선 지선
}}}]]{{{#ffffff (공사중)}}} || --[[향남역|{{{-1 {{{#585858,#a7a7a7 향남 방면}}}}}}]][br][[화성시청역|화성시청]]--[br]7.5 ㎞ →[*추정]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대곡역(고양)|{{{-1 {{{#585858,#a7a7a7 대곡 방면}}}}}}]]---[br]---[[초지역|초 지]]---[br]← 8.9 ㎞ || [[서해선 KTX|{{{#!html
서해선}}}]][[KTX|[[파일:KTX BI_middle White.png|height=15]]]][br] || ---[[홍성역|{{{-1 {{{#585858,#a7a7a7 홍성}}}}}}]] {{{-1 {{{#585858,#a7a7a7 방면}}}}}}---[br]---[[화성시청역|화성시청]]---[br]7.5 ㎞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7.2485680 126.7869979,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eohwaseongnamyang || || [[한자]] ||<-2> 西華城南陽 || || [[간체자]] ||<-2> 西华城南阳 || || [[가나(문자)|가나]] ||<-2> [ruby(西華城南陽, ruby=ソファソンナミャン)] || ||<-3> '''주소''' || ||<-3>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송산그린시티]] 개발구역 [[철도]]시설용지 블럭 역1 로트[*임시지번 [[지번]]이 부여되어있지 않아 [[국가철도공단]]에 명시된 [[건축]]허가 상의 임의 [[지번]]으로 작성하였음. 지번이 등록되기 전까지 인근 주소지인 '남양읍 문호리'로의 서술을 금함.] || ||<-3> '''관리역 등급''' || ||<-3> 미정[br](~~[[한국철도공사]]~~)--[* [[경기도|역 위치상]] 수도권광역본부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 ||<-3> '''운영 기관''' || || [[서해선]] ||<-2> [[한국철도공사]] || ||<-3> '''개업일''' || || [[서해선]] ||<-2><|2> 2024년 6월 예정 || || [[KTX|[[파일:KTX BI_White, Red.svg|width=50px]]]] || || [[수도권 전철 서해선|{{{#ffffff 서해선}}}]] ||<-2> 2025년 4월 예정 || || [[신안산선]] ||<-2><|2> 2027년 예정 ||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ffffff 신안산선}}}]] || ||<-6> '''승강장 구조''' || ||<-6> 2면 6선식 ([[쌍섬식 승강장]]) || ||<-3> '''철도거리표''' || || --[[원시역|{{{-1 {{{#585858,#a7a7a7 원시 방면}}}}}}]][br][[원시역|원 시]]--[br]← -.- ㎞ || --'''[[신안산선]]'''[* [[서해선]]으로 편입 여부는 미정이다.][br]{{{#black,#ffffff 서화성남양}}}--[br]{{{#red (미개통)}}} || {{{#!wiki style="font-size: 13px;" {{{#585858,#a7a7a7 종점}}}}}} || || {{{#!wiki style="font-size: 13px" {{{#585858,#a7a7a7 기점}}}}}}--[* 서해선은 대곡~원시, 서화성~홍성 구간으로 나뉜다. 원시~서화성 구간은 [[신안산선]]으로 공사 중이며, 2024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 --'''[[서해선]]'''[br]{{{#black,#ffffff 서화성남양}}}--[br]{{{#red (미개통)}}} || --[[홍성역|{{{#!html
홍성 방면}}}]][[화성시청역|화성시청]]--[br]7.5 km →--[*추정]-- || || --[[국제테마파크역|{{{#!html
국제테마파크 방면}}}]][[송산차량사업소|송산기지]]--[br]← -.- km || --'''{{{#8fc31f 송산기지선}}}'''[br]{{{#black,#ffffff 서화성남양}}}--[br]{{{#red (미개통)}}} || {{{#!wiki style="font-size: 13px" {{{#585858,#a7a7a7 종점}}}}}} || ||이 역과 [[원시역|원시역]] 사이에 [[국제테마파크역]]이 개업할 예정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cnews.co.kr/201109221542449620169-2-35275.png|width=500]]}}}|| || {{{#ffffff '''역사 조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화성남양역'''(Seohwaseongnamyang station, 西華城南陽驛)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송산그린시티]] 개발구역 [[철도]]시설용지 블럭 역1 로트[*임시지번 [[지번]]이 부여되어있지 않아 [[국가철도공단]]에 명시된 [[건축]]허가 상의 임의 [[지번]]으로 작성하였다.] [[서해선]]의 시·종착역이다. == 역 정보 == 2015년에 착공되어 2025년에 준공이 될 예정이다. [[신안산선]]은 아직 장래 [[국제테마파크역]]까지만 가는 것이 기본 계획이나 향후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이 이 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될 수도 있다. 역 근처에 [[송산차량사업소]]가 건설된다. == 연혁 == * 2015년 5월 22일 : 착공 * 2024년 6월 : 개통 예정 == 역 주변 정보 == 역 바로 위에 문호지하차도가 있으며, 지나가는 도로명은 송산비봉로이다. 역 서쪽으로 [[평택시흥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이 구간에 [[송산포도휴게소]](평택방향)가 있다. 역 동쪽으로는 [[77번 국도]]([[남양초지로]])가 지나간다. 서화성남양역 북서쪽으로 송산 고정리 공룡알화석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삼존리자동차안전연구원이 있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서킷]]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자동차안전연구원 운전 서킷 내에 [[자율주행차]] 실험도시와 화성 교통안전체험 교육센터가 있다. 서화성남양역 서쪽으로 [[송산그린시티#s-3.3|송산그린시티 서측지구]]가 있다. 서측지구 착공은 [[2023년]] [[12월]]이고 완공은 [[2039년]] [[12월]] 예정이다. 그리고 서측지구 1단계는 [[2030년]] ~ [[2033년]], 2단계는 [[2033년]] ~ [[2036년]], 3단계는 [[2036년]] ~ [[2039년]]에 입주 예정이다. == 연계 교통 == 연계 교통은 없다. == 여담 == * 역명에 관해 이야기가 많은데, 화성시 내부에서 정해진 역명이기는 하나 전국에 있는 역 중 거의 유일하게 '방위명' + '자치단체명' + '하위 행정구역명'이 합쳐진 역명인 데다가, 역명 결정에 1순위 요소인 주소지가 없는 정거장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남양'은 역사 예정지에서 200m 떨어진 주소지가 [[남양읍]] 문호리라 붙은 이름이다. 많이 알려져 있던 가칭인 송산역은 [[의정부 경전철]]에 이미 [[송산역(의정부)|송산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사용한다면 [[시흥능곡역]], [[시흥대야역]]처럼 역명 앞에 해당 자치단체의 명칭이 붙어 '화성송산역'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화성시 서부지역이라는 뜻의 '서화성'은 외지인은 물론 현지인들에게도 매우 낯선 지명이기에 이 역명을 읽을 때 제대로 읽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TTS 안내방송 역시 '서화성 남양역'으로 띄어씌기를 해서 입력하지 않는다면 '서화 성남양'등으로 억양이 이상하게 나올 수 있다. 다만 아직 [[국토교통부]] 역명심의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 역명이 아니기에 이 문서의 이름도 바뀔 수 있다. 현재 유력한 역명 후보로는 남양읍과 송산그린시티의 지명을 합친 "송산남양역" 정도이다. 한편 도로에서는 [[서김포통진IC]], [[북고양·설문IC]] 같은 선례가 있다. * 현재 [[여의도역]]에서 [[국제테마파크역]]까지 건설 중인 [[신안산선]]을 [[서화성남양역]]-[[화성시청역]]-[[향남역]]까지 연장할 예정이다. 그에 따라,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의 [[향남역]] 연장 가능성도 높아졌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의 역 목록)] [include(틀:서해선의 역 목록)] [include(틀:신안산선의 역 목록)] [[분류:2024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건설 중인 철도역]][[분류:서해선]][[분류:신안산선]][[분류:수도권 전철 서해선]][[분류:미개통역]][[분류:화성시의 도시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