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선룽버스[br]申龙客车 | Sunlong Bus'''}}} || ||<-2> [[파일:선롱버스 로고.png|width=60%]] || ||<|3> {{{#ffffff '''기업명'''}}} ||'''중문''': 上海申龙客车有限公司 || ||'''영문''': Shanghai Sunlong Bus Co. Ltd || ||'''한글''': 상하이선롱버스유한공사 || || {{{#ffffff '''국가'''}}}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2]] 중국]] || || {{{#ffffff '''업종명'''}}} ||자동차 제조 및 판매업 || || {{{#ffffff '''설립일'''}}} ||[[2001년]] [[4월 13일]] || || {{{#ffffff '''경영진'''}}} ||양추잉(杨秋英, Yang Chuying) ^^(CEO)^^ || || {{{#ffffff '''직원 수'''}}} || - || || {{{#ffffff '''본사'''}}} ||[[상하이시]] [[민항구]] 화닝루 2898 A구[br]上海市闵行区华宁路2898号A区[br][include(틀:지도, 장소=上海市闵行区华宁路2898号A区, 너비=100%, 높이=100%)] || || {{{#ffffff '''상장 여부'''}}} ||비상장 || || {{{#ffffff '''지배 구조'''}}} ||[[동쑤광전과기]] 100% || || {{{#ffffff '''링크'''}}} ||[[http://www.sunlongbus.com/| [[파일:선롱버스 로고.png|width=50]] 선롱버스(중국) 홈페이지]] || [clearfix] [목차] == 개요 == 2001년 중국 상하이시에서 설립된 버스 제조사이다. 한국에 최초로 자동차를 수출하게 된 중국 메이커[* 2009년 말에는 진베이 하이스가 수입되며 이 회사가 국내에도 들여온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이며, 2013년부터 듀에고 EX를 시작으로 한국 내에서의 판매를 개시했다. 한국지사는 일산 [[KINTEX]]에 있으며 킨텍스에 듀에고 EX 2대를 기증하였다. == 한국 진출 == '''2016년 10월 22일 이후 수입이 중단되었다.''' 2012년 8월 25일 듀에고 EX를 선보이며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208251650561|한국에 진출했다.]] 2008년에 한국 진출을 추진하다가 접은 경험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4705339|있다.]] 한국을 택한 것은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208271124301|글로벌 시장 확대의 일환]]이라고 한다. 중국산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한국 수출용 모델은 전체 부품 중에 20%는 [[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05|비중국산을 쓰고 있다.]] 2015년 기준 한국의 중형버스 시장 중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02/0200000000AKR20150402155700003.HTML?input=1195m|약 10%]]를 점유하고 있다. 판매량은 2013년 110대, 2014년 400대였다. 국산버스의 확고한 독점체제[* 1990년에서 2014년까지 수입된 대형버스는 [[http://www.hankookilbo.com/v/671ab954f5344de3aa518e3d36374d06|29대에 그칠 정도였다.]] 또 [[기아 콤비]] 단종 이후로 한국의 미니버스 시장은 2012년까지 [[현대 카운티]]가 독점하고 있었다.]가 깨지게 된 것이다. 2015년 목표는 1000대였다. 45인승 이상 대형버스와 [[전기버스]]의 국내 출시도 [[http://www.fnnews.com/news/201504021805446260|검토하고 있다.]] 2015년 하반기쯤에 추가모델이 [[http://autom.mt.co.kr/news/news_article.php?no=2015040315571193888|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선롱버스의 최대 운영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금아버스그룹]]. 중형으로 굴리는 좌석버스 노선에는 무조건 선롱 차량을 넣고 있으며, 대형차량을 넣으면 무조건 적자날 [[시외버스]] 노선에도 듀에고 차량이 들어가고 있다. 2015년 들어서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504141048421|100대 사전계약을 체결]]하였다. 그런데 금아그룹이 선롱버스를 구매하는 이유가 [[http://m.breaknews.com/a.html?uid=412309§ion=sc2|새천년미소 대표가 선롱버스의 총판이라서라는 의혹이 있다.]] 2015.6.18.[[http://www.etnews.com/20150618000221|기사]]에 따르면 회사의 상황이 많이 좋지 않은것 같다. 기사에서 제기된 의혹으로는 ① 근로자들의 임금ㆍ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② 홍보업체, 정비업체 등 여러 분야의 협력업체들에게 결제대금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③ 2015년 현재 판매가 금지된 유로V 재고차량이 많아 회사명의로 등록한 후 중고차를 판매하는 식으로 변칙영업을 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특히 3번 의혹은 '''울산지방법원 경매사건번호 2016타경341''' 에 '''2014.12.19. 제작''' / '''2015.03.31. 등록'''한 '''선롱버스 코리아''' 명의의 '''주행거리 717~8km''' 듀에고 차량 3대가 경매로 올려지면서 사실인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건의 당사자는 채권자 : HK저축은행 / '''채무자겸소유자 : 주식회사 선롱버스코리아''' / '''가압류권자 : 주식회사 선롱버스호남판매''' / 압류권자 국,고양세무서 / '''배당요구권자 : 주식회사 에스텍세이프''' 이다. 배당요구권자인 에스텍세이프는 경비/주차/청소 등 용역관리업체이며, 가압류권자는 이름에서부터 보다시피 [[목포]]에 위치한 판매대리점[* 16.9.12. 법원이 발송한 배당기일통지서가 16.9.21. 폐문부재로 처리된것을 보아 망한듯 싶다.] 이다. 따라서 2번 의혹도 사실로 여겨진다. --간단히 말해서 망했다.-- 현재는 신차로서의 수입이 중단되고 중고차로만 구매할 수 있다. 워낙에 결함이 많고, 중국에서 부품수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중고가격은 레스타나 카운티에 비해 매우 저렴한편. 중고차 사이트를 뒤지면 듀에고 CT 새차를 판매하는데, 가격은 4000여만원 내외이다. 에빅오토모티브코리아로 인수된 후, [[선진버스]]의 AVIC 전기버스를 납품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에 발표한 CT BOO와 흡사하게 생겼으며, 승객 [[하차벨]]은 선롱버스의 무선벨과 동일하다. 또한 기존의 선롱버스와 같이 명보기업의 시내형 시트가 적용되었다. == 생산 차종 == 중국 내수용 차종은 종류가 엄청나게 많으므로 [[http://www.sunlongbus.com/App_Templet/MyTemplet/list.aspx|현지 홈페이지의 차량목록을 참조하도록 하고]], 이 항목에는 한국 시판 차종만 기재한다. * [[선롱 듀에고]] (중국 내수용 SLK6750 베이스) * --[[선롱 시티부]] (중국 내수용 SLK6779 베이스)-- * AVIC500S (중국 내수용 AVIC 爱维客 베이스) [* 선롱버스 코리아의 신형 버스. 상해선롱버스가 아닌 [[중국항공공업집단]]이라는 국영기업에서 만든 버스이다. [[항공기]] 제작을 주로 하며 버스도 생산하고 있는 회사이다. [[COMAC]] 도 자회사로 두고 있다. 이 버스는 AVIC사에서 2015년 상하이 오토쇼에서 爱维客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된 버스로 선롱버스코리아는 수입만 하는 것인데 왜 뜬금없이 다른회사의 버스를 들여와서 팔고있는지는 불명. [[http://sangyongcha.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7|AVIC에 대한 상세기사]]] == 품질 문제 == 수출하는 차량의 품질 문제로 인해 구매자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한다. [[http://news.jtbc.joins.com/html/550/NB10842550.html|관련기사]]에 따르면 브레이크 부품이 밀착되지 않아 제대로 제동이 걸리지 않거나, 운행 중에 바퀴가 자기 혼자 빠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운전자들의 항의 및 시위가 본격화된 상태이다. 2014년에만 40여 대가 이런 문제를 나타냈다고 하는데, 이 해에 수입된 600대 중 40대라고 하면 약 6.7%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서 선롱버스코리아는 [[메이드 인 차이나]]에 대한 선입견 때문이며, 차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2015.7.10. [[http://www.nspna.com/news/?mode=view&newsid=133139|기사]]에 따르면 최고속도제한장치ㆍ방향지시등 색도ㆍ좌석안전띠 고정 장치ㆍ좌석안전띠 버클 위치ㆍ제원허용차(중량) 등 5개 부분이 자동차 안전기준에 적합하지 않게 제작되어 2013년 1월 22일부터 2014년 12월 30일 사이에 수입된 최대 550대의 [[선롱 듀에고|듀에고]] 차량이 리콜한다고 보도되었다. 이 기사 이후에는 전부 버스업계에서 선롱버스로 인해 중국산 차량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만연해 있다는 기사만 검색된다. [[분류:중국의 자동차 제조사]][[분류:중국의 기업]]