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キッサキしんでん''' '''Snowpoint Temple''' [목차] == [[포켓몬스터]] [[신오지방]]의 지역 == [include(틀:신오지방의 던전)] [include(틀:신오지방 지도)] || [[파일:선단시티_브다샤펄.jpg|width=100%]] || ||<-3><:><#99ffcc,#3d6651> '''BGM''' || ||<-3><:>{{{#!HTML}}}|| ||<|2> '''선단신전[br]{{{-2 (DP 디아루가·펄기아·Pt 기라티나)}}}''' || 작곡가 || 편곡가 || || 사토 히토미 || 사토 히토미 || ||<-3><:>{{{#!HTML}}}|| ||<|2> '''선단신전[br]{{{-2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 작곡가 || 편곡가 || || 사토 히토미 || [[카게야마 쇼타]]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Pt 기라티나]]와 DP의 리메이크인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에 등장하는 [[선단시티]]의 북쪽 변두리에 있는 신전. 건축물의 외형은 [[왓카나이]]에 위치한 [[북 방파제 돔]]과 닮았다. 위치의 모티브는 [[홋카이도]] '호쿠몬 신사'[[https://matcha-jp.com/ko/place/ChIJI2wPBrk8EF8R6B1tc3xj-KE|#]], 설정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의 [[타르타로스]]로 추정된다. [[레지기가스]]의 모티브가 [[그리스 로마 신화]]의 [[기가스]]이며 이 기가스는 [[기간토마키아]]에서 [[헤라클레스]]의 활약에 패배한 뒤 타르타로스에 갇혔기 때문이다. 처음엔 입장할 수 없으나 [[전국도감]] 입수후에 [[무청(포켓몬스터)|무청]]의 허가[* 정확히는 [[난천]]의 말을 대신 전해 준 것이다.]를 통해 입장하거나 [[전당등록]] 완료[* [[신오지방]]을 배경으로 한 4세대 포켓몬스터는 전당등록을 마치기 전에 [[신오도감]] 등재 포켓몬을 모두 목격하여 도감에 등록하는 것으로 전국도감을 빠르게 얻을 수 있다.] 후에 입장이 가능하다. 신전 안은 트레이너 하나 존재하지 않는 조용한 분위기로, 몇몇 야생 포켓몬이 튀어나오는 정도. 출현하는 포켓몬은 [[골뱃]], [[포푸니]]가 DPPt 공통으로 등장하고, DP에서는 [[데구리]], [[롱스톤]], [[강철톤]]이, Pt에서는 [[뽀뽀라]]와 [[루주라]]가 등장한다. 신전 내부는 [[선단체육관]]과 마찬가지로 얼음 미로를 뚫고 지나가야 한다. 엔딩 후 히든던전답게 지형이 꽤 복잡한 편에 속한다. 무청의 체육관처럼 얼음미로를 풀어서 내려가는 타입. 다만 미로까지 뚫으며 열심히 내려갔더니 레지기가스가 석상 그대로라 실망한 유저가 많다고 한다. 평범하게 갔을 때는 석상의 형태이지만, [[레지스틸]], [[레지락]], [[레지아이스]] 이 세 마리를 모두 들고가면 신전의 가장 아래에서 [[레지기가스]]를 깨울 수 있다. 이 때 Pt 버전이라면 레지기가스의 레벨이 1인 고로, 레지기가스는 최초의 레벨 1짜리로 얻는 게 가능한 [[전설의 포켓몬]] 타이틀을 손에 넣는데 성공했다.[* [[피오네(포켓몬스터)|피오네]]쪽이 알을 통해 레벨 1짜리로 먼저 등장했으나, 이쪽은 전설의 포켓몬이 아닌 [[환상의 포켓몬]]이다. 지금은 [[신도유적]] 이벤트를 통해 [[디아루가]], [[펄기아]], [[기라티나]]가 레벨 1짜리 전설의 포켓몬으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포획으로 따지면 레지기가스가 유일.] [[포켓몬스터 제너레이션즈]]에서도 1화에 짤막하게 나온다. BGM은 [[영원의 숲]], [[로스트타워]], [[만월섬]], [[신수유적]]과 공유한다. == [[포켓몬스터]] [[히스이지방]]의 시설 == [[파일:히스이 선단신전.jpg|width=100%]] ||<-3><:><#99ffcc,#3d6651> '''BGM''' || ||<-3><:>{{{#!HTML}}}|| ||<|2> '''선단신전[br]{{{-2 (LEGENDS 아르세우스)}}}[* 원래는 영원의 숲과 BGM을 공유하는데, 본작의 영원의 숲에 해당되는 [[흑요 들판]]의 안쪽 숲과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로 BGM이 어레인지되었다. 안쪽 숲이 원곡의 형태가 대부분 온전되었다면 이쪽은 피아노 반주만 중간중간 남았다.]''' || 작곡가 || 편곡가 || || 사토 히토미 || 불명 || [[순백 동토]]에 존재하는 시설.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DP]][[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Pt]]에 비해 훨씬 거대한 형태를 지닌 신전으로 [[신오지방]] 시점에 남아있는 것은 입구 정도일 정도로 상당한 높이의 건축물이었다. 때문에 DPPt와는 달리 지하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위층으로 올라가는 식으로 진행한다. [[창기둥]]과는 달리 현재와 모습이 달라진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되지 않는다. 입구의 형태가 DPPt의 선단신전과 크기와 형태가 유사하고, DPPt에서는 지하로 내려가는 형태임을 생각해보면 히스이 시절의 선단신전의 본관 부분이 땅속으로 가라앉았거나, 눈 속에 파묻혀서 그렇게 됐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의 선단시티와 선단신전은 고도가 비슷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도시 내에 신전이 있는데, 본작에서 선단시티의 모태로 보이는 진주부락의 고도와 선단신전의 고도는 엄청난 차이가 난다. 이로 볼 때 지반 침강이나 폭설 둘 다일 가능성도 있다.] 캡틴 [[사비(포켓몬스터)|사비]]를 만나기 위해 선단신전에 들어가게 되는데 [[레지락]], [[레지스틸]], [[레지아이스]]를 본딴 동상의 퀴즈를 풀면서 문을 열며 나아가게 되며 정상 직전에서[* 여기 바로 전층에 71렙짜리 우두머리 [[엘레이드]]가 떡하니 있어서 진행을 매우 곤란하게 한다. 숨을 풀숲도 없고 라이드도 못 탈 뿐더러 코너를 돌기 전까지는 있는지 보이지도 않기 때문에 브금이 갑자기 바뀌면 아차 하는 경우도 많다. 보통 사비 전 시점에서 포켓몬이 잘 커야 50이나 60대이기 때문에 맞다이도 힘들지만, 회피를 잘 이용하면 쉽게 벗어날 수 있다. 아니면 눈속임환을 잔뜩 들고가서 던지고 난 뒤에 숙여서 가도 된다.] 사비와의 배틀 후 라이드 포켓몬 히스이 [[워글]]을 받게 된다. 엔딩 후 [[코기토(포켓몬스터)|코기토]]에게 서브 미션을 받은 뒤에 고드름ㆍ암석ㆍ강철플레이트를 소지한 채로 지하 방향으로 가면 [[레지기가스]] 문양의 문이 열리고[* 이 방에서는 오직 [[데구리]], [[얼음귀신]], [[동미러]] 혹은 [[동탁군]]만이 스폰되는데 각각 [[레지락|바위]], [[레지아이스|얼음]], [[레지스틸|강철]] 타입이다.] [[레지기가스]]를 포획할 수 있다.[* 모든 시리즈를 통틀어 레지시리즈 없이 레지기가스를 포획할 수 있다. 레지락, 레지아이스, 레지스틸의 경우 동상이나 플레이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등장하지만 8세대에 새로 등장한 레지에레키와 레지드래고는 언급조차 없다.] == [[포켓몬스터 TCG]]의 카드 == || '''한글판 명칭''' ||'''선단 신전'''||<|6>[[파일:attachment/Sundan_singeon.jpg|width=230]]|| || '''영어판 명칭''' ||'''Snowpoint Temple'''|| || '''일어판 명칭''' ||'''キッサキしんでん'''|| || '''수록 블록, 팩''' ||DP + DPT - 고대의 수호자|| || '''카드의 종류''' ||스타디움|| ||||스타디움은 자신의 차례에 한 번만 배틀필드 옆에 내놓을 수 있다. 다른 이름의 스타디움이 필드에 나오면 이 카드를 트래쉬한다. 서로의 필드에 있는 「진화하지 않은 포켓몬」 전원의 최대 HP는 각각 「20」씩 커진다.|| 기본형 포켓몬 지원 카드. 이 카드와 [[진화의휘석]], 그리고 [[레시라무]]의 연계가 아주 흉악하다. [[분류:포켓몬스터/지역/신오지방]][[분류:포켓몬스터/지역/히스이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