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저그]]의 구조물 중에서 '[[추출장|익스트랙터]]의 건설 시작'을 '[[스포닝 풀]]의 건설 시작'보다 '먼저' 실행하는 [[빌드 오더]]이다. 빠른 레어 테크 및 [[뮤탈리스크]] 확보가 목적으로 쓰이게 된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본진에 베스핀 간헐천이 2개로 늘었고 [[일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일벌레]]도 12기로 늘었기 때문에 선 가스의 의미가 없어졌다. 이후 출시된 협동전 임무에서는 프로토스 사령관인 제라툴이 선 가스로 시작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시작하자마자 어시뮬레이터가 건설되기 때문. == [[스타크래프트 1]] == === [[브루드 워]] === ====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저전]] ==== ===== 9드론 선 가스 ===== || [[Stout MSL]] 2003년 4월 17일[br]16강 A조 1경기 (짐 레이너스 메모리 J) [[박태민]] vs [[변은종]] || || [youtube(42ftZ9wrIQA?start=60)] || 앞마당에 가스가 없는 맵에서 꽤 쓸만한 편이었다. 그러나 최신 맵의 경우, 스포닝 풀 타이밍이 느리기 때문에 [[12풀]], 12풀앞, [[12앞]]이면 상성 상 매우 밀린다. 특히 12드론 류의 경우 상성 상 완봉 확정으로, 스포어 운영, 뮤탈리스크, 저글링 싸움 등 어느 곳에서 유리한 것이 하나도 없다. ====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저전]] ==== 2해처리 뮤탈리스크 빌드 사용 시 쓸 때가 있다. '[[생 해처리]] → 선 가스 → 후 풀' 식으로, 가스 채취 타이밍을 앞당겨 초반 저글링의 위력을 늦추는 대신에 뮤탈리스크 수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뮤탈리스크 뿐만 아니라, 레어와 저글링 발업이 동시에 찍히며, 가스 보유량이 많아져 테크 선택 또한 자유롭다. 다만 가스가 빠른만큼 8배럭 치즈러시 등에 취약한 편이다. ===== 저그의 활용 ===== ====== [[생 해처리]] → 선 가스 ======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2018년 11월 22일[br]16강 A조 최종전 2경기 [[한두열]] vs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 || [youtube(Tv5LWxjIlho?start=1636)] || 12드론 [[생 해처리]] → 선 가스, 후 풀 → 2햇 레어 → [[https://www.youtube.com/watch?v=Tv5LWxjIlho&t=1791s|1레어 2햇]] [[뮤짤]] 3가스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2018년 11월 22일[br]16강 A조 최종전 3경기 [[한두열]] vs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 || [youtube(Tv5LWxjIlho?start=2990)] || 12드론 [[생 해처리]] → 선 가스, 후 풀 → 2햇 레어 → [[https://www.youtube.com/watch?v=Tv5LWxjIlho&t=3142s|1레어 2햇]] [[뮤짤]] 3가스 ===== 테란의 대응 ===== ====== '[[생 해처리]] → 선 가스'에 대응 ====== || [[BATOO 스타리그 08~09]] 2009년 2월 27일[br]16강 재경기 B조 재경기 2경기 (왕의귀환)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vs [[조일장]] || || [youtube(oX9ybUbK-Rw?start=138)] || [[https://www.youtube.com/watch?v=oX9ybUbK-Rw&t=157s|#]]12드론 [[생 해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oX9ybUbK-Rw&t=199s|선 가스]] ====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 보통 안쓴다. [[9오버풀]]로 시작해 5~6해처리를 펴거나, [[12앞]]으로 초반 자원을 확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분류:스타크래프트/전략전술]][[분류:저그 빌드오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