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5><:> [[메시에 천체 목록|{{{#FFFFFF '''메시에 천체'''}}}]] || ||<:> [[프톨레마이오스 성단|{{{+1 '''M7'''}}}]][br]'''프톨레마이오스 성단'''[br]전갈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M8'''}}}[br]'''석호 성운'''[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1 →}}} ||<:> [[메시에 9|{{{+1 '''M9'''}}}]][br]'''뱀주인자리의 구상성단'''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6522|{{{+1 '''NGC 6522'''}}}]][br]궁수자리의 구상성단 ||<:> {{{+1 ←}}} ||<:> {{{#000000 {{{+1 ''' NGC 6523'''}}}[br]궁수자리의 방출성운 }}} ||<:> {{{+1 →}}} ||<:> [[NGC 6524|{{{+1 '''NGC 6524'''}}}]][br]헤르쿨레스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M8'''[br]{{{+3 '''석호 성운'''}}}[br]Lagoon Nebula}}} || ||||<-3>{{{#!wiki style="margin: -6px -10px -6px" [[파일:external/pixabay.com/lagoon-nebula-11143_960_720.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8h 03m 37s || || {{{#FFFFFF 적위}}} || -24° 23′ 12″ || || {{{#FFFFFF 별자리}}} || [[궁수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성운#s-2.1.1|발광 성운]] [br] [[전리수소영역|H II 영역]] || ||<-2> {{{#FFFFFF '''거리'''}}} || 1,250 [[파섹]][br]4,100 [[광년]] || ||<-2> {{{#FFFFFF '''크기'''}}} || 110×40 광년 || ||<-2> {{{#FFFFFF '''질량'''}}} || 3×10^^3^^''M,,☉,,''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FFF '''겉보기 등급'''}}} || 6.0 || ||<-3> {{{#FFFFFF '''명칭'''}}} || ||<-3> [[메시에 천체 목록|M]]8, [[NGC]] 6523, [[NGC]] 6530[br] [[Sh2]]-25, [[RCW]] 146, [[Gum 목록|Gum]] 72, 석호 성운 || [목차] == 개요 == {{{+1 Messier 8 / NGC 6523}}} '''석호 성운'''은 [[궁수자리]]에 있는 [[성운#S-2.1.1|발광 성운]]이자 [[H II영역]]이다. 내부에 성운의 가스에서 생성된 [[산개성단]]인 [[NGC]] 6530이 있으며, 이 성단은 [[할로 섀플리]]의 분류법에 따르면 e형[* 중간정도로 풍부하고 촘촘한 형태] 산개성단이다. == 역사 == 1654년 이전에 이탈리아 출신의 천문학자 지오반니 호디에나가 발견하여 자신의 노트에 기록했다고 전해진다.[* 이 사람의 기록은 1980년 이후에 알려졌다.] 1680년 영국의 천문학자 존 플램스티드에 의해 내부의 성단이 발견되었다. 1746년에 스위스의 천문학자 필립 드 셰소가 성단을 재관측했으며, 1747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기욤 르 장티가 성운과 내부의 산개성단을 모두 발견한다. 후에 1764년 [[샤를 메시에]]가 자신의 목록에 추가시킨다. [[윌리엄 허셜]]이 석호 성운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H V.9(GC4363, NGC 6526)와 H V.13(GC4368, NGC6533)으로 분류했으나 후에 존 허셜이 내부의 산개성단은 NGC6530으로 석호 성운은 NGC6523으로 분류하였고 내부의 '모래시계성운'을 발견하였다. == 특징 == M8 석호 성운은 지구에서 5200광년 떨어져 있으며 110x50광년 규모의 발광 성운이다. 대부분 수소로 이루어져있으며 이온화된 수소에서 나오는 파장에 의해 주로 붉은 빛을 내게 된다. [[H II영역]] 참고. 중심 부근의 [[성간물질|성간먼지]]에 의한 어두운 영역의 생김새 때문에 '''석호 성운'''이란 이름이 붙었다. 성운의 가장 밝은 부분인 일명 '모래시계 성운'부분을 중심으로 현재도 새로운 별들이 생성되고 있다. 훗날 이 별들이 거대한 성단이 되면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의 영향으로 성운은 뿔뿔이 흩어질 것이다. 2006년에는 중심부에서 4개의 허빅-하로천체가 발견되었다. [[우리은하]]의 중심부 방향에 위치해 있어 은하수 사진을 찍으면 대부분 찍히게 되며 근처에 있는 [[메시에 20|M20 삼렬성운]]과 함께 주요 딥스카이 사진의 주인공이 된다. === NGC 6530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6529|{{{+1 '''NGC 6529'''}}}]][br]궁수자리의 성단 ||<:> {{{+1 ←}}} ||<:> {{{#000000 {{{+1 ''' NGC 6530'''}}}[br]궁수자리의 산개성단 }}} ||<:> {{{+1 →}}} ||<:> [[메시에 21|{{{+1 '''NGC 6531'''}}}]][br]궁수자리의 산개성단 || ||||<-3>
<:> {{{#FFFFFF {{{+3 '''NGC 6530'''}}}}}} || ||<-3> [[파일:NGC 6530.jpg|width=25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8h 04m 31.0s || || {{{#FFFFFF 적위}}} || -24° 21′ 30″ || || {{{#FFFFFF 별자리}}} || [[궁수자리|{{{#3366aa 궁수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산개성단|{{{#3366aa 산개성단}}}]] || ||<-2> {{{#FFFFFF '''거리'''}}} || 4,320[[광년|{{{#3366aa 광년}}}]][br] 1,325[[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4.6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14 [[광년|{{{#3366aa 광년}}}]][br]14 [[파섹|{{{#3366aa 파섹}}}]]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4'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6530, [[콜린더 목록|Cr]] 362 || 석호 성운의 주변에는 성운 내부 성운의 가스에서 태어난 [[산개성단]]인 NGC 6530이 있다. 이 성단은 작은 망원경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아서 쉽게 관측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망원경을 사용해서 보아도 20여 개의 항성들을 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별들의 수는 2019년 기준 652개나 된다. 전주계열성 단계의 어린 별들이 많다. == 찾는 방법 ==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8-location.png]] M8의 성도 상 위치 [[파일:external/info.pipa.co.kr/489c189331056e4a1c1cdac13e574178.jpg]] [[궁수자리]] 부근의 하늘 궁수자리 람다(λ) 카우스 보레알리스(Kaus Boreails, λSgr)에서 서쪽으로 24.3m, 북쪽으로 1° 02' 떨어져 있다. 여름철 지평선 가까이에 뜨는 '''찻주전자''' 모양의 [[궁수자리]]와 궁수자리의 북서쪽에 있는 [[뱀주인자리]]를 찾는다. '''찻주전자'''의 뚜껑손잡이에 해당하는 궁수자리 람다와 뱀주인자리의 에타를 잇는 선을 생각해보자. [[궁수자리]]에타에서 1/3지점에 석호 성운과 [[삼렬 성운|M20 삼렬 성운]]이 있다. == 다른 천체 목록 ==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 석호 성운(NGC 6522)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Sh2-24|{{{+1 '''Sh2-24'''}}}]][br]뱀주인자리의 분자운||<:> {{{+1 ←}}} ||<:> {{{#000000 {{{+1 '''Sh2-25'''}}}[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26|{{{+1 '''Sh2-26'''}}}]][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5><:> [[RCW 목록|{{{#FFFFFF '''RCW 천체'''}}}]] || ||<:> [[Sh2-28|{{{+1 '''RCW 145'''}}}]][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RCW 146'''}}}[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 {{{+1 →}}} ||<:> [[삼렬 성운|{{{+1 '''RCW 147'''}}}]][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5><:> [[Gum 목록|{{{#FFFFFF '''Gum 천체'''}}}]] || ||<:> [[Sh2-22|{{{+1 '''Gum 71'''}}}]][br]뱀주인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Gum 72'''}}}[br]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27|{{{+1 '''Gum 73'''}}}]][br]뱀주인자리의 발광성운 || === NGC 6530 === ||<-5><:> [[NGC|{{{#FFFFFF '''콜린더 천체'''}}}]] || ||<:> [[NGC 6520|{{{+1 '''Cr 361'''}}}]][br]궁수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Cr 362'''}}}[br]궁수자리의 산개성단 }}} ||<:> {{{+1 →}}} ||<:> [[메시에 21|{{{+1 '''Cr 363'''}}}]][br]궁수자리의 산개성단 || == 관련 문서 == *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 [[성운]] [[분류:성운]][[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